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활성화를 위한 랜드마크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990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랜드마크는 지역을 대표하는 이미지로서, 그 곳을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지역의 특징을 인식시키기 때문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상징적인 랜드마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 활...

      랜드마크는 지역을 대표하는 이미지로서, 그 곳을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지역의 특징을 인식시키기 때문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상징적인 랜드마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 활성화를 위한 랜드마크 개발에 대한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향후 랜드마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관광 상품 및 관광 진흥 정책을 개발을 위한 기본지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현지조사지로서 일본 아오모리 현을 대상하였고, 현지조사와 문헌조사가 병용되었다. 일본은 오래 전부터 다양한 관광정책의 수립을 통하여 지방의 국제화 및 활성화를 모색해 왔다. 특히, 아오모리 현은 개발이 늦어진 농촌 지역의 관광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관광 상품과 문화 공간 개발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꾀하였다.아오모리 현의 사례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랜드마크 개발을 위한 조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랜드마크의 상징성이나 디자인을 결정함에 있어서 해당 지역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조사가 실행되어야 하며,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 둘째,랜드마크로의 접근성을 고려해야 하며, 주변 환경이 랜드마크와 더불어 관광요소로 작용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랜드마크의 방문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편의시설 및 다양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운영 및 관리를 통해 랜드마크 내·외부에서 다양한 즐길거리,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landmark is a representative image of a given region that impresses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upon visitors. As such, there is a need for each local government to develop a symbolic landmark. We investigated examples of landmark development ...

      A landmark is a representative image of a given region that impresses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upon visitors. As such, there is a need for each local government to develop a symbolic landmark. We investigated examples of landmark development intended to promote regional revitalization in hopes to provide a basic guideline for developing future landmarks, related tourism products, and tourism promotion policy. Aomori prefecture in Japan was selected as a site for a field study. For a long time, Japan has tried to internationalize and revitalize its provincial regions by establishing various tourism policies. In order to foster the tourism industry in rural areas that are behind in development, Aomori prefecture sought to promote local revitaliz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and cultural space centered on a landmark. Based on this example, we can summarize the conditions for successful landmark development as follows. First, in deciding on the symbolism or the design of a landmark, we must fully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given region and invest sufficient time and funds. Second, we must consider the accessibility of the landmark and make sure its surroundings can also serve as a tourist attraction element.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of visiting a landmark,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variety of things to see and enjoy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landmark,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continuous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menities and diverse progra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재상, "초고층 랜드마크의 공간적 거리 및 인지강도와의 상관성 분석 - 서울시 30층 이상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35 (35): 90-104, 2007

      2 손삼호, "지방자치단체의 관광목적지 브랜드자산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1 (21): 153-176, 2006

      3 박혜경, "장소인지요소로서의 실내 패턴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8 (8): 315-329, 2007

      4 김사영,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107-116, 2012

      5 박철현, "랜드마크의 토폴로지를 통한 읽기 쉬운 도시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43-52, 2011

      6 김종호, "랜드마크의 영향력 범위와 인지요인과의 관계" 한국조경학회 30 (30): 9-18, 2002

      7 박기관, "랜드마크에 대한 인지도가 지역랜드마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3 (13): 61-78, 2013

      8 김민주, "랜드마크 인지유형에 따른 도시이미지 차이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4 (24): 195-209, 2015

      9 유명희, "관광지의 랜드마크, 관광지의 이미지, 관광자 행동의 영향관계 - 인천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20 (20): 65-76, 2010

      10 민계홍, "관광객의 랜드마크 인식요인이 관광지 이미지와 방문만족도, 행동의도 간의 영향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9 (29): 21-40, 2014

      1 변재상, "초고층 랜드마크의 공간적 거리 및 인지강도와의 상관성 분석 - 서울시 30층 이상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35 (35): 90-104, 2007

      2 손삼호, "지방자치단체의 관광목적지 브랜드자산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1 (21): 153-176, 2006

      3 박혜경, "장소인지요소로서의 실내 패턴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8 (8): 315-329, 2007

      4 김사영,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107-116, 2012

      5 박철현, "랜드마크의 토폴로지를 통한 읽기 쉬운 도시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43-52, 2011

      6 김종호, "랜드마크의 영향력 범위와 인지요인과의 관계" 한국조경학회 30 (30): 9-18, 2002

      7 박기관, "랜드마크에 대한 인지도가 지역랜드마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3 (13): 61-78, 2013

      8 김민주, "랜드마크 인지유형에 따른 도시이미지 차이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4 (24): 195-209, 2015

      9 유명희, "관광지의 랜드마크, 관광지의 이미지, 관광자 행동의 영향관계 - 인천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20 (20): 65-76, 2010

      10 민계홍, "관광객의 랜드마크 인식요인이 관광지 이미지와 방문만족도, 행동의도 간의 영향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9 (29): 21-40, 2014

      11 최인숙, "강원 지자체 상징물의 실체분석 연구(1) -강원도와 18지자체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8 (18): 301-310, 2015

      12 D. Appleyard, "Why Building Are Known: A Predictive Tool for Architects and Planners" (1) : 1969

      13 Yasui Manami, "Urban DevelopmentㆍVillage Revitalization and Hometown Story" ShoManaBu-Kan 202-226, 1997

      14 K. Lynch,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1960

      15 Jae-hong Jang,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and Policy Response Between Regional Innovation Policy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13-, 2005

      16 Yu-gyeong Kim, "National Brand, Country Image: What is the Symbol of Korea" 9-16, 2006

      17 Chosun Biz, "Landmark in Korea Reference Information"

      18 Wikipedia, "Landmark Reference Information"

      19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Economic Outlook" 18-, 2015

      2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Japan's Regional Revitalization Plan & Tourism Industry Reference Information"

      2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Japan's Regional Revitalization Plan & Tourism Industry Reference Information"

      22 H. Matthews, "International Tourism: A Political and Social Analysis" Schenkman Publishing Company 8-, 1978

      2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Japan's Regional Revitalization Plan & Tourism Industry Reference Information"

      2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Japan's Regional Revitalization Plan & Tourism Industry Reference Information"

      25 B. Goodey, "Images of Place: Essays on Environmental Perception, Communications, and Education" University of Birmingham, Centre for Urban and Regional Studies 1974

      26 P. Fakekye, "Image differences between prospective, first time and repeat visitors to the lower rio grande valley" 2 (2): 191-210, 1991

      27 P. Fakekye, "Image differences between prospective, first time and repeat visitors to the lower rio grande valley" 2 (2): 191-210, 1991

      28 Hirosaki Official Website, "Hirosaki Reference Information"

      29 Inakadate Official Website, "Experience Tour Farming Experience Tour Reference Information"

      30 S. Kaplan, "Environmental Knowing" 1976

      31 Young-seok Yun, "City Branding" NITAS BRAND 16-, 2010

      32 Aomori Official Website, "Basic Regional activation Plan in Aomori Central City Reference Information"

      33 "Aptinet Aomori Sightseeing Guide. Tanbo Art Reference Information"

      34 Aomori Prefectural Government, "Aomori Reference Information"

      35 Aomori Prefectural Government, "Aomori Reference Information"

      36 Aomori Prefectural Government, "Aomori Reference Information"

      37 Heo, Yong-Seon, "Aomori Nebuta Festival in Japan" 31 (31): 35-, 2007

      38 Aomori Nebuta Festival Official Website, "Aomori Nebuta Festival Reference Information"

      39 Hyeong-seok Choi,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Urban Identity and Urban-Scale Landmark" 17 (17): 72-73, 2002

      4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1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29-,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