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룹홈 거주 자폐성장애 성인자녀가 일반가정에서 보이는 어머니와의 부정적 상호작용에 관한 참여관찰 = A Participant Observation on the Negative Interaction with His Mother at Family Home of Adul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Living at Group Ho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54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룹홈에 거주하는 자폐성장애 성인자녀가 일반가정에서 어머니에게 보이는 부정적 상호작용의 현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S시 복지관의 그룹홈
      에 거주하는 자폐성장애의 남자 성인 한 명이며, 이 참여자는 주말을 이용하여 일반가정을 방문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 연구의 한 가지 기법인 참여관찰
      을 적용하였다. 이런 참여관찰은 어머니 면담과 연구 참여자의 그룹홈 생활 참관이 포함된 예비연구와 함께 실시되었다. 참여관찰은 1.5년간 실시되었으며, 장기간 동안 참여관찰이 단
      순 반복된 형태로 실시되는 한계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비관찰, 집중관찰, 추수관찰과 같은 체계적인 절차기술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는 6가지(소아적 의존 현상, 집착 현
      상, 책임전가 현상, 성적 행동문제 현상, 고립 현상, 불안 현상)의 현상으로 일반가정에서 어머니에게 부정적 상호작용을 보였다. 그리고 위 6가지 현상은 어느 한 현상이 크게 높거나
      낮지 않고 연구 참여자의 일반가정의 일과 중에 고르게 관찰되었다. 또한, 이런 6가지 현상은 연구 참여자가 기본적으로 자신의 선호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고집을 부리거나 떼를
      쓰는 주요 수단으로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결과는 그룹홈과 일반가정의 연계에 기반을 둔 자폐성장애학생의 자립생활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그룹홈에 거주하는 자폐성장애 성인자녀가 일반가정에서 어머니에게 보이는 부정적 상호작용의 현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S시 복지관의 그룹홈 에 거주...

      본 연구는 그룹홈에 거주하는 자폐성장애 성인자녀가 일반가정에서 어머니에게 보이는 부정적 상호작용의 현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S시 복지관의 그룹홈
      에 거주하는 자폐성장애의 남자 성인 한 명이며, 이 참여자는 주말을 이용하여 일반가정을 방문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 연구의 한 가지 기법인 참여관찰
      을 적용하였다. 이런 참여관찰은 어머니 면담과 연구 참여자의 그룹홈 생활 참관이 포함된 예비연구와 함께 실시되었다. 참여관찰은 1.5년간 실시되었으며, 장기간 동안 참여관찰이 단
      순 반복된 형태로 실시되는 한계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비관찰, 집중관찰, 추수관찰과 같은 체계적인 절차기술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는 6가지(소아적 의존 현상, 집착 현
      상, 책임전가 현상, 성적 행동문제 현상, 고립 현상, 불안 현상)의 현상으로 일반가정에서 어머니에게 부정적 상호작용을 보였다. 그리고 위 6가지 현상은 어느 한 현상이 크게 높거나
      낮지 않고 연구 참여자의 일반가정의 일과 중에 고르게 관찰되었다. 또한, 이런 6가지 현상은 연구 참여자가 기본적으로 자신의 선호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고집을 부리거나 떼를
      쓰는 주요 수단으로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결과는 그룹홈과 일반가정의 연계에 기반을 둔 자폐성장애학생의 자립생활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negative interaction with his mother at family home adul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living at group home. The participant studied is an adul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 lives at a
      group home in a welfare center in ‘S’ city and visit his family home on the weekends. For this purpose, a participant observation, a qualitative method, was
      conducted together with a preliminary study including the interview with the mother and observation the participant’s life in the group home. The participant observation has been conducted for about 1.5 years, and systematic procedural methods, such as preliminary observation, focused observation, follow-up observa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problems that a long-term participant observation simply becomes the repetition of the same observational contents.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participant showed six types of negative interactions(infantile dependency, obsession, imputation of responsibility, sexual uncleanliness, isolation, and anxiety)
      with the mother at family home, and those six types were evenly observed during the life at the family home. These six types were common in that they are main ways of insisting for the satisfaction of his needs or desire.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guidance to the successful conditions under which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living at group home can improve their abilities for
      independent living.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negative interaction with his mother at family home adul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living at group home. The participant studied is an adul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 lives at a group home in a we...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negative interaction with his mother at family home adul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living at group home. The participant studied is an adul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 lives at a
      group home in a welfare center in ‘S’ city and visit his family home on the weekends. For this purpose, a participant observation, a qualitative method, was
      conducted together with a preliminary study including the interview with the mother and observation the participant’s life in the group home. The participant observation has been conducted for about 1.5 years, and systematic procedural methods, such as preliminary observation, focused observation, follow-up observa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problems that a long-term participant observation simply becomes the repetition of the same observational contents.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participant showed six types of negative interactions(infantile dependency, obsession, imputation of responsibility, sexual uncleanliness, isolation, and anxiety)
      with the mother at family home, and those six types were evenly observed during the life at the family home. These six types were common in that they are main ways of insisting for the satisfaction of his needs or desire.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guidance to the successful conditions under which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living at group home can improve their abilities for
      independent liv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2
      • Ⅱ. 연구 방법 4
      • 1. 연구 참여자 4
      • 2. 자료 수집 6
      • 1) 예비연구: 부모 면담 및 연구 참여자의 그룹홈 생활 참관 7
      • Ⅰ. 서 론 2
      • Ⅱ. 연구 방법 4
      • 1. 연구 참여자 4
      • 2. 자료 수집 6
      • 1) 예비연구: 부모 면담 및 연구 참여자의 그룹홈 생활 참관 7
      • 2) 참여관찰 9
      • 3) 자료 전사 11
      • 3. 자료 분석 11
      • 4. 연구의 신뢰성(trustworthiness) 확보를 위한 노력 12
      • Ⅲ. 연구 결과 13
      • 1. 소아적 의존 현상 13
      • 2. 집착 현상 14
      • 3. 책임전가 현상 15
      • 4. 성적 행동문제 현상 16
      • 5. 고립 현상 17
      • 6. 불안 현상 18
      • Ⅳ. 논의 및 결론 1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준, "지적장애학생 부모교육에서 초임 특수교육교사가 어머니와 경험하는 부정적 의사소통 유형 사례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219-243, 2013

      2 김영준, "지적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지원에 따른 사회통합 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3 강경숙, "지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을 통해 본 부적강화의 덫" 한국교육인류학회 15 (15): 85-122, 2012

      4 김영준,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지적장애학생 부모의 인식과 개선방향 모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67-93, 2009

      5 박은송, "중도ㆍ중복장애인의 자립생활지원을 통한 지역사회 통합 방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1-19, 2012

      6 김영준, "전공과를 졸업한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가정에서의 삶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71-101, 2013

      7 이상복, "자폐아 부모상담에 나타난 교육재활 관련 질적 연구" 7 : 3-29, 1998

      8 강경숙, "어머니와 지적장애자녀간의 부적강화의 덫에 대한 특수교육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77-199, 2012

      9 강경숙, "발달지체유아 부모교육에서 어머니중심 관점에 선 초임 유아특수교육교사의 갈등심리 사례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7 (7): 1-20, 2012

      10 조성연, "그룹홈과 일반가정 아동의 어머니 양육행동과 형제자매관계 및 사회적 적응" 한국생활과학회 13 (13): 381-391, 2004

      1 김영준, "지적장애학생 부모교육에서 초임 특수교육교사가 어머니와 경험하는 부정적 의사소통 유형 사례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219-243, 2013

      2 김영준, "지적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지원에 따른 사회통합 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3 강경숙, "지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을 통해 본 부적강화의 덫" 한국교육인류학회 15 (15): 85-122, 2012

      4 김영준,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지적장애학생 부모의 인식과 개선방향 모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67-93, 2009

      5 박은송, "중도ㆍ중복장애인의 자립생활지원을 통한 지역사회 통합 방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1-19, 2012

      6 김영준, "전공과를 졸업한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가정에서의 삶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71-101, 2013

      7 이상복, "자폐아 부모상담에 나타난 교육재활 관련 질적 연구" 7 : 3-29, 1998

      8 강경숙, "어머니와 지적장애자녀간의 부적강화의 덫에 대한 특수교육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77-199, 2012

      9 강경숙, "발달지체유아 부모교육에서 어머니중심 관점에 선 초임 유아특수교육교사의 갈등심리 사례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7 (7): 1-20, 2012

      10 조성연, "그룹홈과 일반가정 아동의 어머니 양육행동과 형제자매관계 및 사회적 적응" 한국생활과학회 13 (13): 381-391, 2004

      11 김영준, "가족지원서비스 측면에서 본 초임 유아특수교육교사의 부모교육상 어려움에 대한 대처과정 사례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6 (6): 39-58, 2011

      12 김영준, "가족지원서비스 관점에서 본 유아특수교육교사와의 협력이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5 (25): 275-310, 2009

      13 Inge, K.,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Ed 69-84, 1996

      14 Osher, T. W., "The paradigm shift to true collaboration with families" 11 (11): 47-60, 2002

      15 Bogdan, C. R,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Allyn and Bacon 1992

      16 Wehman, P., "Principles of curriculum design: Road to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In Func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and secondary ag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Pro-Ed 1-36, 2004

      17 Creed, P. A., "Predicting change over time in career planning and career explor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30 (30): 377-392, 2007

      18 Scheuermann, B. K., "Positive behavioral support for the classroom" Pearson Education 2008

      19 Patterson, G. R., "Mothers : The Unacknowledged Victims" 45 (45): 1-64, 1980

      20 Powers, K., "Mandates and effective transition planning practices reflected in IEPs" 28 : 47-59, 2005

      21 Gray, K., "Is high school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obsolete?" 86 (86): 128-134, 2004

      22 김경화, "Involving Parents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in Transition Planning"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1-14, 2011

      23 Sitlington, P. L., "Informal assessments for transition to post-secondary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PRO-ED 2008

      24 Walker, B., "Improving collaborative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ionals and parents, In Families, disability, and empowerment: Active coping skills and strategies for family interventions" Paul H. Brooks 285-315, 1993

      25 Morgan, D. L.,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Sage 1997

      26 Krauss, M. W., "Family assessment within early intervention programs, In Handbook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0-308, 2000

      27 Turnbull, A. P., "Families, professional, and exceptionality : Collaborating for empowerment" Merill/Prentice Hall 2001

      28 Luchshyn, J. M., "Families & positive behavior support: Addressing problem behavior in family contexts" Paul H. Brookes 2002

      29 Zhang, C., "Facilitating the meaningful participation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families in the IFSP and IEP process" 18 (18): 51-59, 2003

      30 Moes, D. R., "Contextualized behavioral support in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ir families" 32 (32): 519-533, 2002

      31 Kazdin, A. E., "Conduct disorder, In The practice of child therapy" Allyn & Bacon 199-230, 1998

      32 Harvey, M. W., "Comparison of post-secondary transitional outcomes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by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articipation : Findings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tudy" 25 (25): 99-122, 2002

      33 Feldman, M. A., "Collateral effects of behavioral parent training on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behavior disorders" 17 (17): 75-83, 2002

      34 Brolin, D. E., "Career development and transition services: A functional life skills approach" Merrill/Prentice Hall 2004

      35 Janney, R., "Behavioral support" Brookes 2000

      36 Walker, H. M., "Antisocial behavior in school: Strategies and best practices" Brooks/Cole 2004

      37 Patterson, G. R., "A mediational model for boys' depressed mood, I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1-163,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