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소통구조와 내포 작가의 성격에 대한 시론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62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오늘날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소통구조상의 특징을 내포 작가의 성격을 통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문화, 장르, 메시지 전략으로서 힙합이 미국에 안착하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동시대 미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소통구조를 검토해 준거틀을 확보한다. 궁극적으로는 2000년대, 평단과 대중의 고른 지지를 받은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서사모델을 동시기 미국 힙합 뮤직비디오와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는 현실적 자아로서 힙합 뮤지션과 텍스트 안에 위치한 캐릭터화된 뮤지션이 상상적으로 밀착된다는 점에서 미국의 경우와 유사점을 보인다. 현실의 수용자와 텍스트 내 허구적 청자 역시 통합되는 경향이 확인된다. 미국 힙합 뮤직비디오와의 차이에 집중하면, 대중성을 가진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들은 주제나 표현에 있어서 서정적 감상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내포 작가의 성격을 상상해볼 때, 대사회적 태도, 부조리한 가치와 질서에 대한 시선 등이 누그러진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오늘날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소통구조상의 특징을 내포 작가의 성격을 통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문화, 장르, 메시지 전략으로서 힙합이 미국에 안착하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

      본고는 오늘날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소통구조상의 특징을 내포 작가의 성격을 통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문화, 장르, 메시지 전략으로서 힙합이 미국에 안착하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동시대 미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소통구조를 검토해 준거틀을 확보한다. 궁극적으로는 2000년대, 평단과 대중의 고른 지지를 받은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서사모델을 동시기 미국 힙합 뮤직비디오와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는 현실적 자아로서 힙합 뮤지션과 텍스트 안에 위치한 캐릭터화된 뮤지션이 상상적으로 밀착된다는 점에서 미국의 경우와 유사점을 보인다. 현실의 수용자와 텍스트 내 허구적 청자 역시 통합되는 경향이 확인된다. 미국 힙합 뮤직비디오와의 차이에 집중하면, 대중성을 가진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들은 주제나 표현에 있어서 서정적 감상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내포 작가의 성격을 상상해볼 때, 대사회적 태도, 부조리한 가치와 질서에 대한 시선 등이 누그러진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manuscript delves into the traits of communication structure within Korean hip-hop music video via the characteristic of the implied author. For this, the process of how hip-hop was settled in the United States as a strategy in culture, genre and message is analyzed in a diachronic manner. Also procured are principles derived from reviews of communication structure in the American hip-hop music videos of the same age. Through comparison of the results, this abstract minutely examine the immanent nature of the Korean hip-hop music videos of the 2000s, which were well received both by the critics and the public.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s, the Korean hip-hop music videos show similarity with the American videos in the aspect that hip-hop musician as the realistic self imaginatively adheres to the characterized version of the musician within the text. Additionally found is the tendency of integration of the consumer in real life and the fictional audience within the text. To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videos, Korean hip-hop music videos have mass appeal, showing more lyrical sentimentality in their themes or expressions. Thinking of the nature of the implied author, softer stance toward the society, as well as unjust value and order is likewise verified.
      번역하기

      This manuscript delves into the traits of communication structure within Korean hip-hop music video via the characteristic of the implied author. For this, the process of how hip-hop was settled in the United States as a strategy in culture, genre and...

      This manuscript delves into the traits of communication structure within Korean hip-hop music video via the characteristic of the implied author. For this, the process of how hip-hop was settled in the United States as a strategy in culture, genre and message is analyzed in a diachronic manner. Also procured are principles derived from reviews of communication structure in the American hip-hop music videos of the same age. Through comparison of the results, this abstract minutely examine the immanent nature of the Korean hip-hop music videos of the 2000s, which were well received both by the critics and the public.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s, the Korean hip-hop music videos show similarity with the American videos in the aspect that hip-hop musician as the realistic self imaginatively adheres to the characterized version of the musician within the text. Additionally found is the tendency of integration of the consumer in real life and the fictional audience within the text. To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videos, Korean hip-hop music videos have mass appeal, showing more lyrical sentimentality in their themes or expressions. Thinking of the nature of the implied author, softer stance toward the society, as well as unjust value and order is likewise verifi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힙합의 역사를 통해 본 문화, 장르, 메시지 전략
      • Ⅲ. 동시대 미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소통구조
      • Ⅳ.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에서 내포 작가의 구성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힙합의 역사를 통해 본 문화, 장르, 메시지 전략
      • Ⅲ. 동시대 미국 힙합 뮤직비디오의 소통구조
      • Ⅳ. 한국 힙합 뮤직비디오에서 내포 작가의 구성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애덤 브래들리, "힙합의 시학" 글항아리 2018

      2 한동윤, "힙합열전- 음반으로 보는 영미 힙합의 역사" 작가 2011

      3 김영대, "힙합, 우리 시대의 클래식" 한울 2009

      4 폴 에드워즈, "힙 투 더 합 힙합!" 한스미디어 2015

      5 김태룡, "한국 언더그라운드 힙합에 대한 연구 : 한국 언더그라운드 힙합의 정체성"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6 딥플로우, "작두"

      7 시모어 채트먼,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2008

      8 "이상 뮤직비디오"

      9 최상식, "영상으로 말하기- 셔레이드·몽타주·미장센의 해부" 시각과언어 2001

      10 다이나믹 듀오, "어머니의 된장국"

      1 애덤 브래들리, "힙합의 시학" 글항아리 2018

      2 한동윤, "힙합열전- 음반으로 보는 영미 힙합의 역사" 작가 2011

      3 김영대, "힙합, 우리 시대의 클래식" 한울 2009

      4 폴 에드워즈, "힙 투 더 합 힙합!" 한스미디어 2015

      5 김태룡, "한국 언더그라운드 힙합에 대한 연구 : 한국 언더그라운드 힙합의 정체성"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6 딥플로우, "작두"

      7 시모어 채트먼,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2008

      8 "이상 뮤직비디오"

      9 최상식, "영상으로 말하기- 셔레이드·몽타주·미장센의 해부" 시각과언어 2001

      10 다이나믹 듀오, "어머니의 된장국"

      11 김진곤, "뮤직비디오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12 Missy Elliot, "Work It"

      13 Eminem, "Without Me"

      14 "Watch Kendrick Lamar Receive the 2018 Pulitzer Prize for Music"

      15 Hae-Kyung, Um, "The poetics of resistance and the politics of crossing borders:Korean hip-hop and ‘cultural reterritorialisation’" 32 (32): 2013

      16 Eminem, "The Real Slim Shady"

      17 Demers, Joanna, "Sampling the 1970s in hip-hop" 22 (22): 2003

      18 G-DRAGON, "One Of A Kind"

      19 Kelly, Lauren, "Hip-Hop Literature: The Politics, Poetics, and Power of Hip-Hop in the English Classroom" 102 (102): 2013

      20 Morgan, Marcyliena, "Hip-Hop & the Global Imprint of a Black Cultural Form" 140 (140): 2011

      21 Boyer, Holly, "Hip Hop in the United States" 55 (55): 2016

      22 OutKast, "Hey Ya!"

      23 Kendrick Lamar, "HUMBLE"

      24 길혜빈, "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집’의 의미와 성격 - 서태지와 아이들, 방탄소년단 작품에 대한 세대론적 접근 -"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4-34, 2019

      25 드렁큰 타이거, "8:45 Heave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7 2.03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