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시적(共時的) 통약불가능성의 개념과 양상: 전문분야간 협력과 관련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199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우선적으로 검토할 기본 문헌의 범위
      (1) Paul Feyerabend 관련:
      Against Method (1975)/ Against Method (1993)(3rd ed.)/ Science in a Free Society (1978)/ Realism, Rationalism and Scientific Method (Philosophical Papers Vol. I) (1981)/ Problems of Empiricism (Philosophical Papers Vol. II) (1981)/ Farewell to Reason (1987)/ Three Dialogues on Knowledge (1991)/ Knowledge, Science and Relativism (Philosophical Papers Vol. III) (1999)/ Conquest of Abundance (1999)/ Preston, J. (1997): Feyerabend: Philosophy, Science and Society
      (2) Thomas S. Kuhn 관련: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2nd. ed. 1970)/ The Road Since Structure (2000)/ P. Hoyningen-Huene (1993), Reconstructing Scientific Revolutions: Thomas S. Kuhn's Philosophy of Science, Chicago UP, Chicago.
      (3) 통약불가능성에 관한 주요 2차 문헌들 (※ 문헌목록 참조)

      2. 연구의 내용, 방법 및 진행계획
      (1) 연구의 1단계에서 연구자는 ① 기본 문헌, 특히 파이어아벤트의 1차 문헌들을 우선 피상적으로 검토하면서 연구의 시야와 초점을 확정할 것이다. ② 그리고 나서 앞서 확정된 기본 시각으로부터 2차 문헌의 수집을 보완하고 자료에 대한 피상적 분석을 통해 2차 자료를 분류·선별할 것이다. 이와 같은 개념적 예비작업은 연구가 효율적인 질서 속에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수적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예비작업에 의해 연구의 시야가 완전히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2) 연구의 두 번째 단계는 파이어아벤트의 통약불가능성 개념에 대한 상세 검토 작업이며, 이것은 이 연구의 주요 부분인 동시에 이 연구의 학문적 기여가능성을 함축한 부분이 될 것이다. 특히 연구자는 파이어아벤트적 통약불가능성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검토에 비중을 두어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연구는 자연히 문헌연구의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며, 파이어아벤트의 1차 문헌들을 상세히, 그러나 "통약불가능성"이라는 관점으로부터 선별하여 검토하면서 파이어아벤트적 통약불가능성 개념의 요체를 정확히 파악하는 동시에 적절한 방식으로 정리, 서술해내기 위한 시도에 주력할 것이다.
      (3) 다음 단계로 연구자는 2단계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파이어아벤트와 쿤 양자의 통약불가능성 개념을 비교, 정리할 것이다. 2002년에 수행한 연구의 진행 과정에서 연구자는 이와 같은 작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4) 다음 단계는 연구 수행의 두 번째 핵심 단계이다. 여기서 연구자는 공시적(synchronic) 통약불가능성의 실천적 함의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그 바탕 위에 자신의 고유한 철학적 검토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연구자는 먼저 (1)에서 선별된 2차 문헌들을 중심으로 정리한 뒤에, (6)에서 검토될 구체적인 사례들을 염두에 두고 이 단계를 수행할 것이다. 뒤의 참고 문헌 목록에 들어 있는 "통약불가능성" 관련 주요 2차 문헌 가운데 특히 통약불가능성이 과학자 집단 내부 및 전문영역 상호간의 의사 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제가 다루어진 문헌들을 집중적으로 검토, 분석할 것이다. 현재 연구자가 알고 있기로는 후자에 관한 연구는 국제적인 수준에서도 별로 없다. 그러나 철학 분야 문헌에만 국한될 필요 없이 '과학연구에서 일반적인 의사소통의 문제'에 관한 연구로 시야를 확장한 뒤에 이 연구의 초점에 부합하는 것들을 추리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5) 이어 연구자는 약 1개월 정도를 (1)에서 (4)에 이르는 개념연구 부분의 성과를 정리·집필하는 작업에 소모하게 될 예정이다. 연구자는 이 결과(혹은 그 요지)를 정리하여 국내 전문가 2∼3명 그리고 국외 전문가 1∼2명에게 보내 비판과 조언을 구할 예정이다. 이러한 자문의 내용은 연구의 마지막 단계(7)에서 연구 성과에 반영될 것이다.
      (6) 다음 단계는 통약불가능성의 실제적 가능성 및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목적에서 밝혔듯이 연구자는 이 연구를 개념적 연구로부터 연장하여 오늘날의 학문적 상황의 주요한 특징적 면모로 꼽을 수 있는 이른바 학제적 연구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 상황에 대한 철학적 분석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약 2개월 정도를 투자하여 공시적 통약불가능성이 실지로 어디서, 어떤 양상으로 발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1차적 고찰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것은 (이 연구가 성공적일 경우 다음 해에 진행될 수 있을) 사례 연구와는 다르며, 앞서 수행된 개념 연구를 응용하는 일종의 사고 실험의 형태로 진행될 것이다. 그러나 사고 실험의 방식이라고 해서 단지 머릿속에서 소설을 쓰는 방식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연구자는 두어 가지 학제적 영역을 염두에 두고 있는 만큼, 그러
      번역하기

      1. 우선적으로 검토할 기본 문헌의 범위 (1) Paul Feyerabend 관련: Against Method (1975)/ Against Method (1993)(3rd ed.)/ Science in a Free Society (1978)/ Realism, Rationalism and Scientific Method (Philosophical Papers Vol. I) (1981)/ ...

      1. 우선적으로 검토할 기본 문헌의 범위
      (1) Paul Feyerabend 관련:
      Against Method (1975)/ Against Method (1993)(3rd ed.)/ Science in a Free Society (1978)/ Realism, Rationalism and Scientific Method (Philosophical Papers Vol. I) (1981)/ Problems of Empiricism (Philosophical Papers Vol. II) (1981)/ Farewell to Reason (1987)/ Three Dialogues on Knowledge (1991)/ Knowledge, Science and Relativism (Philosophical Papers Vol. III) (1999)/ Conquest of Abundance (1999)/ Preston, J. (1997): Feyerabend: Philosophy, Science and Society
      (2) Thomas S. Kuhn 관련: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2nd. ed. 1970)/ The Road Since Structure (2000)/ P. Hoyningen-Huene (1993), Reconstructing Scientific Revolutions: Thomas S. Kuhn's Philosophy of Science, Chicago UP, Chicago.
      (3) 통약불가능성에 관한 주요 2차 문헌들 (※ 문헌목록 참조)

      2. 연구의 내용, 방법 및 진행계획
      (1) 연구의 1단계에서 연구자는 ① 기본 문헌, 특히 파이어아벤트의 1차 문헌들을 우선 피상적으로 검토하면서 연구의 시야와 초점을 확정할 것이다. ② 그리고 나서 앞서 확정된 기본 시각으로부터 2차 문헌의 수집을 보완하고 자료에 대한 피상적 분석을 통해 2차 자료를 분류·선별할 것이다. 이와 같은 개념적 예비작업은 연구가 효율적인 질서 속에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수적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예비작업에 의해 연구의 시야가 완전히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2) 연구의 두 번째 단계는 파이어아벤트의 통약불가능성 개념에 대한 상세 검토 작업이며, 이것은 이 연구의 주요 부분인 동시에 이 연구의 학문적 기여가능성을 함축한 부분이 될 것이다. 특히 연구자는 파이어아벤트적 통약불가능성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검토에 비중을 두어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연구는 자연히 문헌연구의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며, 파이어아벤트의 1차 문헌들을 상세히, 그러나 "통약불가능성"이라는 관점으로부터 선별하여 검토하면서 파이어아벤트적 통약불가능성 개념의 요체를 정확히 파악하는 동시에 적절한 방식으로 정리, 서술해내기 위한 시도에 주력할 것이다.
      (3) 다음 단계로 연구자는 2단계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파이어아벤트와 쿤 양자의 통약불가능성 개념을 비교, 정리할 것이다. 2002년에 수행한 연구의 진행 과정에서 연구자는 이와 같은 작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4) 다음 단계는 연구 수행의 두 번째 핵심 단계이다. 여기서 연구자는 공시적(synchronic) 통약불가능성의 실천적 함의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그 바탕 위에 자신의 고유한 철학적 검토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연구자는 먼저 (1)에서 선별된 2차 문헌들을 중심으로 정리한 뒤에, (6)에서 검토될 구체적인 사례들을 염두에 두고 이 단계를 수행할 것이다. 뒤의 참고 문헌 목록에 들어 있는 "통약불가능성" 관련 주요 2차 문헌 가운데 특히 통약불가능성이 과학자 집단 내부 및 전문영역 상호간의 의사 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제가 다루어진 문헌들을 집중적으로 검토, 분석할 것이다. 현재 연구자가 알고 있기로는 후자에 관한 연구는 국제적인 수준에서도 별로 없다. 그러나 철학 분야 문헌에만 국한될 필요 없이 '과학연구에서 일반적인 의사소통의 문제'에 관한 연구로 시야를 확장한 뒤에 이 연구의 초점에 부합하는 것들을 추리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5) 이어 연구자는 약 1개월 정도를 (1)에서 (4)에 이르는 개념연구 부분의 성과를 정리·집필하는 작업에 소모하게 될 예정이다. 연구자는 이 결과(혹은 그 요지)를 정리하여 국내 전문가 2∼3명 그리고 국외 전문가 1∼2명에게 보내 비판과 조언을 구할 예정이다. 이러한 자문의 내용은 연구의 마지막 단계(7)에서 연구 성과에 반영될 것이다.
      (6) 다음 단계는 통약불가능성의 실제적 가능성 및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목적에서 밝혔듯이 연구자는 이 연구를 개념적 연구로부터 연장하여 오늘날의 학문적 상황의 주요한 특징적 면모로 꼽을 수 있는 이른바 학제적 연구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 상황에 대한 철학적 분석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약 2개월 정도를 투자하여 공시적 통약불가능성이 실지로 어디서, 어떤 양상으로 발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1차적 고찰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것은 (이 연구가 성공적일 경우 다음 해에 진행될 수 있을) 사례 연구와는 다르며, 앞서 수행된 개념 연구를 응용하는 일종의 사고 실험의 형태로 진행될 것이다. 그러나 사고 실험의 방식이라고 해서 단지 머릿속에서 소설을 쓰는 방식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연구자는 두어 가지 학제적 영역을 염두에 두고 있는 만큼, 그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