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노인가구의 소득불평등 현황 및 공적연금의 소득불평등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equality of the Old-Age’s Income and the Redistributive Effect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47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evels and trends of the income and it’s inequality of the elderly household and how the public pension contribute to improve the income inequality of the elderly based on the data of National Survey of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s in 1996 and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in 2006. The important findings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I found that the income inequality of the elderly households became worse in 2006 than in 1996. In addition, the levels are higher for the elderly who are female and single elderly household recently. Second,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public pension reduces the income inequality of the elderly. In particular, this effect of imcome redistribution is larger in 2006 than in 1996.
      These result implies that the public pension contribute all the more to reduce the income inequality of the elderly in case that the system of public pensions inclusive of the National Pension to be developed and matured.
      번역하기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evels and trends of the income and it’s inequality of the elderly household and how the public pension contribute to improve the income inequality of the elderly based on the data of National Survey of Household Income 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evels and trends of the income and it’s inequality of the elderly household and how the public pension contribute to improve the income inequality of the elderly based on the data of National Survey of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s in 1996 and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in 2006. The important findings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I found that the income inequality of the elderly households became worse in 2006 than in 1996. In addition, the levels are higher for the elderly who are female and single elderly household recently. Second,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public pension reduces the income inequality of the elderly. In particular, this effect of imcome redistribution is larger in 2006 than in 1996.
      These result implies that the public pension contribute all the more to reduce the income inequality of the elderly in case that the system of public pensions inclusive of the National Pension to be developed and matu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96년 가구소비실태조사 및 2006년 가계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국내 노년층의 소득현황 및 불평등현황을 파악하고, 공적연금의 소득불평등도 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노년층 가구의 불평등 정도가 점차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성가구주 가구 및 독신가구와 같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경제적 환경에 처해있는 가구의 소득불평등이 최근 2006년의 경우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1996년과 2006년의 국내 노인가구의 소득불평등도 개선효과에 대한 측정결과, 최근 2006년에 이르러 노인가구의 총 소득불평등도를 공적연금소득이 가장 크게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이러한 공적연금소득의 소득불평등 개선효과에도 불구하고, 1996년과 달리 2006년 사적이전의 소득불평등 개선효과는 대단히 미약하여 전체 처분가능소득의 불평등 정도를 추가적으로 크게 개선시키는 효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국내 노인가구에 대한 공적연금의 소득불평등도 개선효과는 향후 국민연금이 성숙단계로 진입하고 주요 공적연금의 발전도 함께 뒷받침된다면, 더 많은 노년층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발생하여 노년층의 소득불평등도 역시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996년 가구소비실태조사 및 2006년 가계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국내 노년층의 소득현황 및 불평등현황을 파악하고, 공적연금의 소득불평등도 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

      본 연구는 1996년 가구소비실태조사 및 2006년 가계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국내 노년층의 소득현황 및 불평등현황을 파악하고, 공적연금의 소득불평등도 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노년층 가구의 불평등 정도가 점차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성가구주 가구 및 독신가구와 같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경제적 환경에 처해있는 가구의 소득불평등이 최근 2006년의 경우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1996년과 2006년의 국내 노인가구의 소득불평등도 개선효과에 대한 측정결과, 최근 2006년에 이르러 노인가구의 총 소득불평등도를 공적연금소득이 가장 크게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이러한 공적연금소득의 소득불평등 개선효과에도 불구하고, 1996년과 달리 2006년 사적이전의 소득불평등 개선효과는 대단히 미약하여 전체 처분가능소득의 불평등 정도를 추가적으로 크게 개선시키는 효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국내 노인가구에 대한 공적연금의 소득불평등도 개선효과는 향후 국민연금이 성숙단계로 진입하고 주요 공적연금의 발전도 함께 뒷받침된다면, 더 많은 노년층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발생하여 노년층의 소득불평등도 역시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우, "한국의 부의 불평등 추계" 제7권 제1호 7 (7): 2001

      2 윤기중, "한국경제의 불평등 분석" 박영사 1997

      3 한국은행,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 선택 결정요인" 금융경제연구원 2004

      4 최희갑, "외환위기와 소득분배의 양극화" 국제경제학회 8 (8): 2002

      5 임병인, "연령집단별 소득불평등도와 전체불평등도에 대한 기여도 분석" 2004

      6 여윤경, "역모기지의 노후소득 효과" 17 (17): 177-197, 2006

      7 강석훈, "양극화의 오해와 남용-소득 양극화를 중심으로 , 양극화의 왜곡과 허구:포퓰리즘적 접근을 경계한다 , 시장경제제도 연구소 창립 1주년 기년 토론회, 2006"

      8 현진권, "소득종류에 따른 소득불균형 유발효과의 국제비교 , 공공경제 , 제5권"

      9 김환준, "소득재분배효과 측정방법의 문제점에 관한 탐색적 일고찰" (24) : 2004

      10 임병인, "소득유형별 지니계수 분해기법을 이용한 소득불평등 개선효과 분석" 11 (11): 2006

      1 이정우, "한국의 부의 불평등 추계" 제7권 제1호 7 (7): 2001

      2 윤기중, "한국경제의 불평등 분석" 박영사 1997

      3 한국은행,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 선택 결정요인" 금융경제연구원 2004

      4 최희갑, "외환위기와 소득분배의 양극화" 국제경제학회 8 (8): 2002

      5 임병인, "연령집단별 소득불평등도와 전체불평등도에 대한 기여도 분석" 2004

      6 여윤경, "역모기지의 노후소득 효과" 17 (17): 177-197, 2006

      7 강석훈, "양극화의 오해와 남용-소득 양극화를 중심으로 , 양극화의 왜곡과 허구:포퓰리즘적 접근을 경계한다 , 시장경제제도 연구소 창립 1주년 기년 토론회, 2006"

      8 현진권, "소득종류에 따른 소득불균형 유발효과의 국제비교 , 공공경제 , 제5권"

      9 김환준, "소득재분배효과 측정방법의 문제점에 관한 탐색적 일고찰" (24) : 2004

      10 임병인, "소득유형별 지니계수 분해기법을 이용한 소득불평등 개선효과 분석" 11 (11): 2006

      11 정진호, "소득불평등 및 빈곤의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02-04, 2002

      12 이준구, "소득분배의 이론과 현실" 다산출판사 1992

      13 이상은, "소득계층별 및 세대별 기대여명 차이를 고려한 국민연금제도의 소득재분배 효과" 22 (22): 2006

      14 진재문, "사회보장이전과 사적이전의 관계" 서울대 1999

      15 여유진, "불평등도의 동향 및 요인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16 성명재, "부문별 가구유형별 소득분배구조 고찰 및 소득재분배 기능 재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04

      17 손병돈, "부모 부양의 동기와 재분배 효과" 19 (19): 1999

      18 김진영, "대우패널자료를 통해 본 1990년대 가계의 자산구성 변화"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1) : 2002

      19 석재은, "노인의 소득실태 분석과 소득보장체계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20 정경희, "노령층의 소득보장 강화방안 마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21 전병유,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6

      22 박경숙, "노년기 불평등의 미래" 한국사회학회 (6) : 2001

      23 박성준, "금융위기 이후 소득불균등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경제학회 23 (23): 2000

      24 최현수, "국민연금의 사각지대 존재에 따른 노후 빈곤 및 소득불평등 추정" 22 (22): 2002

      25 석재은, "공적 연금의 사각지대:실태, 원인과 정책방안" (53) : 2003

      26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 보건복지부,고령화에 따른 주거환경개선 방안 , 2004"

      27 손병돈, "가족 간 소득이전의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1998

      28 "http://puck.sourceoecd.org/vl=3294544/cl=17/nw=1/rpsv/factbook/06-01-02.htm"

      29 "Wodon, Quentin, Between Group Inequality and Targeted Transfer" 45 (45): 21-39, 1999

      30 Podder, N., "The disaggregation of the Gini Coefficient by Factor Components and Its Application to Australia" 39 (39): 1993

      31 Korpi, W., and J. Palme, "The Paradox of Redistribution and Strategies of Equality; Welfare State Institutions, Inequality, and Poverty in the Western Countries" 63 : 661-87, 1998

      32 Cox,D and G.Jakubson, "The Connection between Public Transfers and Private inter family Transfer" (57) : 129-167, 1995

      33 Lee, Yean-Ju, "Sons, Daughters and Intergenerational Support in Taiwan" 99 (99): 1994

      34 "Rowntree, Seebohm, Poverty:The Study of Town Life" Macmillan 1901

      35 Kalisch,D., "Retirement Income Systems; The Reform Process Across OECD Countries , OECD Ageing Working Paper AWP 3-4"

      36 "Podder, N. and Tran-Nam, B., Uses and Abuses of the Decomposition of Gini Index by Factor Components,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mimeo"

      37 "OECD Factbook 2007-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tatistics-Labour Market- Employment rates by age group"

      38 Lorenz, M. C., "Methods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wealth" (9) : 209-219, 1905

      39 Shorrocks, A. F., "Inequality Decomposition by Factor Components" 50 (50): 193-211, 1982

      40 Yitzhaki, S., "Income Stratification and Income Inequality" 37 (37): 313-329,

      41 Smeeding,T., "Income Maintenance in Old Age; What can be learned from Cross-national Comparisons" (263) : 2001

      42 OECD,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in Selected OECD Countries, Working Papers No. 189"

      43 김준영, "IMF 충격의 불평등파급효과"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6 (6): 2001

      44 Fei, J. C. H., Rains, G., "Growth and Family Distribution of Income by Factor Components" 92 (92): 17-53, 1978

      45 "Frank A. Cowell, Measuring Inequ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Third Edition, 2000"

      46 Buhmann, B., L. Rainwater, G. Schmaus, "Equivalence Scales, Well-Being, Inequality and Poverty" 34 (34): 115-142, 1998

      47 Lerman, Robert I., "Effect of Marginal Changes in Income Sources on U.S. Income Inequality" 22 (22): 1994

      48 Theil, H., "Economics and Information Theory" North-Holland 1967

      49 "Cowell, Measurement of Inequality, in Atkinson and Bourguignon eds. Handbook of Income Distribution, Elsevier. Amsterdam, 2000, pp. 87-166"

      50 Garner, Thesia I, "Consumer Expenditures and Inequality:An Analysis Based on Decomposition of the Gini Coefficient" 134-138, 1993

      51 World Bank, "Averting the Old Age Crisis; Policies to Protect the Old and Promote Growth"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52 통계청, "2007 사회통계조사"

      53 통계청, "2007 고령자통계"

      54 통계청, "2006 고령자통계"

      55 통계청, "2006 가계조사 원자료"

      56 정경희, "199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57 통계청, "1996 가구소비실태조사 원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2 1.61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