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발코니 창호 요소 변화에 따른 아파트 단위세대 냉난방부하 산출모델 제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860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alcony area is an unconditioned zone of which window configuration makes significant impact on the annual heating and cooling load. Although there are design guide lines and building regulations associated with the thermal and optical criteria ...

      The balcony area is an unconditioned zone of which window configuration makes significant impact on the annual heating and cooling load. Although there are design guide lines and building regulations associated with the thermal and optical criteria of the external surfaces of residential buildings, they are not sufficient in determining the balcony configuration to achieve better energy performance since design determinants such as U values, G values and window-to-wall area ratios can be interactively compromised. It is more effective to identify the best combination of the design determinants through holistic approaches. One of major holistic approaches is to use integrated simulation techniques which require substantial effort and time resources. In this study, a simplified model is sugges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design determinants of the balcony glazing configuration. The model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detailed simulation results and statistical analysis (i.e. multi regression model).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odel will allow designers to determine the balcony configuration at early design stage without using detailed simulation too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분석
      • 3. 시뮬레이션 조건 설정 및 결과
      • 4.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한 부하 민감도 도출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분석
      • 3. 시뮬레이션 조건 설정 및 결과
      • 4.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한 부하 민감도 도출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률, "주택 창의 SHGC가 에너지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22 (22): 189-196, 2010

      2 "서울특별시 건축위원회 공동주택 심의기준"

      3 진용범, "발코니 공간의 온실효과에 의한 난방에너지 절감에 관한 연구" 17 (17): 197-204, 2001

      4 백성진, "기능 확장형 발코니 공간의 특성연구" 211-214, 2002

      5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306호,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규정"

      6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1031호,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 기준 해설서"

      7 박용승, "공동주택의 발코니가 열부하에 미치는 영향 분석" 117-121, 2000

      8 이재혁, "공동주택의 발코니 확장이 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 분석" 845-850, 2007

      9 윤종호, "공동주택 세대내 발코니 유형별 창호의 냉난방 에너지 성능 분석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7 (27): 83-90, 2007

      10 최영진, "공동주택 발코니 창호의 열적 성능 평가 방법" 대한건축학회 25 (25): 271-278, 2009

      1 박률, "주택 창의 SHGC가 에너지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22 (22): 189-196, 2010

      2 "서울특별시 건축위원회 공동주택 심의기준"

      3 진용범, "발코니 공간의 온실효과에 의한 난방에너지 절감에 관한 연구" 17 (17): 197-204, 2001

      4 백성진, "기능 확장형 발코니 공간의 특성연구" 211-214, 2002

      5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306호,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규정"

      6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1031호,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 기준 해설서"

      7 박용승, "공동주택의 발코니가 열부하에 미치는 영향 분석" 117-121, 2000

      8 이재혁, "공동주택의 발코니 확장이 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 분석" 845-850, 2007

      9 윤종호, "공동주택 세대내 발코니 유형별 창호의 냉난방 에너지 성능 분석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7 (27): 83-90, 2007

      10 최영진, "공동주택 발코니 창호의 열적 성능 평가 방법" 대한건축학회 25 (25): 271-278, 2009

      11 김상호, "공동 주택 발코니 공간이 실내 온열 환경 및 냉난방 부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191-194,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26 0.65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