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은 개인, 가족, 집단과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질병의 치료, 예방, 그리고 건강증진을 직접적으로 도모하는 사업이며,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59345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4(1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은 개인, 가족, 집단과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질병의 치료, 예방, 그리고 건강증진을 직접적으로 도모하는 사업이며,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은 개인, 가족, 집단과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질병의 치료, 예방, 그리고 건강증진을 직접적으로 도모하는 사업이며,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간접적 효과인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하여 고용창출효과와 생산유발효과를 중심으로 계량적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산업연관분석모형이며 사용된 자료는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현황 자료와 한국은행의 2015년도 산업연관표이다. 2019년 기준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에 투입한 재정은 612억원이며, 고용된 전담인력은 2,185명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방문건강관리사업 재정지출 10억원당 고용창출효과는 총 61.7명이며, 직접 고용은 35.7명, 간접고용은 26.0명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산업의 고용창출효과에 비해 3.9배, 전체 산업에 비해 7.7배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생산유발계수는 1.727,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833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전체산업에 비해 각각 0.95배, 1.1배로 추정되어 전체 산업과 유사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영, "취약계층 고혈압 대상자를 위한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비용편익분석"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2 (22): 438-450, 2011
2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추진계획" 2019
3 류영아, "지방자치단체 보건정책 분석 :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7 (27): 181-202, 2013
4 김진현, "일반간호사의 임금격차 현황과 표준임금 가이드라인 개발" 병원간호사회 26 (26): 75-85, 2020
5 이건아, "우리나라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과거, 현재와 미래" 한국보건간호학회 32 (32): 5-18, 2018
6 김진현, "사회복지의 고용창출효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시장과정부센터 2013
7 박남희, "비정규직 방문간호사의 직무불안정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 33 (33): 270-283, 2019
8 고숙자,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편익 분석"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5 (35): 69-78, 2018
9 양숙자,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발전과정, 운영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 한국노동연구원 2018
10 이성희, "방문건강관리 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8
1 고영, "취약계층 고혈압 대상자를 위한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비용편익분석"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2 (22): 438-450, 2011
2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추진계획" 2019
3 류영아, "지방자치단체 보건정책 분석 :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7 (27): 181-202, 2013
4 김진현, "일반간호사의 임금격차 현황과 표준임금 가이드라인 개발" 병원간호사회 26 (26): 75-85, 2020
5 이건아, "우리나라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과거, 현재와 미래" 한국보건간호학회 32 (32): 5-18, 2018
6 김진현, "사회복지의 고용창출효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시장과정부센터 2013
7 박남희, "비정규직 방문간호사의 직무불안정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 33 (33): 270-283, 2019
8 고숙자,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편익 분석"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5 (35): 69-78, 2018
9 양숙자,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발전과정, 운영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 한국노동연구원 2018
10 이성희, "방문건강관리 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018
11 보건복지부, "방문건강관리 예산 추이(2012-2017)"
12 이인숙,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이해와 전망" 한국방문건강관리학회 [서울] 2013
13 최인희, "방문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및 대처방법과 이직의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2 (22): 149-158, 2013
14 김진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비용-편익분석"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362-373, 2010
15 임은실,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고혈압 사례관리 비용-편익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16 이신호,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평가체계 개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17 김진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의 건강증진효과 측정- 서비스 전·후의 진료비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한국건강증진재단 2011
18 고용노동부,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
19 정규숙, "간호사 배치수준이 환자안전 결정한다"
20 Doran, 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d Competition in Home Care Nursing Services and Nurse Outcomes" 39 (39): 150-165, 2007
21 Naruse, T.,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ime Pressure during Visits and Burnout among Home Visiting Nurses in Japan" 9 (9): 185-194, 2012
22 Denton, M., "Job Stress and Job Dissatisfaction of Home Care Workers in the Context of Health Care Restructuring" 32 (32): 327-357, 2002
23 Pascoe, J. M., "Foreword: Home Visiting" 46 (46): 99-100, 2016
24 Tourangeau, A., "Factors Influencing Home Care Nurse Intention to Remain Employed" 22 (22): 1015-1026, 2014
25 Beasley, L. O., "A Qualitative Evaluation of Engagement and Attrition in a Nurse Home Visiting Program: From the Participant and Provider Perspective" 19 (19): 528-537, 2018
26 보건복지부, "2019년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방문건강관리) 예산 확정 내시"
27 보건복지부, "2018년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방문건강관리) 예산 확정 내시"
28 보건복지부, "2018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방문건강관리]"
29 한국은행, "2015 산업연관표"
노인 치과 임플란트 본인부담 의료비 감면 정책에 따른 의료 이용의 변화 : 인구 집단에 따른 정책효과 및 정책예정 집단의 치료 지연 효과의 차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9-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Economics Policy -> Th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7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68 | 1.153 | 0.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