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ㆍ중등학생 대상 프로젝트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403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프로젝트법의 효과를 밝히고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첫째,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법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법의 종속변인인 학습효과별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법의 중재변인별로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이다. 연구의 결과 첫째,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법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641로 나타나, 프로젝트법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법의 종속변인별 평균 효과크기에서 학습태도 평균 효과크기가 .819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창의성 평균 효과크기가 .790, 자기 주도적 학습력 평균 효과크기가 .748, 학업성취도 평균 효과크기 .603, 그리고 문제해결력 평균 효과크기 .469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변인별 평균 효과크기 차이 비교에서 학교 급별, 참여인원별, 적용기간별, 교과 유형별로 평균 효과크기 결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중등학교 학생들의 프로젝트법의 효과는 학교 급별, 참여인원별, 교과유형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적용기간별 프로젝트법의 효과는 유의확률 p< .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교 급별은 초등학교에서 .812로 높은 평균 효과크기를 보였고, 참여인원은 1~20명의 적은 인원에서 1.097의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교과유형은 통합교과에서 1.015, 실과에서 .884의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프로젝트법의 효과를 밝히고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프로젝트법의 효과를 밝히고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첫째,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법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법의 종속변인인 학습효과별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법의 중재변인별로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이다. 연구의 결과 첫째,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법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641로 나타나, 프로젝트법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법의 종속변인별 평균 효과크기에서 학습태도 평균 효과크기가 .819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창의성 평균 효과크기가 .790, 자기 주도적 학습력 평균 효과크기가 .748, 학업성취도 평균 효과크기 .603, 그리고 문제해결력 평균 효과크기 .469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변인별 평균 효과크기 차이 비교에서 학교 급별, 참여인원별, 적용기간별, 교과 유형별로 평균 효과크기 결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중등학교 학생들의 프로젝트법의 효과는 학교 급별, 참여인원별, 교과유형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적용기간별 프로젝트법의 효과는 유의확률 p< .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교 급별은 초등학교에서 .812로 높은 평균 효과크기를 보였고, 참여인원은 1~20명의 적은 인원에서 1.097의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교과유형은 통합교과에서 1.015, 실과에서 .884의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meta-analysis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project metho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reveal the effect of the project method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s were raised as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ES) of project metho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learning effect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of project method? Third, what is the average effect size of each mediator variable of project metho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project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eared to be .641. Thus, it is proven that project method i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has positive impact. Second, mean effect size of learning attitude was .819 which was the largest among the dependent variables of project method, next the mean effect size of creativity was .790, the mean effect siz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748, the mean effect size of academic achievement was .603, an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solving ability was .469. Third, as for the comparison of the mean effect size differences of moderator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mean effect siz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school level,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the applied period, and the subject type. As a result, the school level, number of the participants, the subject type were found to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project metho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However, the effect of project method according to the applied period was not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ignificant probability p< .05. As for the school levels, the mean effect size was as high as .812 in Elementary school, as for the participants,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of 1 to 20 showed such a high effect size as 1.097, and as for the type of subject, the integrated subject showed a high effect size of 1.015 and practical arts, .884.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meta-analysis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project metho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reveal the effect of the project method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app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meta-analysis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project metho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reveal the effect of the project method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s were raised as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ES) of project metho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learning effect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of project method? Third, what is the average effect size of each mediator variable of project metho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project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eared to be .641. Thus, it is proven that project method i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has positive impact. Second, mean effect size of learning attitude was .819 which was the largest among the dependent variables of project method, next the mean effect size of creativity was .790, the mean effect siz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748, the mean effect size of academic achievement was .603, an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solving ability was .469. Third, as for the comparison of the mean effect size differences of moderator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mean effect siz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school level,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the applied period, and the subject type. As a result, the school level, number of the participants, the subject type were found to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project metho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However, the effect of project method according to the applied period was not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ignificant probability p< .05. As for the school levels, the mean effect size was as high as .812 in Elementary school, as for the participants,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of 1 to 20 showed such a high effect size as 1.097, and as for the type of subject, the integrated subject showed a high effect size of 1.015 and practical arts, .884.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의 문제
      • Ⅱ. 이론적 배경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의 문제
      • Ⅱ. 이론적 배경
      • 1. 프로젝트법
      • 2. 메타분석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논문의 수집절차
      • 2. 연구 절차
      • 3.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4. 타당도와 신뢰도
      • Ⅳ. 연구의 결과
      • 1. 프로젝트법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
      • 2. 종속변인에 따른 프로젝트법의 평균 효과크기 비교
      • 3. 중재변인에 따른 프로젝트법의 평균 효과크기 비교
      • Ⅴ. 결론 및 제언
      • 1. 결론
      • 2.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순경, "학습자 주도적 학습활동으로서의 프로젝트법에 대한 고찰" 17 (17): 21-38, 1999

      2 홍후조, "학습의 실제성 증진과 프로젝트 학습 - 간접·가상경헙과 직접·실제경험의 효과적인 연계 방법으로서 프로젝트 학습 -"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155-182, 2002

      3 池玉貞,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학습준비도, 사회·정서 발달, 자아개념 및 프로젝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6

      4 이동근,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한 재활용품 프로젝트의 전개과정 관찰 및 효과"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하순련, "프로젝트 접근방법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1

      6 윤인숙, "초등 실과 '손바느질하기' 단원의 프로젝트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 Littell, J. H.,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수문사 2011

      8 한경희, "유아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접근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9 조성하, "실과(기술·가정) 프로젝트법 적용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10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9

      1 박순경, "학습자 주도적 학습활동으로서의 프로젝트법에 대한 고찰" 17 (17): 21-38, 1999

      2 홍후조, "학습의 실제성 증진과 프로젝트 학습 - 간접·가상경헙과 직접·실제경험의 효과적인 연계 방법으로서 프로젝트 학습 -"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155-182, 2002

      3 池玉貞,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학습준비도, 사회·정서 발달, 자아개념 및 프로젝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6

      4 이동근,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한 재활용품 프로젝트의 전개과정 관찰 및 효과"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하순련, "프로젝트 접근방법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1

      6 윤인숙, "초등 실과 '손바느질하기' 단원의 프로젝트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 Littell, J. H.,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수문사 2011

      8 한경희, "유아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접근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9 조성하, "실과(기술·가정) 프로젝트법 적용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10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9

      11 김동일, "메타분석을 통한 학습전략의 효과연구" 교육연구소 3 (3): 71-94, 2002

      12 서미옥, "메타분석 연구의 고찰과 연구방법론적인 제안" 한국교육학회 49 (49): 1-23, 2011

      13 류창열, "기술교과교슈법" 충남대학교 출판부 2007

      14 장덕호, "교육학 연구방법으로서 메타분석(Meta-analysis)의 발전과정 고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309-332, 2011

      15 박도순, "교육연구방법론" 문음사 2005

      16 Kilpatrick, W. H., "The Project method" Teachers College Record 1918

      17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 Academic Press 1977

      18 Hedges, L. V., "Statisical-Mathods for Meta-Analysis" Academic Press 1985

      19 Cooper, H.,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 by step approach" SAGE publication Inc 2010

      20 Glass, G. V., "Meta-analysis in social research" Sage 1981

      21 신임희, "Meta analysis(메타분석) 의 이해" 25 (25): 283-287, 2008

      22 Dixon, W. J., "Introduction to statistical analysis" McGraw-Hill 1969

      23 Hall, J. A., "Interpreting and evaluating and meta-analyses" 18 (18): 393-407, 1995

      24 Hunter, J. E., "Fixed effects vs random effects meta-analysis models: Implications for cumulative research knowledge" 8 (8): 275-292, 2000

      25 Katz, L. G., "Engaging children's minds" Ablex publishing. Co 1989

      26 Rosenthal, R., "Combining Probabilities and the file drawer problem" 4 : 18-21, 1980

      27 Chambers, E. A., "An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ith articles from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992-2002)" 98 (98): 35-44, 2004

      28 강물레, "ARCS 동기전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9 Orwin, R. G., "A fail-safe N for effect size" 8 : 157-159,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3 1.387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