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실태 = A Status of Vocational Consciousness of Students in a Regional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51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at university students have and how they prepare toward their future course to make career guidance system that help them choose their best job.
      We referred to the literature on the stage of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their Vocational consciousness in order to achieve our goal. In addition, we surveyed 500 students who go to a regional university, attending lecture on ‘occupation and course’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areer guidanc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after considering what their features are.
      Examine the developmental, continuous and chronic indecision state of the students, and then career guidance program should be run by those results.
      The supporting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to run a effective career guidance program. For example, using colleagues as mentor is good way to run this program effectively.
      Develop a text that can help professors who provide a career information to the students and popularize it to the students.
      We need a research to understand why a lot of women who have a job stop working after getting married.
      We have to examine vocational consciousness of the university students regularly, and make the results based on the examination databases. At last, we need a modifying and complement of the career guidance programs for the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the databas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at university students have and how they prepare toward their future course to make career guidance system that help them choose their best job. We referred to the literature on the stage of the develop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at university students have and how they prepare toward their future course to make career guidance system that help them choose their best job.
      We referred to the literature on the stage of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their Vocational consciousness in order to achieve our goal. In addition, we surveyed 500 students who go to a regional university, attending lecture on ‘occupation and course’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areer guidanc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after considering what their features are.
      Examine the developmental, continuous and chronic indecision state of the students, and then career guidance program should be run by those results.
      The supporting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to run a effective career guidance program. For example, using colleagues as mentor is good way to run this program effectively.
      Develop a text that can help professors who provide a career information to the students and popularize it to the students.
      We need a research to understand why a lot of women who have a job stop working after getting married.
      We have to examine vocational consciousness of the university students regularly, and make the results based on the examination databases. At last, we need a modifying and complement of the career guidance programs for the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the databa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진로 미결정 상황을 벗어나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적합한 ‘최적의 직업’을 선택하여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진로지도체제 구축을 위하여 대학생이 어느 정도, 어떻게 진로를 준비하고 있으며, 어떤 직업의식을 갖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대학생 진로발달 특성과 직업의식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지방 소재 대학 재학생 중 ‘직업과 진로’ 수강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첫째, 진로지도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특성(학년 및 성별 등)을 반영하여 개발·운영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발달적 미결정 상태와 지속적·만성적 미결정 상태를 진단하여, 진단 결과에 따른 맞춤형 진로 지도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셋째, 효과적으로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친구·선배 등을 mentor로 활용하거나, 친구나 선배가 활용할 수 있는 진로정보 책자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관련 분야에서 성공한 인물의 사례집을 발간하여 이를 보급하는 등의 지원 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넷째, 학과 교수가 수업 시간에 관련 분야의 진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진로 지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재를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구체적으로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고, 결혼과 함께 직장을 그만두겠다는 여학생의 응답이 비교적 많은 상황에서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주기적으로 대학생의 직업의식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DB화하여 대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진로 미결정 상황을 벗어나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적합한 ‘최적의 직업’을 선택하여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진로지도체제 구축을 위하여 대학생이 어느 정도,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진로 미결정 상황을 벗어나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적합한 ‘최적의 직업’을 선택하여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진로지도체제 구축을 위하여 대학생이 어느 정도, 어떻게 진로를 준비하고 있으며, 어떤 직업의식을 갖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대학생 진로발달 특성과 직업의식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지방 소재 대학 재학생 중 ‘직업과 진로’ 수강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첫째, 진로지도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특성(학년 및 성별 등)을 반영하여 개발·운영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발달적 미결정 상태와 지속적·만성적 미결정 상태를 진단하여, 진단 결과에 따른 맞춤형 진로 지도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셋째, 효과적으로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친구·선배 등을 mentor로 활용하거나, 친구나 선배가 활용할 수 있는 진로정보 책자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관련 분야에서 성공한 인물의 사례집을 발간하여 이를 보급하는 등의 지원 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넷째, 학과 교수가 수업 시간에 관련 분야의 진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진로 지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재를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구체적으로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고, 결혼과 함께 직장을 그만두겠다는 여학생의 응답이 비교적 많은 상황에서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주기적으로 대학생의 직업의식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DB화하여 대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2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3 "한국인의 직업의식 구조 - 예비적 고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4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과 개인변인에 관한 연구" 14 (14): 141-160, 2002

      5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1

      6 "초임 실과 교사의 직무 수행 실태 및 대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4): 2001b

      7 "초 중 고교생 및 대학생을 위한 직업지도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및 개정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 2005

      8 "체계적인 경력 개발" 경일대학교 출판부 2004b

      9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생의 진로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18 (18): 261-278, 2004

      10 "진로발달 측정에 관한 연구" 4 : 127-145, 1995

      1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2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3 "한국인의 직업의식 구조 - 예비적 고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4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과 개인변인에 관한 연구" 14 (14): 141-160, 2002

      5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1

      6 "초임 실과 교사의 직무 수행 실태 및 대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4): 2001b

      7 "초 중 고교생 및 대학생을 위한 직업지도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및 개정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 2005

      8 "체계적인 경력 개발" 경일대학교 출판부 2004b

      9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생의 진로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18 (18): 261-278, 2004

      10 "진로발달 측정에 관한 연구" 4 : 127-145, 1995

      11 "진로 이론에 근거한 진로 지도" 대구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2002

      12 "직업교육학 원론(제3판)" 교육과학사 2002

      13 "전문대학 학생의 학습능력 개발 모듈식 프로그램 개발" 2001a

      14 "전문대 비서과 재학생의 진로미결정과 애착 자기효능감의 관계 연구" 14 (14): 193-217, 2005

      15 "일반계 여자고등학생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16 "여성생애주기별 특성에 따른 교육체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부 2000

      17 "여성관련 사회 통계 및 지표" 2000

      18 "여성 인적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여학생 진로지도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19 "여성 고급인적자원의 활용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00

      20 "여대생의 취업률 저조원인에 대한 연구" 1995

      21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진로탐색 집단상담의 효과 및 과정 연구" 4 (4): 101-136, 1999

      22 "실무교육중심대학에서의 학습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한국농업교육학회 36 (36): 2004

      23 "수원여자대학의 진로지도 교과목 및 교재 개발 연구" 수원여자대학 2002

      24 "성공적인 직장 생활" 경일대학교 출판부 2004a

      25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22 : 2001

      26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동기 요인 및 애착의 관계 분석" 22 (22): 115-143, 2003

      27 "대학생의 진로발달우형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진로장애와의 관계" 2002

      28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9): 311-333, 1997

      29 "대학생의 재학중 일자리 체험과 취업준비" 22 (22): 169-184, 2003

      30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1993

      31 "대학생의 부모와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16 (16): 1-18, 2003

      32 "대학생들의 애착과 진로발달과의 관계" 13 (13): 51-69, 2001

      33 "대학 진로서비스 평가준거 개발" 2006

      34 "What is person-environment congruence? Supplementary versus complementary models of fi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68-277, 1987

      35 "The career indecision of managers and professionals: an examination of multiple subtypes" 41 (41): 212-231, 1992

      36 "Human Resource Selection" The Dryden Press 1994

      37 "Goals and direction in personal planning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54-462, 1977

      38 "Coping with decisional conflict" 64 657-667, 1976

      39 "Career management" Dryden Press 1994

      40 "Career gridlock: baby boomers hit the wall" (4) : 7-22, 1990

      41 "Career Management" The Dryden Pressm 1994

      42 "A worknonwork interactive perspective of stress and its consequenc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37-60, 1986

      43 "A conception of adult development" 41 3-13,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