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교통사고-인체상해 데이터베이스 기반 차량 탑승자 상해 중증도 영향요인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042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통사고-인체상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통사고, 차량파손 자료 및 사고차량 탑승자의 심층 의료기록을 이용하여 사고 당시 탑승자가 중증 외상을 입었지만 생존하는 경우대...

      본 연구는 교통사고-인체상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통사고, 차량파손 자료 및 사고차량 탑승자의 심층 의료기록을 이용하여 사고 당시 탑승자가 중증 외상을 입었지만 생존하는 경우대비 중증 외상 후 사망한 경우를 비교한 후, 탑승자의 생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Sequential Logistic Regression모형의 두 포맷을 사용하여 외상 중증도를 예측하였고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커브의 넓이를 비교하여 더 우수한 포맷을 선택하였다. 그 결과, Sequential Logistic Regression모형의 Forward 포맷이Backward 포맷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특히, 병원 전 응급의료서비스 시간이 24분이 초과될 경우에 중증 외상 후 생존 대비 사망 확률을 약 540%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통사고의 주 원인이 졸음이나 기기조작과 같은 운전자의 부주의일 경우, 중증 외상 후 생존 대비 사망확률을 약 380%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응급의료 구급차의 개수, 응급의료 처치 인력 및 장비 증가, 긴급차량 우선신호 시스템 운영, 럼블스트립 혹은 고속도로 졸음쉼터 증설, 운전 중 스마트 폰 기기 제한 법제화 및 관련 캠페인, 운전자 교육과 같은 대안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고장소의 위치정보를 추가적으로 통합하여 GIS공간 클러스터링으로 발전시킨다면 안전향상대책 시행의 우선순위 지역을 선정하는 근거로도 본 연구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fluential factors on injury severities, especially severe injury versus fatality, involved in traffic accidents using crash type, vehicle damage, victim’s medical records from in-depth traffic accident database. To compl...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fluential factors on injury severities, especially severe injury versus fatality, involved in traffic accidents using crash type, vehicle damage, victim’s medical records from in-depth traffic accident database. To complete the study aim, forward and backward formats for sequent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their areas under the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s were compared to select the optimal model format. As a result, forward format outperformed backward format. In the forward format,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time was significant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fatality compared to that of severe injury by 540% if the EMS vehicle response time was longer than 24minutes. Driver carelessness as the main cause of traffic accident was also significant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fatality compared to that of severe injury by 380%. Based on the resultant findings, safety improvement strategies such as enhancing EMS vehicles, professionals, equipment for quick initial medical aid, and EMS priority signals could be recommended to reduce the pre-hospital EMS time. Implementing more rumble strips or supplemental rest areas would also be helpful to reduce driver’s carelessness during driving. In addition, legislation for banning handheld phone, the relevant campaign or driver education program would be supportive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traffic accident fatality as one of the safety improvement strategies. Combining the resultant findings and additional accident location information with GIS spatial clustering,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decision making for prioritizing future improvement policy implement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초록
      • 서론
      • 선행연구
      • 연구방법론
      • Abstract
      • 초록
      • 서론
      • 선행연구
      • 연구방법론
      • 연구결과
      •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