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靑年의 噴火/分化와 ‘運動’의 文學的 形象化 = The Eruption/Differentiation of Shin Cheong Yeon and the Literary Figuration of M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76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essay, I tried to find out the truth of Shin Cheong Yeon(<新靑年>) unitarily, which by now has been divided in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The previous studies have understood the two parts of it through the change of leading memb...

      In this essay, I tried to find out the truth of Shin Cheong Yeon(<新靑年>) unitarily, which by now has been divided in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The previous studies have understood the two parts of it through the change of leading members. However, members’ alteration doesn’t mean the change of magazine. It’s noticeable that Shin Cheong Yeon consistently express the attention to the vicarious deaths, which on one hand are linked to (Samil) Independence Movement, on the other hand are connected with the passion of youth. Finally, this passion had been transferred to Baek Jo, and KAPF. Park Young Hee had sought the passion such as in Shin Cheong Yeon. In this essay on Shin Cheong Yeon, I found out that the revoultion is part of movement beginning from the death as Avant-garde, not as the compulsion for ide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그간의 연구에서 잡지 <新靑年>은 方定煥 중심의 초기 활동과 朴英熙, 羅稻香 중심의 후기 활동이 사회성과 문학성 중 무엇을 중심으로 했는가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 인식되어왔다. ...

      그간의 연구에서 잡지 <新靑年>은 方定煥 중심의 초기 활동과 朴英熙, 羅稻香 중심의 후기 활동이 사회성과 문학성 중 무엇을 중심으로 했는가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新靑年>의 실체를 살펴보면, 方定煥 등이 京城靑年俱樂部를 기획하며 의도했던 목표는 이 잡지를 시종일관 떠받치고 있으며, 주요필진의 변모에도 불구하고 수록된 글의 주제의식은 유사성이 두드러짐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新靑年>의 시기별 구분은 큰 의미를 지니지 못하며, 이 잡지에서의 運動에 대한 열정이 어떻게 <白潮>로 이행되고, 카프를 거치면서까지 그 동력을 유지하는지를 지속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 점에서 <新靑年>에서 <白潮>로 나아가는 지점에서 새롭게 등장한 청년 세대의 運動의 토대가 무엇이었는지 구명하고자 했으며, 이 과정에서 혁명이 이념에 대한 강박이 아니라 전위로서의 희생적 죽음을 토대로 한 동지적 유대감에서 비롯된 運動의 일부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朴英熙의 전향이 의미하는 바를 보다 예각화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주아, "회월 박영희의 전향선언과 ‘좌파/문학’:이념을 포기한 좌파작가에게 남은 것" 한국현대문학회 2016

      2 권영민, "한국계급문학운동사" 문예출판사 1998

      3 손유경, "프로문학의 감성구조" 소명출판 2012

      4 홍지석, "카프 초기 프롤레타리아 미술 담론"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7) : 9-40, 2014

      5 "청춘"

      6 이화진, "조명희의 「낙동강」과 그 사상적 지반 ─낭만성의 기원" 국제어문학회 (57) : 253-277, 2013

      7 김흥식, "조명희의 문학과 아나키즘체험" 중앙어문학회 (26) : 161-186, 1998

      8 천정환, "자살론" 문학동네 2013

      9 임화문학예술전집 편찬위원회, "임화문학예술전집 2-문학사" 소명출판 2009

      10 백남중, "일제시대 장애인 복지 교육에 관한 연구 : 제생원 맹아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 정주아, "회월 박영희의 전향선언과 ‘좌파/문학’:이념을 포기한 좌파작가에게 남은 것" 한국현대문학회 2016

      2 권영민, "한국계급문학운동사" 문예출판사 1998

      3 손유경, "프로문학의 감성구조" 소명출판 2012

      4 홍지석, "카프 초기 프롤레타리아 미술 담론"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7) : 9-40, 2014

      5 "청춘"

      6 이화진, "조명희의 「낙동강」과 그 사상적 지반 ─낭만성의 기원" 국제어문학회 (57) : 253-277, 2013

      7 김흥식, "조명희의 문학과 아나키즘체험" 중앙어문학회 (26) : 161-186, 1998

      8 천정환, "자살론" 문학동네 2013

      9 임화문학예술전집 편찬위원회, "임화문학예술전집 2-문학사" 소명출판 2009

      10 백남중, "일제시대 장애인 복지 교육에 관한 연구 : 제생원 맹아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1 이혜정, "이익상 문학과 아나키즘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5 (45): 89-120, 2014

      12 안용희, "염상섭 초기 소설의 세대의식과 공동체 윤리의 문제" 국제어문학회 (57) : 225-252, 2013

      13 천정환, "열사의 정치학과 그 전환" 문화과학사 (74) : 87-138, 2013

      14 김상기, "애국지사 강산 김용원" 경인문화사 2004

      15 보리스 그로이스, "아방가르드와 현대성" 문예마당 1995

      16 노명우, "아방가르드" 책세상 2008

      17 권명아, "식민지 내부의 감각의 분할과 정념의 공동체 : 병리학에서 정념-론으로의 전환을 위한 시론" 석당학술원 (53) : 1-46, 2012

      18 한기형, "습작기(1919~1920)의 심훈 신자료 소개와 관련하여" 민족문학사학회 22 : 190-222, 2003

      19 민윤식, "소파 방정환 평전" 중앙M&B 2003

      20 염희경, "소파 방정환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21 최병구, "본성, 폭력, 사랑: 정념의 서사로서 프로문학의 조건(들) - 송영 소설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61) : 5-36, 2013

      22 김광식, "백초월 ; 독립운동가 초월스님의 불꽃같은 삶" 민족사 2014

      23 윤병로, "박종화의 삶과 문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8

      24 이동희, "박영희전집(Ⅲ)"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7

      25 김윤식, "박영희 연구" 열음사 1989

      26 프랑코 베라르디 비포, "미래 이후" 난장 2013

      27 박현수, "문학에 대한 열망과 소년운동에의 관심 방정환의 초기 활동 연구" 민족문학사학회 (28) : 248-275, 2005

      28 레온 트로츠키, "문학과 혁명" 과학과사상 1990

      29 이경돈, "동인지 『麗光』의 문학과 정체성의 공간" 한중인문학회 (26) : 73-98, 2009

      30 이경돈, "동인지 『文友』와 다점적 혼종의 문학" 상허학회 28 : 167-196, 2010

      31 조영복, "나도향, 이효석, 박영희의 알려지지 않은 작품을 통해 본 근대문학 초창기 잡지 발간의 여러 상황" 27 (27): 121-149, 2001

      32 박민규, "김기림 시론의 대중 인식과 지식인상의 정립 과정"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25-53, 2014

      33 한기형, "근대잡지 新靑年 과 京城靑年俱樂部" 서지학회 (26) : 165-206, 2002

      34 "新靑年"

      35 정우택, "『문우』에서 『백조』까지 -매체와 인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7) : 35-65, 2009

      36 조주연, "「실패한 혁명? :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위대한 모험」" 한국미학회 (48) : 281-312, 2006

      37 염희경, "‘소설가’ 방정환과 근대 단편소설의 두 계보"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3) : 117-149, 2013

      38 이성혁, "1920년대 한국 근대시의 전위성 연구 : 아나키즘 다다와 임화의 초창기 시문학에 대한 비교문학적 접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7

      39 조영복, "1920년대 초기 시의 이념과 문학" 소명출판 2004

      40 이영아, "1920년대 소설의 ‘자살’ 형상화 양상 연구 -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33) : 207-248,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