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Creating and applying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012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화, 국제화 같은 현상을 거점으로 입시와 취업에서 영어점수를 빼놓을 수 없기에 한국교육에서 영어교육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영어영역은 대학입시에서 등급의 반영 비율이 높은 과목으로 수험생들의 부담이 크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학생들 사이의 경쟁심을 초래하였으며,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넘는 과잉학습을 유발시키고, 나아가 학생들간의 영어실력의 격차를 더 별러 놓는 문제점들을 야기시켰다. 초등학교에서부터 영어실력의 격차가 벌어짐으로써 각각의 학생들의 영어실력과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와 흥미를 향상 시키기에 적합한 정규영어수업을 운영하기가 어려워졌다. 이러한 문제는 학생들이 더욱더 영어사교육에 의존하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한 초등학교 학습과진아들을 위한 영어쓰기 활동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이러한 영어쓰기활동이 학습과진아들의 학습동기,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쓰기 활동에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의 활용하여 정규영어수업 안에서도 개인별 학습이 가능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서울의 한 사립초등학교에 재학 중이었던 45명의 4학년 학생들이었으며, 이들은 학교에서 실행된 영어시험에서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하다고 평가된 학생들이었다. 정규 영어교과서에 있는 내용을 토대로 태블릿 컴퓨터, 구글문서, 에드모도, 그리고 인터넷을 사용한 과정중심쓰기 활동을 만들고 이를 정규 영어수업시간에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로서는 쓰기활동 사전, 사후 설문지, 학생들과의 인터뷰, 교사활동일지, 그리고 학생들의 쓰기활동내용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첫 번째, 학생들에게 익숙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쓰기활동이 학습과진아들의 영어학습동기를 향상 시켰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과정중심쓰기활동과 긍정적인 동료평가로 인해 학생들의 영어 자기효능감이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세 번째로, 학생들이 직접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쓰기활동이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번째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의 활용은 평소 교과서에서는 접할 수 없는 다양한 방법들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자료와 정보를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즉각적으로 원하는 답을 직접 찾아낼 수 있게 하였다. 나아가 학생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속도로 쓰기 활동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는 점등이 정규수업 활동 안에서도 개별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섯번째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수업에서 기계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학생들의 학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수업 전 기계들을 확인하고, 문제가 일어날 시에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한 초등학교 학습과진아들을 위해 정규영어수업을 통해 보다 더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기 효능감을 높여주고, 학생들의 영어실력의 격차가 큰 학급 안에서 조금 더 개별적인 영어학습의 기회를 높여주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흥미로운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학생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정규 영어교과서의 내용과 연결 된 영어쓰기 활동을 만들어 수업에 적용시켜 볼 가치가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디지털 기기 그리고 과정중심쓰기활동은 개개인의 학생이 본인에게 적합한 속도로 활동을 진행하여 정규영어수업 안에서도 개별학습을 유발시킴으로 영어실력의 차이가 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할 경우, 이러한 지도 방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세계화, 국제화 같은 현상을 거점으로 입시와 취업에서 영어점수를 빼놓을 수 없기에 한국교육에서 영어교육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영어영역은 대학입...

      세계화, 국제화 같은 현상을 거점으로 입시와 취업에서 영어점수를 빼놓을 수 없기에 한국교육에서 영어교육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영어영역은 대학입시에서 등급의 반영 비율이 높은 과목으로 수험생들의 부담이 크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학생들 사이의 경쟁심을 초래하였으며,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넘는 과잉학습을 유발시키고, 나아가 학생들간의 영어실력의 격차를 더 별러 놓는 문제점들을 야기시켰다. 초등학교에서부터 영어실력의 격차가 벌어짐으로써 각각의 학생들의 영어실력과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와 흥미를 향상 시키기에 적합한 정규영어수업을 운영하기가 어려워졌다. 이러한 문제는 학생들이 더욱더 영어사교육에 의존하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한 초등학교 학습과진아들을 위한 영어쓰기 활동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이러한 영어쓰기활동이 학습과진아들의 학습동기,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쓰기 활동에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의 활용하여 정규영어수업 안에서도 개인별 학습이 가능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서울의 한 사립초등학교에 재학 중이었던 45명의 4학년 학생들이었으며, 이들은 학교에서 실행된 영어시험에서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하다고 평가된 학생들이었다. 정규 영어교과서에 있는 내용을 토대로 태블릿 컴퓨터, 구글문서, 에드모도, 그리고 인터넷을 사용한 과정중심쓰기 활동을 만들고 이를 정규 영어수업시간에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로서는 쓰기활동 사전, 사후 설문지, 학생들과의 인터뷰, 교사활동일지, 그리고 학생들의 쓰기활동내용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첫 번째, 학생들에게 익숙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쓰기활동이 학습과진아들의 영어학습동기를 향상 시켰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과정중심쓰기활동과 긍정적인 동료평가로 인해 학생들의 영어 자기효능감이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세 번째로, 학생들이 직접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쓰기활동이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번째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의 활용은 평소 교과서에서는 접할 수 없는 다양한 방법들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자료와 정보를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즉각적으로 원하는 답을 직접 찾아낼 수 있게 하였다. 나아가 학생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속도로 쓰기 활동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는 점등이 정규수업 활동 안에서도 개별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섯번째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수업에서 기계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학생들의 학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수업 전 기계들을 확인하고, 문제가 일어날 시에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한 초등학교 학습과진아들을 위해 정규영어수업을 통해 보다 더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기 효능감을 높여주고, 학생들의 영어실력의 격차가 큰 학급 안에서 조금 더 개별적인 영어학습의 기회를 높여주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흥미로운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학생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정규 영어교과서의 내용과 연결 된 영어쓰기 활동을 만들어 수업에 적용시켜 볼 가치가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디지털 기기 그리고 과정중심쓰기활동은 개개인의 학생이 본인에게 적합한 속도로 활동을 진행하여 정규영어수업 안에서도 개별학습을 유발시킴으로 영어실력의 차이가 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할 경우, 이러한 지도 방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create and apply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which can be used in regular English classes in schools. Forty-five fourth grade overachievers from a privat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regular English classes.
      Many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proved to be more advanced tha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andard which is set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This is namely caused by the prerequisite English education that students receive before starting official English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is caused probl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esign and conduct English lessons for overachievers whose English proficiency level is higher tha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andard. Thus,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and parents feel that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 is not sufficient, and feel more needs for private English education to improve English skill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Moreo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researcher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English writing skills and argued that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textbooks lack writing practice in comparison to other areas of English.
      Thus,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create and apply the process writing activity based on the national English textbook which can be conducted in regular English class in elementary schools for overachievers. Furthermore, as many studie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learning and a rise in motivation when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s are used in education, the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Edmodo and internet were integrated into the process writing activity so the students could complete the activity according to their own learning pace.
      The study employed pre-writing activity and post-writing activity surveys, student interviews, teacher’s log, and students’ in-class work to observe the result of the writing activity. The researcher focused especially on affective domain such as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tudents’ individualized learning experience.
      The study’s result showed positive outcomes of the rise i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among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students’ work displayed the individualized learning experience due to the use of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and internet.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a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the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Edmodo and internet should be recommended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whose English abilities are superior to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find regular English class not motivating. Moreover, the study can be served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designing and applying English lessons that can be more suitable for overachievers in a regular school class wher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all varies.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create and apply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which can be used in regular English classes in schools. Forty-five fourth grade overachievers from a pri...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create and apply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which can be used in regular English classes in schools. Forty-five fourth grade overachievers from a privat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regular English classes.
      Many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proved to be more advanced tha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andard which is set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This is namely caused by the prerequisite English education that students receive before starting official English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is caused probl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esign and conduct English lessons for overachievers whose English proficiency level is higher tha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andard. Thus,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and parents feel that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 is not sufficient, and feel more needs for private English education to improve English skill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Moreo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researcher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English writing skills and argued that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textbooks lack writing practice in comparison to other areas of English.
      Thus,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create and apply the process writing activity based on the national English textbook which can be conducted in regular English class in elementary schools for overachievers. Furthermore, as many studie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learning and a rise in motivation when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s are used in education, the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Edmodo and internet were integrated into the process writing activity so the students could complete the activity according to their own learning pace.
      The study employed pre-writing activity and post-writing activity surveys, student interviews, teacher’s log, and students’ in-class work to observe the result of the writing activity. The researcher focused especially on affective domain such as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tudents’ individualized learning experience.
      The study’s result showed positive outcomes of the rise i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among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students’ work displayed the individualized learning experience due to the use of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and internet.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a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the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Edmodo and internet should be recommended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whose English abilities are superior to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find regular English class not motivating. Moreover, the study can be served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designing and applying English lessons that can be more suitable for overachievers in a regular school class wher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all var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