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는 도가 사상의 핵심 고전으로서 동아시아의 사상과 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 그런데 그동안 노자 사상에 대한 많은 주해(註解)와 다양한 해석(解釋)이 진행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590434
2005년
Korean
노자 ; 음(音) ; 성(聲) ; 음악미학 ; 대음희성(大音希聲) ; 음성상화(音聲相和)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노자는 도가 사상의 핵심 고전으로서 동아시아의 사상과 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 그런데 그동안 노자 사상에 대한 많은 주해(註解)와 다양한 해석(解釋)이 진행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노자는 도가 사상의 핵심 고전으로서 동아시아의 사상과 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 그런데 그동안 노자 사상에 대한 많은 주해(註解)와 다양한 해석(解釋)이 진행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노자에는 충분히 해명되지 않은 구절들이 많다. 그 가운데 "대음희성(大音希聲: 41장)"과 "음성상화(音聲相和: 2장)"라는 두 구절은 근래 동아시아의 문화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별히 주목을 받게 되었으나 의미가 석연치 않았던 구절로서, 제대로 해명될 경우 노자 사상의 예술철학적 태도를 이해하는 관건이 될 수 있으므로 도가 악론의 출발점을 설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노자에 대한 전통적인 주석에 나타나는 音과 聲에 대한 이해를 살피고 기존 해석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노자에 관해 그토록 많은 주석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주석가들은 音·聲 개념이 대립적인 관계로 이루어져있다는 것을 파악해내지 못함으로써 노자 2장의 음성상화(音聲相和)의 의미를 제대로 밝히지 못하였다. 다음으로는 최근 20여년에 걸쳐 중국의 음악미학계에서 주로 이루어진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고 검토하여 그 한계를 지적하였다. 음·성 개념의 이해에 관한 한 음악미학 연구자들은 전통적인 주석자들에 비해 한걸음 진전된 이해를 시도하였다고 할 수 있으나 노자 철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의 부족으로 인하여 대음희성과 음성상화의 관계를 밝히는 데 실패했음은 물론 ‘노자가 음악문화를 포함한 문화 전반을 부정했다’는 왜곡된 결론을 내놓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노자에 나타나는 음·성 개념이 서로 상반상성(相反相成)적인 성격을 지닌 짝개념으로 사용되었음을 밝히고 이것이 "인간의 의미부여를 거친 소리"와 "자연상태에서 울리는 소리"라는 기본적인 의미 연관을 가지며, 나아가 인간의 마음속에서 "개념적으로 파악된 음조"와 그것이 현상으로서 "발성하여 구체화된 실제 소리" 등의 의미를 지시하게 됨으로써 "음성상화"와 "대음희성"을 일관되게 해석할 수 있음을 보였다. 요약하면 노자는 대음희성(大音希聲)이라는 말로 발성되어 나온 구체적인 소리를 넘어선 어떤 것, 음악을 음악이게끔 하는 도(道)를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성상화(音聲相和)라는 말을 통해 실제의 음악행위에서 음과 성은 단순한 위계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이루어주는 관계에 있다는 점을 드러내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