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滿空의 민족운동과 遺敎法會ㆍ간월암 기도 = The Reverend Mangong's Ethnic Movement, the Dharma Speech to Convey Buddha's Teaching, and the Pray at the Ganwol Hermit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98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reveal the ethnic movement of the reverend Mangon, who was a high priest of the modern Buddhism, and the dharma speech to convey Buddha's teaching through the pray at the Ganwol hermitage.
      The reverend Mangong was the high priest who established and ran the Seon academy which was the symbol of the ethnic Buddhism and the resistance Buddhism under the Japanese empire. The studies concerned with it have been greatly accumulated.
      However, scholars did not focus on how the pray was conducted and what meaning the pray had, which was carried out for one thousand days to meet the nation's independence at the Ganwol hermitage (Seosan district), one of the temples of the Sudeok monastery, until the liberation day of 15th, Aug since 1942 and the dharma speech to convey Buddha's teaching which was held by the Seon academy for ten days at the early March of 1941, when he participated together.
      So I tried to explain the following aspects with such premises in this research. First, I looked into how the dharma speech to convey Buddha's teaching was developed and what the characteristic it had, and how the reverend Mangong's ethnic spirit was. Second, I studied for the content and its characteristic of the pray conducted at the Ganwol hermitage. Third, I dealt with testimonies that the reverend Mangon delivered the independence fund to Han Yong Un at the time, when he was carrying out the dharma speech to convey Buddha's teaching and the pray at the Ganwol hermitage, and those meanings.
      The reason why I wanted to intend and emphasize the account of the reverend Mangong's conduct and his intelligence was to consider it not only as the religious level, but also as the spiritual ethnic movement, independent movement.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to reveal the ethnic movement of the reverend Mangon, who was a high priest of the modern Buddhism, and the dharma speech to convey Buddha's teaching through the pray at the Ganwol hermitage. The reverend Mangong was the high priest ...

      This research is to reveal the ethnic movement of the reverend Mangon, who was a high priest of the modern Buddhism, and the dharma speech to convey Buddha's teaching through the pray at the Ganwol hermitage.
      The reverend Mangong was the high priest who established and ran the Seon academy which was the symbol of the ethnic Buddhism and the resistance Buddhism under the Japanese empire. The studies concerned with it have been greatly accumulated.
      However, scholars did not focus on how the pray was conducted and what meaning the pray had, which was carried out for one thousand days to meet the nation's independence at the Ganwol hermitage (Seosan district), one of the temples of the Sudeok monastery, until the liberation day of 15th, Aug since 1942 and the dharma speech to convey Buddha's teaching which was held by the Seon academy for ten days at the early March of 1941, when he participated together.
      So I tried to explain the following aspects with such premises in this research. First, I looked into how the dharma speech to convey Buddha's teaching was developed and what the characteristic it had, and how the reverend Mangong's ethnic spirit was. Second, I studied for the content and its characteristic of the pray conducted at the Ganwol hermitage. Third, I dealt with testimonies that the reverend Mangon delivered the independence fund to Han Yong Un at the time, when he was carrying out the dharma speech to convey Buddha's teaching and the pray at the Ganwol hermitage, and those meanings.
      The reason why I wanted to intend and emphasize the account of the reverend Mangong's conduct and his intelligence was to consider it not only as the religious level, but also as the spiritual ethnic movement, independent mo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찰은 근대 불교의 고승인 만공의 민족운동을 유교법회와 간월암 기도를 통해 밝힌 글이다. 만공은 일제하 저항불교와 민족불교의 상징인 禪學院을 창건, 운영한 고승이다. 이 내용에 대한 연구는 적지 않게 축적되었다. 그러나 그가 관여한 1941년 3월 초, 10일간 선학원에서 개최된 遺敎法會와 1942년부터 8.15 해방될 때까지 수덕사의 말사인 간월암(서산)에서 조국광복을 위해 1천일 동안 단행한 기도의 내용, 의미에 대해서는 학계에서는 주목하지 않았다.
      이에 필자는 위와 같은 전제에서 본 고찰에서 다음과 같은 측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유교법회의 전개과정 및 성격 그리고 그에 담긴 만공의 민족정신을 살폈다. 둘째, 간월암에서 행한 기도의 내용과 성격을 살폈다. 셋째, 유교법회와 간월암 기도를 행하던 무렵 만공은 한용운에게 독립자금을 전달한 증언을 발굴하고 그 의미를 정리하였다.
      필자가 이 고찰에서 의도하고 강조하는 것은 만공의 행적과 지성을 종교적인 차원으로만 보지 말고 정신적인 민족운동, 독립운동으로 보자는 것이다. 이런 입론이 전제되어야 선학원이 갖는 의미가 불교사에서 뿐만 아니라 민족운동사 측면에서 갖는 성격이 재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만공이 수차례 한용운에게 전달된 자금도 단순한 지원금이 아니라 독립자금으로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찰이 만공의 생애와 사상, 불교계 독립운동, 수덕사 및 간월암이 민족운동선상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 등에 대한 이해와 연구에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고찰은 근대 불교의 고승인 만공의 민족운동을 유교법회와 간월암 기도를 통해 밝힌 글이다. 만공은 일제하 저항불교와 민족불교의 상징인 禪學院을 창건, 운영한 고승이다. 이 내용에 ...

      본 고찰은 근대 불교의 고승인 만공의 민족운동을 유교법회와 간월암 기도를 통해 밝힌 글이다. 만공은 일제하 저항불교와 민족불교의 상징인 禪學院을 창건, 운영한 고승이다. 이 내용에 대한 연구는 적지 않게 축적되었다. 그러나 그가 관여한 1941년 3월 초, 10일간 선학원에서 개최된 遺敎法會와 1942년부터 8.15 해방될 때까지 수덕사의 말사인 간월암(서산)에서 조국광복을 위해 1천일 동안 단행한 기도의 내용, 의미에 대해서는 학계에서는 주목하지 않았다.
      이에 필자는 위와 같은 전제에서 본 고찰에서 다음과 같은 측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유교법회의 전개과정 및 성격 그리고 그에 담긴 만공의 민족정신을 살폈다. 둘째, 간월암에서 행한 기도의 내용과 성격을 살폈다. 셋째, 유교법회와 간월암 기도를 행하던 무렵 만공은 한용운에게 독립자금을 전달한 증언을 발굴하고 그 의미를 정리하였다.
      필자가 이 고찰에서 의도하고 강조하는 것은 만공의 행적과 지성을 종교적인 차원으로만 보지 말고 정신적인 민족운동, 독립운동으로 보자는 것이다. 이런 입론이 전제되어야 선학원이 갖는 의미가 불교사에서 뿐만 아니라 민족운동사 측면에서 갖는 성격이 재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만공이 수차례 한용운에게 전달된 자금도 단순한 지원금이 아니라 독립자금으로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찰이 만공의 생애와 사상, 불교계 독립운동, 수덕사 및 간월암이 민족운동선상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 등에 대한 이해와 연구에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식, "한용운연구" 동국대출판부 2012

      2 김광식, "한국 현대선의 지성사 탐구" 도피안사 2010

      3 적 연, "한국 비구니의 수행과 삶, 2" 예문서원 2009

      4 김광식, "한국 근대불교 ‘帶妻食肉’의 이원적 노선" 13 : 2015

      5 김순석, "중일전쟁 이후 선학원의 성격 변화" 1 : 2006

      6 김광식, "조선불교선종 선회에 나타난 수좌의 동향" 7 : 2009

      7 김광식, "조계종과 선학원, ‘同根’의 역사 및 이념" 43 (43): 2016

      8 김광식, "일제하 선학원의 운영과 성격" 8 : 1994

      9 金淳碩, "일제하 禪學院의 禪脈 계승운동과 성격" 한국근현대사학회 20 : 141-162, 2002

      10 김광식, "유교법회의 전개과정과 그 성격" 35 : 2008

      1 김광식, "한용운연구" 동국대출판부 2012

      2 김광식, "한국 현대선의 지성사 탐구" 도피안사 2010

      3 적 연, "한국 비구니의 수행과 삶, 2" 예문서원 2009

      4 김광식, "한국 근대불교 ‘帶妻食肉’의 이원적 노선" 13 : 2015

      5 김순석, "중일전쟁 이후 선학원의 성격 변화" 1 : 2006

      6 김광식, "조선불교선종 선회에 나타난 수좌의 동향" 7 : 2009

      7 김광식, "조계종과 선학원, ‘同根’의 역사 및 이념" 43 (43): 2016

      8 김광식, "일제하 선학원의 운영과 성격" 8 : 1994

      9 金淳碩, "일제하 禪學院의 禪脈 계승운동과 성격" 한국근현대사학회 20 : 141-162, 2002

      10 김광식, "유교법회의 전개과정과 그 성격" 35 : 2008

      11 월암, "유교법회(遺敎法會)와 조계종의 오늘" 대각사상연구원 (14) : 291-336, 2010

      12 김광식, "우리가 만난 한용운" 참글세상 2010

      13 이동언, "안희제" 역사공간 2010

      14 한영숙, "아버지 만해의 추억" 2 : 1971

      15 강석주, "불교근세백년" 중앙일보사 1980

      16 경허, "만공의 항일정신(자료집)"

      17 하춘생, "깨달음의 꽃 2" 여래 2001

      18 정광호, "근대한일불교관계사연구" 인하대출판부 1994

      19 김광식, "그리운 스승 한암스님" 민족사 2006

      20 만공문도회, "滿空法語" 능인선원 1982

      21 이병희, "日帝强占期 修德寺의 禪風振作과 滿空" 호서사학회 (41) : 35-70, 2005

      22 선우도량 한국불교근현대사연구회, "22인의 증언을 통해서 본 근현대 불교사" 선우도량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