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재국, "한국현대소설의 매체적 상상력 연구 사이버소설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1998
2 정형철, "하이퍼픽션이란 무엇인가" (26) : 43-54, 1997
3 슈문트, 힐마, "하이퍼픽션의 가능성과 한계 오늘의 문예비평" (26) : 104-115, 1997
4 쿠버, 로버트, "하이퍼픽션: 컴퓨터를 위한 소설들" (45) : 69-82, 1995
5 바스, 존, "하이퍼텍스트와 문학의 미래 오늘의 문예비평" (26) : 55-75, 1997
6 최재모, "하이퍼텍스트 소설 연구: 『디지털 구보 2001』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7 장노현, "하이퍼텍스트 서사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8 유현주, "하이퍼텍스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9 하응백, "팬터지 소설의 허와 실 통신문학과 관련하여" 1999
10 아메리카, 마크, "테크로픽션: 디지털 몰입의 시대로 들어가기" (45) : 83-93, 1995
1 김재국, "한국현대소설의 매체적 상상력 연구 사이버소설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1998
2 정형철, "하이퍼픽션이란 무엇인가" (26) : 43-54, 1997
3 슈문트, 힐마, "하이퍼픽션의 가능성과 한계 오늘의 문예비평" (26) : 104-115, 1997
4 쿠버, 로버트, "하이퍼픽션: 컴퓨터를 위한 소설들" (45) : 69-82, 1995
5 바스, 존, "하이퍼텍스트와 문학의 미래 오늘의 문예비평" (26) : 55-75, 1997
6 최재모, "하이퍼텍스트 소설 연구: 『디지털 구보 2001』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7 장노현, "하이퍼텍스트 서사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8 유현주, "하이퍼텍스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9 하응백, "팬터지 소설의 허와 실 통신문학과 관련하여" 1999
10 아메리카, 마크, "테크로픽션: 디지털 몰입의 시대로 들어가기" (45) : 83-93, 1995
11 장경렬, "컴퓨터로 글쓰기-무엇이 문제인가? 현대비평과 이론" 통 (통): 26-47, 1992년가을
12 "컴퓨터는 무엇을 변화시킬 것인가" 1994년여름호
13 김창배, "컴퓨터게임의 서사적 특성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예창작전공 2000
14 "컴퓨터 시대의 소설 환경 소설과 사상" 235-246, 1994년봄호
15 "컴퓨터 시대의 글쓰기의 명암 기계/타자와 인간/동일자 대화적 상상력을 위하여 소설과 사상" 203-222, 1994년봄호
16 최유찬, "컴퓨터 게임의 이해" 문화과학사 2002
17 "컴퓨터 게임과 문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18 "창작 기계로서의 가능성 현대비평과 이론" 통 (통): 26-47, 1992년가을
19 김주환, "정보화와 뉴미디머, 어떻게 볼 것인가: 상호작용의 커뮤니케이션과 디지털 정보의 의미" 1996
20 이용욱, "정보화사회 문학 패러다임 연구 사이버리즘의 이론적 모색"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0
21 "정보화 시대의 삶과 문학환경의 변화양상" 121-131, 1994년11월호
22 장승권, "정보기술의 발전과 글쓰기로서의 컴퓨터프로그래밍" 1996
23 볼터, J. 데이빗, "전자적 글쓰기 공간에서의 문학 오늘의 문예비평" (26) : 85-103, 1997년가을호
24 심광현, "전자복제시대와 이미지의 문화정치: 벤야민 다시 읽기" 1996
25 머레이, 자넷,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2001
26 하지만, "오늘도 키보드다 소설과 사상" 223-234, 1994년봄호
27 김영도, "영상미디어의 하이퍼텍스트 서사성에 관한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영상문예대학원 2003
28 "신세대와 새로운 삶의 양식 그리고 문학" 8 (8): 1995
29 민병일, "사이버소설의 미학적 특징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4
30 김종회, "사이버문학의 이해" 집문당 2001
31 이선이 편저, "사이버문학론" 2001
32 트래비스, M. 아벨, "사이버네틱스 미학과 하이퍼텍스트 오늘의 문예비평" (26) : 76-84, 1997
33 박여성, "미디어폴리스 시대의 기호이론" 생각의나무 2000
34 정과리, "문학의 크레르 루즈 문명의 배꼽" 문학과 지성사 1998
35 "문학교육과 문화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36 최혜실, "모든 견고한 것들은 하이퍼텍스트 속으로 사라진다" 생각의 나무 2000
37 "멀티미디어 시대와 미래의 문학" 104-112, 1994년11월호
38 "뛰는 독자 걷는 작가 현대비평과 이론" 통 (통): 48-59, 1992년가을
39 "디지털 시대의 영상문화" 소명출판 2003
40 구광본, "디지털 시대의 소설형식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문화예술학과 2002
41 강내희, "디지털 시대의 문학하기" 69-89, 1996
42 이인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2003
43 강덕화, "디지털 서사텍스트의 생성과 소통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44 전경란, "디지털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상호작용성과 서사성의 충돌과 타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2003
45 "글쓰기와 글읽기의 혁명적 전환 PC통신과 미래의 문학" 113-120, 1994년11월호
46 옹, 월터,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5
47 Baltimore, "The Convergence of Contemporary Critical Theory and Technology" -2, 1997
48 여국현, "'사이버문학'과 사이버시대의 텍스트 짜기" 204-213,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