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조절효과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검증방법에 대하여 선행연구와 문헌들을 고찰하였고,「외식경영연구」창간호부터 2021년 12월까지 게재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논문들을 대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조절효과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검증방법에 대하여 선행연구와 문헌들을 고찰하였고,「외식경영연구」창간호부터 2021년 12월까지 게재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논문들을 대상...
본 연구에서는 조절효과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검증방법에 대하여 선행연구와 문헌들을 고찰하였고,「외식경영연구」창간호부터 2021년 12월까지 게재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조절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동향의 추세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조절효과를 검증한 전체 논문 중 약 54%가 최근 5년 동안 게재됨으로써 외식경영 연구자들의 조절효과에 대한 관심이 최근 들어 더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둘째,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방법으로는 주로 회귀분석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비중이 소폭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주로 사용하는 조절변수의 형태는 연속형자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조절효과 검증 연구를 진행하려는 외식경영 연구자들에게 기초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외식경영 연구에서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가설설정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type and verification method of the moderating effect were consider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literatures, And among the papers published from the first issue of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to Decemb...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type and verification method of the moderating effect were consider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literatures, And among the papers published from the first issue of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to December 2021, analysis research trend of the papers tha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bout 54% of all papers tha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were published in the last 5 years, indicating that researchers studying foodservice management have recently been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moderating effect. Second, regression analysis was mainly used as a statistical metho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but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of using structural equations is slightly increasing recently. Third, the form of the mainly used moderating variable was found to be continuous data.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hypothesis setting for the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 in foodservice management research.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인수, "조절회귀분석의 통계적 검정력에 대한 연구" 13 : 2002
2 정선호 ; 양태석 ; 박중규,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에 관한 종합적 고찰" (사)한국심리학회 38 (38): 323-346, 2019
3 구동모, "연구방법론" 창명 2017
4 최창호 ; 유연우, "상황변수의 조절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SPSS와 AMOS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89-98, 2017
5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47-1168, 2010
6 고길곤,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문우사 2021
7 이창기 ; 정욱, "기업 내부 부서간의 협력이 신제품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환경적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품질경영학회 42 (42): 617-632, 2014
8 한인수, "경영연구에 있어서 조절효과검증에 관한 연구" 25 (25): 137-153, 2002
9 양오석 ; 박준민, "경영연구를 위한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 검증 방법에 대한 엄밀성 제고" 한국경영교육학회 29 (29): 249-291, 2014
10 Chaplin, W. F., "The next generation of moderator research in personality psychology" 59 (59): 143-178, 1991
1 한인수, "조절회귀분석의 통계적 검정력에 대한 연구" 13 : 2002
2 정선호 ; 양태석 ; 박중규,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에 관한 종합적 고찰" (사)한국심리학회 38 (38): 323-346, 2019
3 구동모, "연구방법론" 창명 2017
4 최창호 ; 유연우, "상황변수의 조절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SPSS와 AMOS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89-98, 2017
5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47-1168, 2010
6 고길곤,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문우사 2021
7 이창기 ; 정욱, "기업 내부 부서간의 협력이 신제품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환경적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품질경영학회 42 (42): 617-632, 2014
8 한인수, "경영연구에 있어서 조절효과검증에 관한 연구" 25 (25): 137-153, 2002
9 양오석 ; 박준민, "경영연구를 위한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 검증 방법에 대한 엄밀성 제고" 한국경영교육학회 29 (29): 249-291, 2014
10 Chaplin, W. F., "The next generation of moderator research in personality psychology" 59 (59): 143-178, 1991
11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12 감대웅 ; 이정훈 ; 전도현, "The Influence of the Menu Quality of Buffet Restaurants on Brand Image, Price Fairness, and Satisfaction : Moderating Effect of Payment Cost"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24 (24): 125-145, 2021
13 Edwards, J. R., "Seven deadly myths of testing moderation in organizational research. Statistical and methodological myths and urban legends: Doctrine, verity and fable in the organizational and social sciences"
14 이형권, "Mplus 를 이용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신영사 2018
15 Sharma, S.,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moderator variables" 18 (18): 291-300, 1981
16 Cohen, J., "Applied multiple correlation/regress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003
윤리적 소비의식이 친환경 식품 소비자 만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전지식을 조절효과로
온라인 주문 배달 음식의 주요 서비스품질 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재이용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산업에서의 경쟁력 있는 프랜차이즈 점포 찾기와 점포 믹스
TBSS를 기반한 디저트 카페 메뉴의 푸드디자인속성이 소비자 감성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45 | 2.45 | 2.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48 | 2.37 | 2.735 | 0.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