1 두하영, "전북 지역 초 ․ 중 ․ 고 학생들의 근시 진행 정도에 대한 연구" 대한시과학회 10 (10): 189-195, 2008
2 최태호, "아트로핀이 소아 근시진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46 (46): 1189-1195, 2005
3 백순철, "소아시력검사에서 나안시력과 굴절이상과의 상관관계" 대한안과학회 45 (45): 19-19, 2004
4 최영호, "소아 굴절검사방법에 따른 차이 비교 및 생활양식이 근시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46 (46): 1841-1847, 2005
5 김학준, "누진가입도렌즈 착용 어린이의 독서시 하방편위" 대한시과학회 15 (15): 405-415, 2013
6 신철근, "근시 아동의 조절마비후의 원거리 나안시력의 변화에 대한 구면굴절력과 난시의 상관성" 대한시과학회 14 (14): 31-38, 2012
7 신규민, "근시 성인에서 조절마비 전후와 조절마비제에 따른 굴절 변화 비교" 대한안과학회 52 (52): 141-146, 2011
8 김재령, "각막굴절교정학용 렌즈가 소아의 근시 진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54 (54): 401-407, 2013
9 이원희, "각막굴절교정학 콘택트렌즈가 근시 및 난시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52 (52): 1269-1274, 2011
10 Liu H, "Treatment of adolescent myopia by pressure plaster of semen impatient on otoacupoints" 14 : 283-286, 1994
1 두하영, "전북 지역 초 ․ 중 ․ 고 학생들의 근시 진행 정도에 대한 연구" 대한시과학회 10 (10): 189-195, 2008
2 최태호, "아트로핀이 소아 근시진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46 (46): 1189-1195, 2005
3 백순철, "소아시력검사에서 나안시력과 굴절이상과의 상관관계" 대한안과학회 45 (45): 19-19, 2004
4 최영호, "소아 굴절검사방법에 따른 차이 비교 및 생활양식이 근시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46 (46): 1841-1847, 2005
5 김학준, "누진가입도렌즈 착용 어린이의 독서시 하방편위" 대한시과학회 15 (15): 405-415, 2013
6 신철근, "근시 아동의 조절마비후의 원거리 나안시력의 변화에 대한 구면굴절력과 난시의 상관성" 대한시과학회 14 (14): 31-38, 2012
7 신규민, "근시 성인에서 조절마비 전후와 조절마비제에 따른 굴절 변화 비교" 대한안과학회 52 (52): 141-146, 2011
8 김재령, "각막굴절교정학용 렌즈가 소아의 근시 진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54 (54): 401-407, 2013
9 이원희, "각막굴절교정학 콘택트렌즈가 근시 및 난시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52 (52): 1269-1274, 2011
10 Liu H, "Treatment of adolescent myopia by pressure plaster of semen impatient on otoacupoints" 14 : 283-286, 1994
11 Cheng, P, "Treatment of 1673 myopic eyes by auricular on adolescents" 17 (17): 238-, 2003
12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The report of the 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8
13 Chen M, "The efficacy and safety of modified SnyderThompson posterior scleral reinforcement in extensive high myopia of Chinese children" 251 : 2633-2638, 2013
14 Kwon GR, "The correlation between intraocular pressure and myopia in children" 39 : 702-707, 1998
15 Cheng D, "Randomized trial of effect of bifocal and prismatic bifocal spectacles on myopic progression : two-year results" 128 : 12-19, 2010
16 Watanabe K, "One-year longitudinal change in parameters of myopic school children trained by a new accommodative training device-uncorrected visual acuity, refraction, axial length, accommodation, and pupil reaction" 116 : 929-936, 2012
17 Saw SM, "Myopia:attempts to arrest progression" 86 : 1306-1311, 2002
18 Yang HN, "Inter-relationship between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in myopia and hyperopia among children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26 : 15-20, 1985
1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ssessment guidelines of clinical studies in children"
20 Shih YF, "An intervention trial on efficacy of atropine and multi-focal glasses in controlling myopic progression" 79 : 233-236, 2001
21 An HJ, "A research on statistical methods of clinical trials in medical devic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9
22 Li ZT, "1216 cases of myopia with ear pressure and qigong" 11 (11): 7-8,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