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두를 이용한 여천공단 주변의 토양오염 평가 = Assessment of Soil Pollution with Soybean Plant in the Vicinity of Yeocheon Industrial Compl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707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두를 아황산가스 오염의 지표식물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여천공단 주변의 대두경작지에서 1992년 8월 30일부터 1993년 8월 17일까지 대두엽의 가시피해지수, 피해색 및 피해형태, 수용성 황함량 등과 함께 토양환경을 조사하고 토양환경 요인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1. 조사지역의 토양환경은 pH 4.45~6.59, 전기전도도 40.5~74.7 ㎛hocm^-1, 유기물량 3.61~9.61%, 총질소량 0.90~2.41 mgg^-1, 유효인량 6.83~43.60 mg 100g^-1, 유효황량 10.80~318.50 ppm 등이었다.
      2. 토양환경 요인 중 총질소량이 유기물량과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pH는 유효황량, 유기물량 및 총질소량과 각각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3. 대두엽의 피해형태는 초기에 엽맥사이에 연두색의 반점 형태로 나타나다가 갈색으로 변색되며, 피해를 심하게 받으면 반점이 합쳐져서 결국 엽육조직이 파괴된다.
      대두엽의 가시피해지수는 14.7~50.7%로서 조사지소 8이 가장 낮고 조사지소 1이 가장 높았다.
      4. 대두엽의 수용성 황함량은 0.31~0.87 mg g^-1로서, 조사지소 2가 가장 낮고, 조사지소 7이 가장 높았다.
      5. 대두엽의 가시피해지수 및 수용성 황함량과 토양의 유효황량은 각각 서로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두를 이용하여 아황산가스에 의한 대기오염 및 토양오염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번역하기

      대두를 아황산가스 오염의 지표식물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여천공단 주변의 대두경작지에서 1992년 8월 30일부터 1993년 8월 17일까지 대두엽의 가시피해지수, 피해색 및 ...

      대두를 아황산가스 오염의 지표식물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여천공단 주변의 대두경작지에서 1992년 8월 30일부터 1993년 8월 17일까지 대두엽의 가시피해지수, 피해색 및 피해형태, 수용성 황함량 등과 함께 토양환경을 조사하고 토양환경 요인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1. 조사지역의 토양환경은 pH 4.45~6.59, 전기전도도 40.5~74.7 ㎛hocm^-1, 유기물량 3.61~9.61%, 총질소량 0.90~2.41 mgg^-1, 유효인량 6.83~43.60 mg 100g^-1, 유효황량 10.80~318.50 ppm 등이었다.
      2. 토양환경 요인 중 총질소량이 유기물량과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pH는 유효황량, 유기물량 및 총질소량과 각각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3. 대두엽의 피해형태는 초기에 엽맥사이에 연두색의 반점 형태로 나타나다가 갈색으로 변색되며, 피해를 심하게 받으면 반점이 합쳐져서 결국 엽육조직이 파괴된다.
      대두엽의 가시피해지수는 14.7~50.7%로서 조사지소 8이 가장 낮고 조사지소 1이 가장 높았다.
      4. 대두엽의 수용성 황함량은 0.31~0.87 mg g^-1로서, 조사지소 2가 가장 낮고, 조사지소 7이 가장 높았다.
      5. 대두엽의 가시피해지수 및 수용성 황함량과 토양의 유효황량은 각각 서로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두를 이용하여 아황산가스에 의한 대기오염 및 토양오염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il environment, water soluble sulfur and visible injury characters of soybean plant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adopting the soy bean plants as the indicator of sulfur dioxide pollution from August 1992 to August in 1993 the vicinity of Yeocheon Industrial Complex, Yeocheon City, Chollanam-do, Korea.
      Ranges of soil environments such as pH, conductivity,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and available sulfur were 4.45∼6.59, 10.5∼74.7㎛ho ㎝^-1, 3.61∼9,61%, 0.90∼2.41 ㎎ g^-1, 6.83∼43.60 ㎎ 10g^-1, and 10.80∼318.50 ppm, respectively. Total nitrogen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c matter. The pH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available sulfur,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respectively.
      Visible injury characters appeared as the light green and brown spots on the upper surface of interveinal areas, finally as the destruction of mesophyll of soybean plant leaves. Range of the visible injury indices was 14.7∼50.7%. It was highest in the site 1, and lowest in the site 8. Range of water soluble sulfur contents of soybean plant was 0.31∼0.87 ㎎ g^-1. It was highest in the site 7, and lowest in the site 2.
      The visible injury indices, water soluble sulfur contents of soybean plants, and the available sulfur of soil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one another.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sulfur dioxide pollution of air and soil can be estimated by the soybean plants.
      번역하기

      Soil environment, water soluble sulfur and visible injury characters of soybean plant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adopting the soy bean plants as the indicator of sulfur dioxide pollution from August 1992 to August in 1993 the vicini...

      Soil environment, water soluble sulfur and visible injury characters of soybean plant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adopting the soy bean plants as the indicator of sulfur dioxide pollution from August 1992 to August in 1993 the vicinity of Yeocheon Industrial Complex, Yeocheon City, Chollanam-do, Korea.
      Ranges of soil environments such as pH, conductivity,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and available sulfur were 4.45∼6.59, 10.5∼74.7㎛ho ㎝^-1, 3.61∼9,61%, 0.90∼2.41 ㎎ g^-1, 6.83∼43.60 ㎎ 10g^-1, and 10.80∼318.50 ppm, respectively. Total nitrogen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c matter. The pH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available sulfur,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respectively.
      Visible injury characters appeared as the light green and brown spots on the upper surface of interveinal areas, finally as the destruction of mesophyll of soybean plant leaves. Range of the visible injury indices was 14.7∼50.7%. It was highest in the site 1, and lowest in the site 8. Range of water soluble sulfur contents of soybean plant was 0.31∼0.87 ㎎ g^-1. It was highest in the site 7, and lowest in the site 2.
      The visible injury indices, water soluble sulfur contents of soybean plants, and the available sulfur of soil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one another.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sulfur dioxide pollution of air and soil can be estimated by the soybean plan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