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말레이시아 공포영화 <두쿤>으로 본 남성의 시선, 여성의 유혹 그리고 영화촬영술 = From Male Gaze to Female Seduction and Its Cinematography in Malaysian Horror Film Duk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75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말레이시아의 공포영화 <두쿤>에 나오는 여성의 유혹을 고찰하고 영화 속 말레이시아 사회에서 여성의 주체성과 대비되는 남성의 취약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흥미로운 것은 ...

      본 논문은 말레이시아의 공포영화 <두쿤>에 나오는 여성의 유혹을 고찰하고 영화 속 말레이시아 사회에서 여성의 주체성과 대비되는 남성의 취약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흥미로운 것은 여성의 주체성 권한이 여성을 향한 남성의 시선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영화 <두쿤>에서는 다소 모호하게 연출되었지만, 영화는 여전히 여성에 대한 남성의 시선을 역전시키려는 시도를 한다. 유혹적인 여성의 이미지는 주인공 다이애나의 흑마법을 통하여 남성들을 향해 여성의 시선을 던짐으로써 역전된다. 또한, 이 영화는 여성이 매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공간을 통해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타자화된 여성 관객들의 공감을 이끌어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흑마법을 통해 여성 권력이 결국에는 현대 사회의 가부장적 질서를 강화함으로써 여성의 권리는 약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밖에 본 논문은 영화의 장면배치와 시각적인 은유를 통해 양성의 불평등한 권력 관계 및 주인공의 심리 표현을 분석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mainly intends to examine the female seduction embedded in Malaysian film Dukun, and further explores the construction of female subjectivity articulated in this cinematic text, in comparison with the representation of vulnerability and pre...

      This paper mainly intends to examine the female seduction embedded in Malaysian film Dukun, and further explores the construction of female subjectivity articulated in this cinematic text, in comparison with the representation of vulnerability and precariousness of male characters in modern Malay society. Interestingly, the empowerment of female sexuality is initiated from the conventional male gaze towards female; while this film Dukun, though with ambiguity, I argue is attempting to make a reversal of male gaze towards female. Female seduction seems to disable male gaze. And this film has given way for feminine to play out its charm for identifications of female audiences who are being situated in the position of the other as to men in a mainly patriarchal society. Nevertheless, the female power presented through black magic ambivalently undermines itself in a way to reinforce the patriarchal order in modern society. Besides, the mise en scène and visual metaphors will be analyzed and encoded in representing characters’ psychological status as well as the dominant power one over the other in relation to its thematic concer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