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특산물 가로판매대 디자인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gricultural Product Farm Stand Design Status Analysis and Impr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711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ural villages lack human resources in production due to aging of the population, and in addition, the market has been opened up more and more, resulting in decrease of farm income. In order to solve such economic difficulties in rural villages, interest in direct transaction markets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as a tool for stabilizing prices. Furthermore, local governments are also actively supporting agricultural product farm stands, which is the most primitive sales method that farmers can easily operate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farm income by promoting direct transactions at the place of production. However, problems of agricultural product farm stands such as harming the road's beauty by leaving it out of production as well as traffic congestion and safety issues as it can lead to traffic ac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problems at the site from various angles and seek solutions from the design side. Surveys and analyses showed that issues on agricultural product farm stands were first, lack of safety for agricultural product farm stands second, inefficient utilization of space third, lack of consideration on the features of different items fourth, imprudent installation of advertisements that hamper road-side scenery and fifth, lack of sanitariness drop in consumer reliability. Improvement plans were found to be first, development of safety manual for installation and sites for agricultural product farm stands second, development of standardized sales facilities for efficient spatial utilization third, modualr farm stand for agricultural product fourth, unity installation of advertisement that improve road-side scenery and fifth, continuous hygiene control and gain consumer trust by improving service level expertise.
      번역하기

      Rural villages lack human resources in production due to aging of the population, and in addition, the market has been opened up more and more, resulting in decrease of farm income. In order to solve such economic difficulties in rural villages, inter...

      Rural villages lack human resources in production due to aging of the population, and in addition, the market has been opened up more and more, resulting in decrease of farm income. In order to solve such economic difficulties in rural villages, interest in direct transaction markets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as a tool for stabilizing prices. Furthermore, local governments are also actively supporting agricultural product farm stands, which is the most primitive sales method that farmers can easily operate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farm income by promoting direct transactions at the place of production. However, problems of agricultural product farm stands such as harming the road's beauty by leaving it out of production as well as traffic congestion and safety issues as it can lead to traffic ac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problems at the site from various angles and seek solutions from the design side. Surveys and analyses showed that issues on agricultural product farm stands were first, lack of safety for agricultural product farm stands second, inefficient utilization of space third, lack of consideration on the features of different items fourth, imprudent installation of advertisements that hamper road-side scenery and fifth, lack of sanitariness drop in consumer reliability. Improvement plans were found to be first, development of safety manual for installation and sites for agricultural product farm stands second, development of standardized sales facilities for efficient spatial utilization third, modualr farm stand for agricultural product fourth, unity installation of advertisement that improve road-side scenery and fifth, continuous hygiene control and gain consumer trust by improving service level experti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농촌은 인구 고령화로 인해 생산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며, 이와 동시에 시장 개방이 확대되어 농가소득까지 감소하고 있다.이러한 농촌 경제난을 해소를 위해 물가안정책의 수단으로 직거래 장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자체에서도 산지 직거래 활성화를 통한 농가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농업인들이 가장 쉽게 운영할 수 있는 원초적 판매 방식인 농특산물 가로판매대에 대한 지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농특산물 가로판매대는 운영시기 외 무분별한 방치로 도로 미관을 해치고 있으며, 교통정체 및 교통사고 유발의 원인으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장의 문제점을 다각도로 파악하고, 디자인적 측면에서 해결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농특산물 가로판매대 관련법을 고찰한 후 이에 따른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고 둘째, 농특산물 가로판매대 주요 품목을 선정하였다. 셋째, 권역별 농특산물 가로판매대 10개소를 선정하고 현장조사, 운영자 면담조사, 소비자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넷째, 농특산물 가로판매대디자인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조사분석결과, 농특산물 가로판매대에 대한 문제점은 첫째. 농특산물가로판매대 안전성 결여 둘째, 공간의 비효율적인 활용 셋째,품목별 특성에 대한 고려부족 넷째, 무분별한 홍보물 설치로도로미관 저해 다섯째, 위생성 결여로 소비자 신뢰 저하가 도출되었으며 개선방안은 첫째, 입지 및 설치에 대한 안전 매뉴얼 개발둘째, 효율적 공간활용을 위한 가로판매대 규격화 셋째, 품목에 적합한 모듈형 가로판매대 제안 넷째, 통일성 있는홍보물 설치로 도로 미관 개선 다섯째, 지속적인 위생관리와서비스 측면 전문성 제고로 소비자 신뢰 확보가 도출되었다.
      번역하기

      농촌은 인구 고령화로 인해 생산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며, 이와 동시에 시장 개방이 확대되어 농가소득까지 감소하고 있다.이러한 농촌 경제난을 해소를 위해 물가안정책의 수단으로 직거래...

      농촌은 인구 고령화로 인해 생산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며, 이와 동시에 시장 개방이 확대되어 농가소득까지 감소하고 있다.이러한 농촌 경제난을 해소를 위해 물가안정책의 수단으로 직거래 장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자체에서도 산지 직거래 활성화를 통한 농가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농업인들이 가장 쉽게 운영할 수 있는 원초적 판매 방식인 농특산물 가로판매대에 대한 지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농특산물 가로판매대는 운영시기 외 무분별한 방치로 도로 미관을 해치고 있으며, 교통정체 및 교통사고 유발의 원인으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장의 문제점을 다각도로 파악하고, 디자인적 측면에서 해결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농특산물 가로판매대 관련법을 고찰한 후 이에 따른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고 둘째, 농특산물 가로판매대 주요 품목을 선정하였다. 셋째, 권역별 농특산물 가로판매대 10개소를 선정하고 현장조사, 운영자 면담조사, 소비자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넷째, 농특산물 가로판매대디자인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조사분석결과, 농특산물 가로판매대에 대한 문제점은 첫째. 농특산물가로판매대 안전성 결여 둘째, 공간의 비효율적인 활용 셋째,품목별 특성에 대한 고려부족 넷째, 무분별한 홍보물 설치로도로미관 저해 다섯째, 위생성 결여로 소비자 신뢰 저하가 도출되었으며 개선방안은 첫째, 입지 및 설치에 대한 안전 매뉴얼 개발둘째, 효율적 공간활용을 위한 가로판매대 규격화 셋째, 품목에 적합한 모듈형 가로판매대 제안 넷째, 통일성 있는홍보물 설치로 도로 미관 개선 다섯째, 지속적인 위생관리와서비스 측면 전문성 제고로 소비자 신뢰 확보가 도출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회광, "서울시 가로 판매노점 디자인방향에 관한 연구" 10 : 12-13, 2007

      2 법제처,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

      3 이예찬, "도로변 농산물 판매장 시설의 문제점 및개선방안" 부산대학교 2016

      4 법제처, "도로법"

      5 진혜련,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소비자 의식 성향 분석"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2 (12): 45-56, 2014

      6 진혜련,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디자인 현황 분석 및 유형별 분석-농촌관광마을 현장조사 및 농업인 공급자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9 (19): 13-24, 2013

      7 한기자, "농촌진흥청 농식품 소비패턴조사"

      8 채혜성, "농촌마을축제의 농산물 직거래 장터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평가 -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 한국농촌계획학회 22 (22): 49-60, 2016

      9 법제처, "농지법 시행규칙"

      10 농수산물유통공사, "농업인 정례 직거래장터 개설 및운영 매뉴얼"

      1 김회광, "서울시 가로 판매노점 디자인방향에 관한 연구" 10 : 12-13, 2007

      2 법제처,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

      3 이예찬, "도로변 농산물 판매장 시설의 문제점 및개선방안" 부산대학교 2016

      4 법제처, "도로법"

      5 진혜련,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소비자 의식 성향 분석"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2 (12): 45-56, 2014

      6 진혜련,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디자인 현황 분석 및 유형별 분석-농촌관광마을 현장조사 및 농업인 공급자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9 (19): 13-24, 2013

      7 한기자, "농촌진흥청 농식품 소비패턴조사"

      8 채혜성, "농촌마을축제의 농산물 직거래 장터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평가 -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 한국농촌계획학회 22 (22): 49-60, 2016

      9 법제처, "농지법 시행규칙"

      10 농수산물유통공사, "농업인 정례 직거래장터 개설 및운영 매뉴얼"

      11 김태곤, "농업의 6차 산업화와 부가가치 창출방안 (978-89-6013-318-1)"

      12 농촌진흥청, "농식품 소비패널 자료 통계연보(11-1390 000-003928-10)"

      13 법제처,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

      14 채혜성, "농산물 직거래판매시설의유니버설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2 (22): 1-18, 2015

      15 황의식, "농산물 직거래장터의 실태와 활성화방안"

      16 서울디자인재단, "거리가게 디자인 개선 가이드라인 연구 (978-89-98664-62-6)"

      17 농촌진흥청, "1지역1특산품 육성기반 융복합산업화활용기술 공유회(978-89-480-4596-3935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dustrial design -> JOURNAL OF INDUSTRIAL DESIG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8 0.06 0.21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