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여자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선수들의 참가 경험과 의미를 심층 고찰하고, 그들의 관점에서 단일팀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평창동계올림픽 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여자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선수들의 참가 경험과 의미를 심층 고찰하고, 그들의 관점에서 단일팀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평창동계올림픽 남...
본 연구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여자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선수들의 참가 경험과 의미를 심층 고찰하고, 그들의 관점에서 단일팀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평창동계올림픽 남북단일팀 여자아이스하키 선수 9명(단일팀 전체 선수 35명의 25%, 남한 선수 23명의 39%)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뒤 현상학적 연구방법(Phenomenological Research)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자료는 선수들과의 심층 면담(In-depth Interview) 내용을 주 자료로 하되 여기에 인터넷 기사, 유튜브(YouTube) 동영상, 다큐멘터리, 영화 등을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첫째, 대한민국 여자아이스하키 대표팀 선수들이 꿈꿨던 올림픽은 남북단일팀이라는 정치적 변수를 수용한 채 실현되었다. 둘째, 여자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은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을 이끌었지만, 정작 선수들은 평창동계올림픽을 “실패한 대회”로 여겼다. 셋째, 남북단일팀 선수들은 평창동계올림픽을 통해 정치적으로 구성된 남북단일팀 선수라는 점에서 동병상련의 감정을 경험하였다. 결국, 평창동계올림픽은 평화올림픽의 의미를 첨가하는 데 성공했으나 이를 직접 체험한 선수들에게 있어서는 “실패한 올림픽”으로 기억되었다. 위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외면 받아 온 여자아이스하키 선수들의 관점에서 남북단일팀 참가 경험과 의미를 살펴본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향후 스포츠 남북단일팀 구성에 있어 고려해야 할 미시적 사안의 준거를 제시한 점에서 실제적 함의를 담고 있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열, "女 아이스하키 단일팀 추진… 마냥 희망차지는 않은 현실"
2 이남인, "현상학적 사회학" 한국현상학회 (33) : 5-39, 2007
3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4 송대성, "평창올림픽 女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논의 탄력 붙나"
5 권종오, "평창올림픽 남북 단일팀 꿈틀"
6 이정민 ; 서효민 ; 이진환 ; 장경로,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위기인식이 올림픽기대감과 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1 (21): 83-96, 2016
7 이희복, "평창동계올림픽과 강원도 도시 브랜딩"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4 (24): 273-293, 2016
8 서세훈,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의 정책변동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9 이창범 ; 김승인, "평창동계올림픽 사후 관광객 재유치 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외 유명 축제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27-334, 2018
10 서원재 ; 박성희 ; 김남수 ; 한승진, "평창동계올림픽 빙상시설 사후활용 방안" 국가정책연구소 30 (30): 255-276, 2016
1 김형열, "女 아이스하키 단일팀 추진… 마냥 희망차지는 않은 현실"
2 이남인, "현상학적 사회학" 한국현상학회 (33) : 5-39, 2007
3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4 송대성, "평창올림픽 女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논의 탄력 붙나"
5 권종오, "평창올림픽 남북 단일팀 꿈틀"
6 이정민 ; 서효민 ; 이진환 ; 장경로,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위기인식이 올림픽기대감과 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1 (21): 83-96, 2016
7 이희복, "평창동계올림픽과 강원도 도시 브랜딩"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4 (24): 273-293, 2016
8 서세훈,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의 정책변동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9 이창범 ; 김승인, "평창동계올림픽 사후 관광객 재유치 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외 유명 축제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27-334, 2018
10 서원재 ; 박성희 ; 김남수 ; 한승진, "평창동계올림픽 빙상시설 사후활용 방안" 국가정책연구소 30 (30): 255-276, 2016
11 조보연,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지방정부신뢰와 지역 사회적 의식 간 영향 관계 연구" 단국대학교 2014
12 김철래, "평창-강릉의 지역간 산업연관모형과 평창동계올림픽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실증분석" 가톨릭관동대학교 2015
13 김진국 ; 김도훈, "평창 동계올림픽과 지역사회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5 (55): 379-388, 2016
14 이희복,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와 개최 과정에서의 강원도 브랜드 이미지 제고 방안" 한국PR학회 10 (10): 161-196, 2007
15 권혁미, "평창 동계올림픽 선수촌 및 관계자 숙박시설 사후활용 방안 연구" 경희사이버대학교 2015
1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Ⅴ : Data Analysis" 아카데미프레스 2016
17 김영천, "질적 연구 : 열다섯 가지 접근" 아카데미프레스 2017
18 "이소정(기자)(2017.10.31). 평창동계올림픽 특집 D-100 ‘원 바디! 꼴찌들의 반란’. [TV 방송]"
19 "이소정(Reporter)(2018.2.20.). 원 바디! 끝나지 않은 도전. [TV 방송]"
20 김병문, "스포츠외교와 평창동계올림픽"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7 (17): 107-132, 2014
21 황용필, "스포츠 메가 이벤트의 그랜드슬램 달성이후 한국 스포츠외교의 방향과 과제"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3 (23): 959-972, 2012
22 오갑진, "스포츠 마케팅의 꽃 올림픽 : 2018 한국 평창 동계올림픽유치 가능한가?" 45 (45): 59-65, 2011
23 중앙일보, "북한 김정은 신년사"
24 정용하 ; 강성훈, "박근혜 정부의 대북통일정책과 대학생의 남북관계 인식변화 - 노무현 정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5) : 137-168, 2015
25 이신욱, "문재인정부의 통일정책과 추진환경" 한국윤리학회 1 (1): 273-294, 2017
26 홍석훈, "문재인 정부의 평화・통일정책:북핵 문제와 미・중관계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9 (19): 45-68, 2018
27 이창헌,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 전망과 과제" 인문사회 21 8 (8): 1285-1298, 2017
28 김강녕, "문재인 정부의 국방·군사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통일전략학회 17 (17): 111-164, 2017
29 김재성, "메가이벤트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평창 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2013
30 안동규, "동계올림픽이 국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 분석" 10 : 47-77, 2007
31 김주영, "동계올림픽 개최발표가 강원도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발전에의 시사점"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63-76, 2013
32 박주한, "남북한 스포츠 교류의 실상과 전망" 31 (31): 2091-2099, 1992
33 Roysircar, G., "Understanding immigrants: Acculturation theory and research"
34 Van Manen, M., "Researching lived experienc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0
35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1998
36 Kwon, J. O., "PyeongChang Olympic Unified Team (2017.5.23.)"
37 정주섭 ; 박정훈, "Psychological Variations in Pyungchang Residents Resulting from Failure to Host the Winter Olympics for 2010 and 2014" 한국사회체육학회 (42) : 161-172, 2010
38 Moustakas, 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1994
39 Greenland, K., "Acculturation and contact in Japanese students studying in the United Kingdom" 145 (145): 373-390, 2005
40 Berry, J. W.,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3 (3): 291-326, 1997
41 이계영 ; 김흥태,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평화올림픽 성과와 과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 (12): 151-166, 2018
42 변연하 ; 김흥태 ; 김동선,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현안과 과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5 (5): 129-137, 2011
43 김흥태,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 환경분석과 전략"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5 (5): 14-24, 2011
44 함석종, "2018평창동계올림픽 빙상경기시설의 중장기적인 활용방안 연구 - 외국사례검토와 컨벤션·이벤트 도시(C&E City) 구상을 중심으로 -"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5 (15): 371-392, 2016
45 박진경 ; 박명숙 ; 태혜신,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올림픽레거시와 경기장 시설 사후활용방안" 한국체육학회 53 (53): 357-372, 2014
46 신승호, "2018 평창동계올림픽시설 사후활용 방안" 34 : 5-22, 2018
47 김두휘, "2018 평창동계올림픽경기장 시설의 사후 활용에 관한 연구" 24 : 1-16, 2012
48 조현지, "2018 평창동계올림픽 레거시에 대한 인식과 주민참여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17
49 이문태, "(A)Study on the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strategy for the international sports events bidding : case study on the Pyungchang Winter Olympic Games bidding strategy"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7
연관규칙과 미래신호 분석을 적용한 대중과 언론의 웰빙 트렌드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4 | 1.34 | 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4 | 1.45 | 1.24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