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자의 연구는 `『현관장엄론』 제1장에 대한 성자 비묵띠세나와 하리바드라 주석서들의 비판적 편집'이었다. 이를 위하여 가장 먼저 해야만 했던 일은 전혀 다루어보지 못한 사본을 해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0484
-
2010년
Korean
산스끄리뜨 사본 ; Abhisamayalamkarasatra ; Abhisamayalamkaravrtti ; Abhisamayalamkaravivrti ; Arya vimuktisena ; Newari script ; critical edition ; philology ; Indian Buddhism ; Sanskrit manuscript ; Magadhi script ; Haribhadra ; abhisamayalankaravrtti ; abhisamayalankaravivrti ; 성자 비묵띠세나 ; 하리바드라 ; aloka ; 현관장엄론 ; 반야사상 ; 대승불교의 해탈론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수자의 연구는 `『현관장엄론』 제1장에 대한 성자 비묵띠세나와 하리바드라 주석서들의 비판적 편집'이었다. 이를 위하여 가장 먼저 해야만 했던 일은 전혀 다루어보지 못한 사본을 해독...
연수자의 연구는 `『현관장엄론』 제1장에 대한 성자 비묵띠세나와 하리바드라 주석서들의 비판적 편집'이었다.
이를 위하여 가장 먼저 해야만 했던 일은 전혀 다루어보지 못한 사본을 해독하는 능력, 즉 글자를 읽을 수 있는, 을 기르고 사본을 입수하는 일이었다. 연수자는 지도교수인 하루나가 아이작슨 교수의 가르침아래 사본을 읽고 다루는 것을 배울 수 있었고, NGMPP를 통하여 총 3종의 사본, 즉 성자 비묵띠세나의 주석서 1종과 하리바드라의 주석서 2종을 입수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매우 운이 좋게도 2009년 10월 하루나가 아이작슨 교수의 도움아래 동일한 사본들에 대한 최근에 촬영된 컬러 사진들을 구할 수 있었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2009년 4월부터 11월까지는 성자 비묵띠세나의 주석서 Abhisamayalankaravrtti에 대한 비판적 편집과 영역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발심(cittotpada)장까지 끝마칠 수 있었다. 2009년 12월부터 2010년 6월말까지는 하리바드라의 짧은 주석 Abhisamayalankaravivrti에 대한 편집과 영역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목표했던 바대로 제1장 모두를 마칠 수 있었다.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연수자는 이전 편집본들의 오류들을 상당부분 개선시킬 수 있었다. 우선 이탈리아 학자 펜사의 Abhisamayalankaravrtti에 대한 편집본의 경우 중요한 몇몇 부분에서 사본에 의지하기 보다는 그 당시 영향력이 있던 그리고 지금까지도 영향력이 상당한 오기하라(Wogihara)가 편집한 Aloka에 의지한다는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다. 그렇지만 Aloka의 사본들을 참조할 경우 펜사가 선호한 오기하라의 선택은 티벳역에 의거하여 산스끄리뜨를 교정한 것으로 틀린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오기하라의 틀린 선택을 따르는 경우는 펜사뿐만이 아니라 하리바드라의 Abhisamayalankaravivrti를 편집한 아마노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펜사의 경우 산스끄리뜨와 대조하는 티베트역 그 중 Peking 본만을 사용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Peking 본의 번역이 오류가 있을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올바른 산스끄리뜨를 틀린 번역인 Peiking 판본에 의지하여 잘못 교정하거나 혹은 산스끄리뜨 사본이 손상된 부분에 대해 잘못된 번역인 Peiking 판본에 의지하여 그릇된 환범을 하였다는 점이다. 연수자는 아마노의 편집본에서 더욱 많은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편집본은 펜사의 편집본과 유사한 즉 사본에 의지하기 오기하라(Wogihara)가 편집한 Aloka에 의지하거나 티베트역의 경우 한정된 판본만을 사용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지만, 이용할 수 있는 사본이 두 종류인데 반하여 하나만을 사용했다는 점과 충분히 읽을 수 있는 글자들을 읽지 않고 손상되었다고 성급히 판단하는 등의 오류도 또한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과 오류들을 염두에 두면서 편집을 진행한 결과 이전의 편집본들과 이에 기반을 둔 이전의 번역본들을 상당히 개선시켰다고 생각한다. 이 이외에도 성자 비묵띠세나가 세친의 아비달마구사론에서만 쓰이는 용어를 사용하며 그 개념에 대한 정의를 그대로 빌려 사용한다는 사실 그리고 하리바드라의 경우 Abhisamayalankaravivrti의 경우 좀 더 자유롭고 창조적인 해석을 하는 Aloka에 비하여 현관장엄론의 본의 혹은 성자 비묵띠세나의 견해를 비교적 충실히 따르고 있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던 것은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부가적인 결과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y research for the postdoctoral work was about the critical edition of the Abhisamayalankaravrtti by Arya Vimuktisena and Abhisamayalankaravivrti by Haribhadra on the first chapter of the Abhisamayalankarasastra.The first thing I had to do for the re...
My research for the postdoctoral work was about the critical edition of the Abhisamayalankaravrtti by Arya Vimuktisena and Abhisamayalankaravivrti by Haribhadra on the first chapter of the Abhisamayalankarasastra.The first thing I had to do for the research was to learn how to read manuscripts which I hadn't learnt -more frankly I hadn't had a chance to learn- in Korea and get the manuscripts as well. With Prof. Dr. Harunaga Isaacson who is my supervisor at the University of Hamburg, I could study how to read and deal with manuscripts and get the photos of the manuscripts from the NGMPP, one vrtti manuscript and two vivrti manuscripts all of which are written in Newari and microfilmed by NGMPP. Fortunately I have got color photos of the same manuscripts with the kind help of Prof. Harunaga Isaacson, which would help me to read the manuscripts easier and more accurate than two former editors of the manuscripts, Pensa and Amano who have edited the vrtti manuscript and the vivrti manuscripts respectively. The procedure of my research was as follows: From April to November in 2009, I completed the edition of both the Sanskrit original and the translation of the vrtti by Arya Vimuktisena up to the cittotpada section. And form December 2009 to July 2010, I completed the edition of both the Sanskrit original and the translation of the vivrti by Haribhadra up to the end of the first chapter as I planned in the first place.
Fro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 have been able to improve former editions of Pensa and Amano by finding errors they might have failed to notice. First, Pensa who has so depended on the Aloka edition by Wogihara, which was and still is effective to the scholars who studies Prajnaparamita commentary system, that he, in some cases, followed Wogihara's mistakes even though the original manuscript has right readings. He has also made some errors when he reconstructed damaged (or illegible) parts of the Sanskrit manuscript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or corrected Sanskrit original based on the Tibetan translation by consulting only one version of the Tibetan translation, i.e., Peking edition. Amano's edition has the same problem with Pensa's. But it is more serious than that of Pensa because not only he has used only one manuscript in the places we could consult both manuscripts but also he has jumped to a hasty judgment that some characters, which are slight damaged but quite readable, are illegible. (I have to admit the color photos enabled me to read more characters than Amano. But in the same photos of the manuscript that Amano used, I could read far more than he did) There are some more points that I've found. That is to say, Arya Vimuktisena who was not so skilled Sanskrit scholar had borrowed the own expression of Vasubandhu such as baahulika.h...nirdeza.h (general statement based on frequency). And in vivrti, Haribhadra had more followed the Arya Vimuktisena's explanation about the Abhisamayalankarakarika which is based on 25,000 Prajnaparamitasutra than he had done in Aloka, the other commentary of 8,000 Prajnaparamitasu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