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롬 7:14-25의 ‘나’(evgw/, 에고)의 정체성 : ‘죄에 종 노릇한다’(douleu,w no,mw| a`marti,aj, 25b절)는 에고를 중심으로 = Who is ‘I’ in Romans 7:14-25 : A Study of ‘I’ Making a Statement that “I serve the law of sin[douleu,w no,mw| a`marti,aj, 25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22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ticle is concerned about identifying ‘I’ in Romans 7:14-25 and whose experiences he/she stands for. Three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identity ‘I’ 7:14-25. Firstly, there is a position that ‘I’ is post-Damascus Paul who is in process of struggling between the new self being in Christ and the old self in the flesh. Secondly, another suggestion is that ‘I’ is ‘a Adamic being’ representing unbelievers who are under the control of sin which has been active in human world since the sin of Adam(Gen.3). Thirdly, a final position is that ‘I’ is a unbelieving Jew,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of post-Damascus Paul, who cannot escape from the power of sin, although seeking and being confident of the justification by the works of the Torah. The third position is what the article favours.
      For the explanation of the reason why the third position is most persuasive, I will reexamine, first of all, whether grounds for a argument used to identify ‘I’ may be decisive or not. And then I will make an argument, particularly, that Christian ‘I’ or ‘Adamic I’ may be groundless if we take the context of vv 14-25 seriously.
      Furthermore, I will argue that it is unthinkable to believe that the final confession of “I will serve[douleuw, ] the law of sin”(v 25) may be made by a ‘Christian I’ or a ‘Adamic I’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uses of ‘slave’(dou/loj), ‘to be a slave(dou/lein) in Romans.
      Afterwards, I will a final argument that, on the grounds of the uses of ‘slave’(dou/loj) ‘to be a slave’(dou/lein), the context of chapters 6-8 and Paul’s theology, most persuasive is the third position that ‘I’ is a unbelieving Jew,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of post-Damascus Paul, who cannot escape from the power of sin, although seeking and being confident of the justification by the works of the Torah.
      번역하기

      The article is concerned about identifying ‘I’ in Romans 7:14-25 and whose experiences he/she stands for. Three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identity ‘I’ 7:14-25. Firstly, there is a position that ‘I’ is post-Damascus Paul who is in proce...

      The article is concerned about identifying ‘I’ in Romans 7:14-25 and whose experiences he/she stands for. Three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identity ‘I’ 7:14-25. Firstly, there is a position that ‘I’ is post-Damascus Paul who is in process of struggling between the new self being in Christ and the old self in the flesh. Secondly, another suggestion is that ‘I’ is ‘a Adamic being’ representing unbelievers who are under the control of sin which has been active in human world since the sin of Adam(Gen.3). Thirdly, a final position is that ‘I’ is a unbelieving Jew,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of post-Damascus Paul, who cannot escape from the power of sin, although seeking and being confident of the justification by the works of the Torah. The third position is what the article favours.
      For the explanation of the reason why the third position is most persuasive, I will reexamine, first of all, whether grounds for a argument used to identify ‘I’ may be decisive or not. And then I will make an argument, particularly, that Christian ‘I’ or ‘Adamic I’ may be groundless if we take the context of vv 14-25 seriously.
      Furthermore, I will argue that it is unthinkable to believe that the final confession of “I will serve[douleuw, ] the law of sin”(v 25) may be made by a ‘Christian I’ or a ‘Adamic I’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uses of ‘slave’(dou/loj), ‘to be a slave(dou/lein) in Romans.
      Afterwards, I will a final argument that, on the grounds of the uses of ‘slave’(dou/loj) ‘to be a slave’(dou/lein), the context of chapters 6-8 and Paul’s theology, most persuasive is the third position that ‘I’ is a unbelieving Jew,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of post-Damascus Paul, who cannot escape from the power of sin, although seeking and being confident of the justification by the works of the Tora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로마서 7:14-25에서 반복 등장하는 ‘나’의 정체와 그의 경험이 누구를 지시하는지와 관련된 학자들의 논쟁은 세 가지 입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나’를 다메섹 도상에서 부활한 예수를 만난 이후의 바울이라 보는 입장인데, 이 입장에 따르면 ‘내’가 겪는 괴로움은그리스도인이 성화의 과정에서 겪는 실존적 경험이다. 둘째, 7장의‘나’를 아담 이후 죄의 권세 아래 사는 (다메섹 이전의 바울을 포함하여) 모든 불신 인류의 대표자(그러므로 아담적 나[Adamic I])로 보는입장이 있다. 셋째, ‘내가 대표하는 인물은 (다메섹 이전 바울을 포함하여) 율법을 통해 의를 추구하는 유대인이라 보는 입장이 있다. 이견해에 따르면 서술된 ‘나’의 경험은 바울이 다메섹 이후 가지게 된‘기독교적’ 관점의 반영이다. 본 논문은 세 번째 입장을 따른다. 본논문 은 이 입장을 논증하기 위해 먼저 그 동안 ‘나’의 신원 규명을위해 사용된 주요 논거의 적합성 여부를 살펴본다. 이어서, 죄의 종이 되겠다(douleu,w no,mw| a`marti,aj, 25b절)고 선언하는 ‘나’를 그리스도인으로 보거나 혹은 ‘아담적 나’로 보는 입장은 14-25절의 근접, 원접 맥락과 함께 죄와 순종, ‘종’(dou/loj)과 ‘종 노릇하다’(dou/lein) 와 같은 어휘 군이 로마서에서 사용된 용례에 비춰볼 때 성립될 수없다고 주장한다. 그런 후 논문은 14-25절의 ‘나’와 특히 25절의 고백은, 로마서의 ‘종’과 ‘종 노릇하다’의 용례에 더해 7-8장의 문맥과바울 신학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율법을 해독제로 삼아 의롭게 산다고는 하지만 실제는 죄의 종된 비그리스도인 유대인과 다메섹 이전바울(Pre-Damacus Paul) 자신의 경험에 대한 다메섹 이후(의 기독교적) 평가로 보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의 공헌은“육신으로는 죄의 법에 종 노릇한다” 는 ‘나’의 정체를 로마서에서사용된 죄와 순종 그리고 종과 종 노릇하다의 용례와 7-8장의 맥락및 바울의 신학을 바탕으로 밝히는 데 있다.
      번역하기

      로마서 7:14-25에서 반복 등장하는 ‘나’의 정체와 그의 경험이 누구를 지시하는지와 관련된 학자들의 논쟁은 세 가지 입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나’를 다메섹 도상에서 부활한 예...

      로마서 7:14-25에서 반복 등장하는 ‘나’의 정체와 그의 경험이 누구를 지시하는지와 관련된 학자들의 논쟁은 세 가지 입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나’를 다메섹 도상에서 부활한 예수를 만난 이후의 바울이라 보는 입장인데, 이 입장에 따르면 ‘내’가 겪는 괴로움은그리스도인이 성화의 과정에서 겪는 실존적 경험이다. 둘째, 7장의‘나’를 아담 이후 죄의 권세 아래 사는 (다메섹 이전의 바울을 포함하여) 모든 불신 인류의 대표자(그러므로 아담적 나[Adamic I])로 보는입장이 있다. 셋째, ‘내가 대표하는 인물은 (다메섹 이전 바울을 포함하여) 율법을 통해 의를 추구하는 유대인이라 보는 입장이 있다. 이견해에 따르면 서술된 ‘나’의 경험은 바울이 다메섹 이후 가지게 된‘기독교적’ 관점의 반영이다. 본 논문은 세 번째 입장을 따른다. 본논문 은 이 입장을 논증하기 위해 먼저 그 동안 ‘나’의 신원 규명을위해 사용된 주요 논거의 적합성 여부를 살펴본다. 이어서, 죄의 종이 되겠다(douleu,w no,mw| a`marti,aj, 25b절)고 선언하는 ‘나’를 그리스도인으로 보거나 혹은 ‘아담적 나’로 보는 입장은 14-25절의 근접, 원접 맥락과 함께 죄와 순종, ‘종’(dou/loj)과 ‘종 노릇하다’(dou/lein) 와 같은 어휘 군이 로마서에서 사용된 용례에 비춰볼 때 성립될 수없다고 주장한다. 그런 후 논문은 14-25절의 ‘나’와 특히 25절의 고백은, 로마서의 ‘종’과 ‘종 노릇하다’의 용례에 더해 7-8장의 문맥과바울 신학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율법을 해독제로 삼아 의롭게 산다고는 하지만 실제는 죄의 종된 비그리스도인 유대인과 다메섹 이전바울(Pre-Damacus Paul) 자신의 경험에 대한 다메섹 이후(의 기독교적) 평가로 보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의 공헌은“육신으로는 죄의 법에 종 노릇한다” 는 ‘나’의 정체를 로마서에서사용된 죄와 순종 그리고 종과 종 노릇하다의 용례와 7-8장의 맥락및 바울의 신학을 바탕으로 밝히는 데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arclay, John M. G, "진리에 대한 복종" 감은사 2020

      2 최승락, "욕망의 개혁:바울, 아우구스티누스, 칼빈을 딛고 라캉, 지젝과 대화하기" 한국복음주의신학회 85 : 1-33, 2018

      3 박윤만, "신약성서 헬라어의 현저성 표지들(Prominence Markers)"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9 (9): 309-334, 2010

      4 문병구, "생명의 회복과 완성을 갈망하는 인간 -로마서 7장 7-25절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한국신약학회 15 (15): 407-429, 2008

      5 Silva, Moisés, "빌립보서" 부흥과개혁사 2020

      6 이한수, "복음은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 이레서원 2008

      7 장해경, "변증법적 긴장 속에 사는 크리스천의 삶? 로마서 7:7-25를 재고하며" 39 : 52-86, 2006

      8 김태훈, "바울의 불편한 양심 - 로마서 7장을 기초해서" 한국신약학회 16 (16): 199-229, 2009

      9 오우성, "바울의 갈등과 회심" 대한기독교서회 1992

      10 Barclay, John M. G, "바울과 은헤의 능력" 감은사 2021

      1 Barclay, John M. G, "진리에 대한 복종" 감은사 2020

      2 최승락, "욕망의 개혁:바울, 아우구스티누스, 칼빈을 딛고 라캉, 지젝과 대화하기" 한국복음주의신학회 85 : 1-33, 2018

      3 박윤만, "신약성서 헬라어의 현저성 표지들(Prominence Markers)"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9 (9): 309-334, 2010

      4 문병구, "생명의 회복과 완성을 갈망하는 인간 -로마서 7장 7-25절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한국신약학회 15 (15): 407-429, 2008

      5 Silva, Moisés, "빌립보서" 부흥과개혁사 2020

      6 이한수, "복음은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 이레서원 2008

      7 장해경, "변증법적 긴장 속에 사는 크리스천의 삶? 로마서 7:7-25를 재고하며" 39 : 52-86, 2006

      8 김태훈, "바울의 불편한 양심 - 로마서 7장을 기초해서" 한국신약학회 16 (16): 199-229, 2009

      9 오우성, "바울의 갈등과 회심" 대한기독교서회 1992

      10 Barclay, John M. G, "바울과 은헤의 능력" 감은사 2021

      11 김세윤, "바울 복음의 기원" 엠마오 1994

      12 박윤만, "마가복음 길 위의 예수 그가 전한 복음" 감은사 2017

      13 Cranfield. C. E. B., "로마서 II" 로고스 1994

      14 김현광, "로마서 7:14‒25절과 그리스도인의 현재적 삶" 한국복음주의신학회 61 : 335-364, 2012

      15 최영태, "로마서 6-8장에 나타난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삶의 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복음주의신학회 82 : 299-331, 2017

      16 Porter, Stanley E, "Verbal Aspect in the Greek of the New Testament with Reference to Tense and Mood" Peter Lang 1989

      17 Dunn, J. D. G., "The Theology of Paul the Apostle" Eerdmans 1998

      18 Keener, Craig S., "The Mind of the Spirit: Paul’s Approach to Transformed Thinking" Baker Academic 2016

      19 Porter, Stanley E., "The Letter to the Romans: A Linguistic and Literary Commentary" Sheffield Phoenix Press 2015

      20 Moo, D. J., "The Epistle to the Romans" Eerdmans 1996

      21 Lonenecker, Richard N., "The Epistle to the Romans" Eerdmans 2016

      22 Sanday, W, "The Epistle to the Romans" T. & T. Clark 1902

      23 Dodd, C. H, "The Epistle of Paul to the Romans" Hodder and Stoughton 1932

      24 Stendahl, Krister, "The Apostle Paul and the Introspective Conscience of the West" 56 (56): 199-215, 1963

      25 Jewett, Robert, "Romans: A Commentary" Fortress 2008

      26 Byrne, Brendan, "Romans. Sacra Pagina; Collegeville" The Liturgical Press 1996

      27 Dunn, J. D. G, "Romans 1-8" Dallas Word Book 1988

      28 Kirk, K. E., "Romans" Oxford University Press 1937

      29 Schreiner, Thomas R., "Romans" Baker Academic 2018

      30 Schreiner, Thomas R., "Romans" Baker Academic 1998

      31 Stuhlmacher, Peter, "Peter. Paul’s Letter to the Romans a Commentary" T&T Clark 1994

      32 Westerholm, Stephen, "Perspectives Old and New on Paul the “Lutheran” Paul and His Critics" Eerdmans 2004

      33 Espy, J. M, "Paul’s ‘Robust Conscience’ Reexamined" 31 : 161-188, 1985

      34 Beker, J. Christiaan, "Paul the Apostle The Triumph of God in Life and Thought" Fortress Press 1984

      35 Kim, Seyoon, "Paul and the New Perspective Second Thoughts on the Origin of Paul’s Gospel" Eerdmans 2002

      36 Hübner, Hans, "Paul and the Mosaic Law" Eerdmans 207-214, 1996

      37 Sanders, E. P, "Paul"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38 deSilva, David A., "NICNT 갈라디아서" 부흥과개혁사 2022

      39 Westerholm, Stephen, "Israel's Law and the Church's Faith" Wipf and Stock 1998

      40 Porter, Stanley E, "Idioms of the Greek New Testament" JSOT Press 1994

      41 Wallace, Daniel B., "Greek Grammar Beyond the Basics" Zondervan 1996

      42 Thiselton, Anthony C, "Discovering Roman Content, Interpretation, Reception" SPCK 2017

      43 Käsemann, Ernst, "Commentary on Romans" Eeerdmans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