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종화, "해방기 한국영화계의 ‘예술영화’ 지향 - 영화 <해연>과 관련 잡지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54 (54): 357-392, 2016
2 이효인, "한국영화역사강의1" 이론과실천 1992
3 이현경, "한국 근대 영화잡지 형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4 이효인, "카프영화와 프로키노의 전개과정 비교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1) : 447-479, 2012
5 서광제, "조선영화예술사"
6 윤기정, "조선영화는 진전하는가: <노래하는 시절>을 보고"
7 백문임, "조선 사회주의 영화담론의 전개" 대중서사학회 22 (22): 227-264, 2016
8 김순주, "제국의 ‘소리들’과 식민지 ‘이중 도시’의 변화: 1930년대 전반기 경성의 발성영화 상영과 상영 현장의 변화" 서울학연구소 (62) : 27-57, 2016
9 백문임, "임화의 영화" 소명출판 2015
10 김종원, "영화잡지의 역사 1919~1978" 현대미학사 20 (20): 47-52, 1978
1 정종화, "해방기 한국영화계의 ‘예술영화’ 지향 - 영화 <해연>과 관련 잡지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54 (54): 357-392, 2016
2 이효인, "한국영화역사강의1" 이론과실천 1992
3 이현경, "한국 근대 영화잡지 형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4 이효인, "카프영화와 프로키노의 전개과정 비교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1) : 447-479, 2012
5 서광제, "조선영화예술사"
6 윤기정, "조선영화는 진전하는가: <노래하는 시절>을 보고"
7 백문임, "조선 사회주의 영화담론의 전개" 대중서사학회 22 (22): 227-264, 2016
8 김순주, "제국의 ‘소리들’과 식민지 ‘이중 도시’의 변화: 1930년대 전반기 경성의 발성영화 상영과 상영 현장의 변화" 서울학연구소 (62) : 27-57, 2016
9 백문임, "임화의 영화" 소명출판 2015
10 김종원, "영화잡지의 역사 1919~1978" 현대미학사 20 (20): 47-52, 1978
11 이화진, "영화를 읽는 시대의 도래, 『영화시대』(1931-1949)─한국 근대 영화잡지와 토착적 영화 문화" 한국극예술학회 (63) : 15-50, 2019
12 전우형, "식민지 조선의 영화소설" 소명출판 2014
13 이화진, "소리의 정치, 식민지 조선의 극장과 제국의 관객" 현실문화 2016
14 Ellis, Jack C, "세계영화사" 이론과실천 1988
15 변재란, "대 전후 프롤레타리아 영화활동 연구" 중앙대 1930
16 Derrida, Jaques,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 동문선 2004
17 김유영, "<판도라의 상자>와 프로영화 <무엇이 그 여자를 그렇게 만들었느냐>를 보고서"
18 조영복, "1930년대 混種 텍스트와 畵文 樣式"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0 (40): 257-285,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