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머리말 = 8
- Ⅰ. 서론 = 15
- 1. 연구 목적과 범위 = 16
- 2. 연구 방법 및 선행 연구와의 비교 = 18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M16099437
서울 : 새물결플러스, 2022
2022
한국어
235.84 판사항(6)
261.8 판사항(23)
9791161292298 93230: ₩20000
일반단행본
서울
한국교회, 기본소득을 말하다 : 기본소득에 관한 신학과 사회과학의 대화 / 지은이: 정미현, 강원돈, 곽호철, 김유준, 김회권, 야닉 판데르보흐트, 전강수, 정용한
405 p. : 도표 ; 22 cm
색인 수록
권말부록: 설문조사와 해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온라인 서점 구매
책소개
자료제공 :
한국교회, 기본소득을 말하다 (기본소득에 관한 신학과 사회과학의 대화)
기본소득론은 여러 면에서 최근 가장 뜨거운 주제다. 당장 2022년 대선에서 다뤄지는 현안이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 AI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할 것이라고 여겨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안 중 하나로도 논의된다. 이는 기독교계에서도 먼 이야기가 아니다. 대다수가 불안정 노동과 가난으로 내몰리는 이 시대에 성서의 희년 사상에 부합한다고 여겨지는 제3의 길, 즉 자본은 사유하되 인간의 노력과 상관이 없는 토지는 공유함을 기초로 하는 ‘지공주의’를 실현하는 구체적 방법의 일부로도 기본소득론이 거론되어왔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본소득론은 아직 실현된 사례가 극히 적고 특히 국내에선 좌우 진영의 정치 슬로건에 머무는 단계다 보니, 교회 안팎으로 추상적인 이념 논쟁에 빠지거나 대중 영합적인 현금 살포 정책이라는 이해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책은 그러한 현실 속에서 기본소득의 본래적 취지와 의미를 충분히 살피고, 특별히 기독교 공동체가 이 주제에 이념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신학적·실천적 측면 모두에서 차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