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IE SCOPUS

      자두, 살구 및 이들 종간잡종간의 종간교잡 친화성 = Interspecific Cross Compatibility among Plum, Apricot and Plumco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25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두와 살구의 종간교잡에 의한 신과종인 플럼코트 육성을 위해 자두, 살구 및 플럼코트의 교배친화성 및 이들의 화기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두×살구 조합이 살구×자두 조합에 비�...

      자두와 살구의 종간교잡에 의한 신과종인 플럼코트 육성을 위해 자두, 살구 및 플럼코트의 교배친화성 및 이들의 화기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두×살구 조합이 살구×자두 조합에 비해 높은 종간 교배 친화성을 나타내었고, 플럼코트×자두 및 플럼코트×플럼코트 조합에서는 결실률이 매우 저조하였으며, 플럼코트×살구는 결실률이 높아 플럼코트의 수분수로는 살구가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화기특성 조사 결과 플럼코트 ‘홍천간’과 ‘Redpricot’은 꽃가루가 없었으며, 꽃가루가 있었던 ‘New Castle Gold’와 ‘Plum Apricot’의 경우에도 화분발아율은 매우 낮았다. 핵과류의 종간교잡에 있어서는 암술길이가 짧은 종을 교배모본으로 이용하는 것이 암술길이가 긴 종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종간교잡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rspecific crossing among plum (Prunus salicina Lindl.), apricot (Prunus armeniaca L.) and plumcot (Plums × P. armeniaca L.) has been studied since 2000 to breed new plumcot cultivars and to obtain basic data for stone fruits breeding at the Natio...

      Interspecific crossing among plum (Prunus salicina Lindl.), apricot (Prunus armeniaca L.) and plumcot (Plums × P. armeniaca L.) has been studied since 2000 to breed new plumcot cultivars and to obtain basic data for stone fruits breeding at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Interspecific cross pollinations of plum × apricot showed much higher fruit set than those of apricot × plum. Low percentage of fruit set in the combination of plumcot x plum and plumcot × plumcot was observed. However, the interspecific crosses of plumcot with apricot were compatible. For the stable fruit set of plumcot cultivars, co-planting with apricot as a pollinizer was necessary. Of plumcot cultivars, ‘Beniasama’ and ‘Red pricot’ are pollen-sterile, while ‘New Castle Gold’ and ‘Plum apricot’ are fertile although their pollen grains showed low germination rate. In the case of interspecific crosses between plum and apricot, the percentages of fruit set were higher in female parents with shorter pistils than ones with longer pisti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tudies on inter-specific crossing in Prunus spp" yau : 17-23, 1975

      2 "Self- and cross- compatibility of some apricot cultivars (Prunus armeniaca L.)" 22 (22): 261-265, 2004

      3 "Prezygotic endogenous barriers to interspecific hybridization in Prunus" 267-273, 1985

      4 "Interspecific hybridization of Prunus" 48-21 51, 1986

      5 "Identification of self-incompatibility alleles in Japanese plum and classification of incompatibility group by PCR analysis" 25 : 156-, 2007

      1 "Studies on inter-specific crossing in Prunus spp" yau : 17-23, 1975

      2 "Self- and cross- compatibility of some apricot cultivars (Prunus armeniaca L.)" 22 (22): 261-265, 2004

      3 "Prezygotic endogenous barriers to interspecific hybridization in Prunus" 267-273, 1985

      4 "Interspecific hybridization of Prunus" 48-21 51, 1986

      5 "Identification of self-incompatibility alleles in Japanese plum and classification of incompatibility group by PCR analysis" 25 : 15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74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3 1.11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