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2009 개정 고등학교 물리 I 교육과정과 평가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의견 = A Survey of Physics Teachers' Opinions about the 2009 Revised High-school `Physics I' Curriculum and T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197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eachers’ opinions on the revised curriculum for and on the test in high-school physics I.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48 high-school physics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achers noted that the advantages of the revised curriculum are the use of real-life materials, the way of modern physics, and the qualitative approach to contents. A thread of connection exists between the teachers’ opinions and the gist of the amendment. However, because of a lack of regulations on the level of achievement and a lack of scope for the curriculum’s contents, many teachers struggle to provide effective instruction.
      Regarding tests examin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ew curriculum’s contents, many teachers think that testing the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s by using easy questions is appropriat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 some improvement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eachers’ opinions on the revised curriculum for and on the test in high-school physics I.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48 high-school physics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achers noted that the ...

      This study examines teachers’ opinions on the revised curriculum for and on the test in high-school physics I.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48 high-school physics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achers noted that the advantages of the revised curriculum are the use of real-life materials, the way of modern physics, and the qualitative approach to contents. A thread of connection exists between the teachers’ opinions and the gist of the amendment. However, because of a lack of regulations on the level of achievement and a lack of scope for the curriculum’s contents, many teachers struggle to provide effective instruction.
      Regarding tests examin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ew curriculum’s contents, many teachers think that testing the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s by using easy questions is appropriat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 some improve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개정된 고등학교 물리 I 교육과정과 평가에 대한 현장교사의 의견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48명의 고등학교 물리 교사를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의하면교사들은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와 동일하게 실생활 소재를 활용하고다양한 현대 물리 내용을 정성적으로 접근하도록 교육과정이 구성된 것이장점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교과내용의 수준과 범위에 대한 규정이미흡하여 많은 교사가 새로 도입된 교과내용을 가르치는데 어려움을 겪고있었다. 평가에 관해서는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에 맞게기본 개념에 대하여 실생활의 소재를 활용한 쉬운 평가 문항을 원하였다.
      개정된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정착하려면 교육내용과 교과서에 대한 안내자료 보급, 새로운 교육내용에 대한 교수학습방법 개발과 교사 연수실시, 성취기준에 대한 안내 및 예시 문항의 개발 보급이 필요한 것으로판단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개정된 고등학교 물리 I 교육과정과 평가에 대한 현장교사의 의견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48명의 고등학교 물리 교사를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개정된 고등학교 물리 I 교육과정과 평가에 대한 현장교사의 의견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48명의 고등학교 물리 교사를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의하면교사들은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와 동일하게 실생활 소재를 활용하고다양한 현대 물리 내용을 정성적으로 접근하도록 교육과정이 구성된 것이장점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교과내용의 수준과 범위에 대한 규정이미흡하여 많은 교사가 새로 도입된 교과내용을 가르치는데 어려움을 겪고있었다. 평가에 관해서는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에 맞게기본 개념에 대하여 실생활의 소재를 활용한 쉬운 평가 문항을 원하였다.
      개정된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정착하려면 교육내용과 교과서에 대한 안내자료 보급, 새로운 교육내용에 대한 교수학습방법 개발과 교사 연수실시, 성취기준에 대한 안내 및 예시 문항의 개발 보급이 필요한 것으로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 K. Oh, 21 : 2-, 2012

      2 J. Ahn, 21 : 12-, 2012

      3 S. W. Kim, 21 : 5-, 2012

      4 J. S. Jeon, 16 : 2-, 2007

      5 이재봉,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이수 형태와 대학 입학 시험 분석" 한국물리학회 62 (62): 1043-1052, 2012

      6 "http://suneung.re.kr/"

      7 H. S. Hong, "Understanding Curriculum and Curriculum Development" Muneumsa 18-, 2002

      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9-41"

      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Guidebook"

      10 Ministry of Education,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Guidebook" Daehan Textbook 1-, 2001

      1 W. K. Oh, 21 : 2-, 2012

      2 J. Ahn, 21 : 12-, 2012

      3 S. W. Kim, 21 : 5-, 2012

      4 J. S. Jeon, 16 : 2-, 2007

      5 이재봉,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이수 형태와 대학 입학 시험 분석" 한국물리학회 62 (62): 1043-1052, 2012

      6 "http://suneung.re.kr/"

      7 H. S. Hong, "Understanding Curriculum and Curriculum Development" Muneumsa 18-, 2002

      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9-41"

      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Guidebook"

      10 Ministry of Education,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Guidebook" Daehan Textbook 1-, 2001

      11 I. S. Jang, "Curriculum: Foundations, Principles, and Issues" Haksisa 384-, 2002

      12 H. S. Yoon,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KICE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