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내 한국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와 밀입국: 뉴욕시와 뉴저지 지역 사례 연구 =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 Case Study in New York Metropolitan and New Jerse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28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내 한국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실증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조사를 위해서 미국내 한인 성매매 여성, 성 구매 남성, 여성인권 NGO 직원 및 현지 경찰, 학계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뉴욕시와 뉴저지 지역에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일반 성매매 여성의 평균 연령(32.4세)은 인신매매 관련 피해여성의 평균 연령(36.6세)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80% 이상의 여성이 전문대학교 이상을 졸업하고, 70% 이상이 한국 국적을 소지하고 있었다. 둘째, 성매매 여성의 일부는 한국에서의 빚을 갚기 위해 입국비용까지도 빚을 내어 미국으로 입국한 경우도 있었으며, 학생신분의 비자(F-1)를 발급받아서 유흥업소에 종사 하면서 성매매를 하는 경우도 많았다. 셋째, 대체로 친구나 지인에 의한 네트워크와 인터넷 성매매 구인사이트에 의해 성매매 유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성매매 여성은 하루 약 10-11시간 일을 하며, 열악한 업무환경에 처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미국 비자면제프로그램이 시행된 이후 한국 여성의 미국 성산업 유입이 더욱 용이해지고 있었다. 마지 막으로 미국 내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 감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과 이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내 한국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실증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조사를 위해서 미국내 한인 ...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내 한국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실증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조사를 위해서 미국내 한인 성매매 여성, 성 구매 남성, 여성인권 NGO 직원 및 현지 경찰, 학계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뉴욕시와 뉴저지 지역에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일반 성매매 여성의 평균 연령(32.4세)은 인신매매 관련 피해여성의 평균 연령(36.6세)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80% 이상의 여성이 전문대학교 이상을 졸업하고, 70% 이상이 한국 국적을 소지하고 있었다. 둘째, 성매매 여성의 일부는 한국에서의 빚을 갚기 위해 입국비용까지도 빚을 내어 미국으로 입국한 경우도 있었으며, 학생신분의 비자(F-1)를 발급받아서 유흥업소에 종사 하면서 성매매를 하는 경우도 많았다. 셋째, 대체로 친구나 지인에 의한 네트워크와 인터넷 성매매 구인사이트에 의해 성매매 유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성매매 여성은 하루 약 10-11시간 일을 하며, 열악한 업무환경에 처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미국 비자면제프로그램이 시행된 이후 한국 여성의 미국 성산업 유입이 더욱 용이해지고 있었다. 마지 막으로 미국 내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 감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과 이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to provide a policy implic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using methods of interview investigation with Korean prostitute, Korean Men who payed sex, staffs of Women Rights NGO and police officers, and academia professionals in New York City Metropolitan and New Jersey. The findings show that: 1) the average age of prostitute was 31.4 years old and the average age of sexual exploitation of Women was 36.6 years old; over 80% of prostitute finished a college level education; over 70% of prostitute have a Korean citizen; 2) some prostitute came to the United States for paying their debt; the numbers of prostitute hold a student visa (F-1) status in order to work in the Sex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3) majority of prostitute was recruited by friends and/or acquaintance and by online advertising for recruiting the sex worker;
      4) the average duty hours of prostitute was 10-11 hours and they was under a poor work environment; 5) Visa Waiver Program have facilitated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Lastly, the study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a discussion of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to provide a policy implic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to provide a policy implic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using methods of interview investigation with Korean prostitute, Korean Men who payed sex, staffs of Women Rights NGO and police officers, and academia professionals in New York City Metropolitan and New Jersey. The findings show that: 1) the average age of prostitute was 31.4 years old and the average age of sexual exploitation of Women was 36.6 years old; over 80% of prostitute finished a college level education; over 70% of prostitute have a Korean citizen; 2) some prostitute came to the United States for paying their debt; the numbers of prostitute hold a student visa (F-1) status in order to work in the Sex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3) majority of prostitute was recruited by friends and/or acquaintance and by online advertising for recruiting the sex worker;
      4) the average duty hours of prostitute was 10-11 hours and they was under a poor work environment; 5) Visa Waiver Program have facilitated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Lastly, the study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a discussion of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경구, "해외 각 국의 이민정책 추진체계 연구" 법무부 2012

      2 정재원, "한국형 성 산업과 성매매 문화의 국제적 팽창: 해외 성 구매 실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1

      3 최수경, "한국인의 미국 이민 100년사: 평가와 전망" 사회과학연구소 22 (22): 151-168, 2011

      4 성용은, "체미(滯美)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조사방법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 12 (12): 49-82, 2013

      5 김기태, "은밀한 호황 : 불 꺼지지 않는 산업, 대한민국 성매매 보고서" 이후 2012

      6 김은경, "성착취 목적의 인신매매 현황과 법적 대응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7 장준오, "성적 착취를 위한 국제인신매매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한예비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8 매일노동뉴스, "성매매를 권하는 체제를 고발한다"

      9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성매매 실태 조사 보고서" 여성가족부 2010

      10 윤덕경, "성 착취적 국제 인신매매 피해 관련 법·제도 및 대책방안" 여성가족부 2014

      1 한경구, "해외 각 국의 이민정책 추진체계 연구" 법무부 2012

      2 정재원, "한국형 성 산업과 성매매 문화의 국제적 팽창: 해외 성 구매 실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1

      3 최수경, "한국인의 미국 이민 100년사: 평가와 전망" 사회과학연구소 22 (22): 151-168, 2011

      4 성용은, "체미(滯美)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조사방법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 12 (12): 49-82, 2013

      5 김기태, "은밀한 호황 : 불 꺼지지 않는 산업, 대한민국 성매매 보고서" 이후 2012

      6 김은경, "성착취 목적의 인신매매 현황과 법적 대응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7 장준오, "성적 착취를 위한 국제인신매매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한예비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8 매일노동뉴스, "성매매를 권하는 체제를 고발한다"

      9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성매매 실태 조사 보고서" 여성가족부 2010

      10 윤덕경, "성 착취적 국제 인신매매 피해 관련 법·제도 및 대책방안" 여성가족부 2014

      11 "미국 '원정 성매매' 업소 덜미…한미 합동단속반에 적발"

      12 장준오, "국제인신매매 현황, 문제점 및 대책 : 한국과 러시아와 독립국가연합(CIS)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1

      13 Farrell, Amy, "Where are all the victims?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official identification of human trafficking incidents" 9 : 201-231, 2010

      14 Logan, T. K., "Understanding human trafficking in the United States" 10 : 3-30, 2009

      15 Flynn, Catherine, "Trafficking in women for sexual exploitation: Building Australian Knowledge" International Social Work 2012

      16 Department of State, "Trafficking in Persons Report" U.S. Department of State 2014

      17 Kempadoo, Kamala, "Trafficking and Prostitution Reconsidered:New Perspectives on Migration, Sex Work, and Human Rights" vii-xxxiv, 2005

      18 Surtees, Rebecca., "Traffickers and trafficking in Southern and Eastern Europe" 5 : 39-68, 2008

      19 Olsen, Harald H., "The snake from Fujian Province to Morecambe Bay: An analysis of the problem of human trafficking in sweated labour" 16 : 1-37, 2008

      20 Agustin, Laura., "The disappearing of a migration category: Migrants who sell sex" 32 : 29-47, 2006

      21 Choo, Kyungseok, "The Police Crackdown in Red Light Districts in South Korea and the Crime Displacement Effect after the 2004Act on the Punishment of Intermediating in the Sex Trade" 8 (8): 79-96, 2011

      22 Newman, Graeme R., "The Exploitation of Trafficked Women" U.S. Department of Justice 2006

      23 Hughes, Donna., "The "Natasha" trade: The transnational shadow market of trafficking in women" 53 : 635-651, 2000

      24 Zhang, Sheldon X., "Smuggling and Trafficking in Human Beings : All Roads Lead to America" Greenwood Publishing Group, Inc 2007

      25 성용은, "Smuggling and Sex Trafficking of Korean Women into the United States: Review of Case Studies and Its Implication" 한국치안행정학회 9 (9): 183-206, 2012

      26 Chin, Ko-lin., "Smuggled Chinese : Clandestine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Temple University Press 1999

      27 Troshynski, Emily I., "Sex trafficking: An exploratory study interviewing traffickers" 11 : 30-41, 2008

      28 Schauer, Edward J., "Sex trafficking into the United States:A literature review" 31 : 146-169, 2006

      29 Raymond, Janice G., "Sex Trafficking of Women in the United States" The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2001

      30 Zhang, Sheldon X., "Sex Trafficking in a Border Community: A Field Study of Sex Trafficking in Tijuana, Mexico" The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2010

      31 Brown, Louise., "Sex Slaves : The Trafficking of Women in Asia" Virago 2000

      32 Hughes, Donna M., "Modern-Day comfort women" 13 : 901-922, 2007

      33 Choo, Kyungseok, "Methodological and ethical challenges to conducting human trafficking studies: A case study of Korean trafficking and smuggling for sexual exploitation to the United State" 20 : 167-185, 2010

      34 Kaizen, Julie, "Irregular migration in Belgium and organized crime: An overview" 45 : 121-146, 2007

      35 Winterdyk, John, "Introduction to special issue human trafficking:Issues and perspectives" 7 : 5-10, 2010

      36 Goodey, Jo., "Human trafficking: Sketchy data and policy responses" 8 : 421-442, 2008

      37 Lee, June JH., "Human trafficking in East Asia: Current trends, data collection, and knowledge gaps" 43 : 165-201, 2005

      38 United Stat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Human Trafficking: Better Data, Strategy, and Reporting Needed to Enhance U.S. Anti-trafficking Efforts Abroad"

      39 Jang, Joon Oh, "Human Trafficking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for Sexual Exploitation to the United States: A Critical Analysis of Transnational Displacement and Anti‐trafficking Measures"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2009

      40 Lee, Maggy, "Human Trafficking" Willan Publishing 1-25, 2007

      41 Heil, Erin, "Hot spot trafficking: a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potential problems associated with targeted policing and the eradication of sex trafficking in the United States" 17 (17): 421-433, 2014

      42 Chin, Ko-lin, "Going Down to the Sea"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1

      43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UNODC), "Global Report on Trafficking in Person 2012" United Nations 2012

      44 Spener, David, "Global Human Smugglin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29-165, 2001

      45 Choi, Zihn., "Early Korean immigrants to America: Their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4 : 43-71, 2002

      46 Cwikel, Julie, "Contentious issues in research on trafficked women working in the sex industry: Study design, ethics, and methodology" 42 : 306-316, 2005

      47 Office of Justice Programs., "Characteristics of Suspected Human Trafficking Incidents, 2008-2010" U. S. Department of Justice 2011

      48 Zhang, Sheldon X., "Beyond the 'Natasha' story – a review and critique of current research on sex trafficking" 10 : 178-195,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05 1.468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