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하 재중 한인 아나키스트 嘯山 李圭昌의 민족운동 = An Anarchist in China, Lee Kyu­Chang’s National Movement in Japanese Imperi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97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activities of Lee Kyu­Chang, who was third son of Lee Hoi­Young and head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an anarchist in China. Nowadays, the investigation into Lee Kyu­Chang was restricted, though there remain his autobiography, trial records and reports. So this paper had a significant for arranging research on his independence movement for the first time.
      Lee Kyu­Chang was born in March, 1913, when his father, Lee Hoi­Young departed from the country and began to independent movement, and so Lee Kyu­Chang had a consecutive suffering.
      However, as Lee Hoi­Young’s son, he was faithful to his duties such as contact with Uiyoldan and Damuldan. And he participated in Namhwa Korean Youth Alliance in the Won Sim­Chang’ house in February 1933 in Shanghai. And in questioning progress of prosecutor, he empathized that the social institution that suppressed the proletariat should be overthrow, and it is need to establish the liberal social of equality for all.
      Lee Kyu­Chang’s patriotic struggle included largely 6 cases. First of all, he punished those who informed his farther, and when participated in struggle at restaurant Yooksamjeong, he played the role to keep watch on situation outside the site at that day. After than, Lee Kyu­Chang attacked the house of Cho Sang­Seop, pro­Japanese, and raised the independent funds. With Um Sun­Bong, he punished Lee Young­Ro, who was the president of residents in Shanghai. Lee Kyu­Chang was sent to Korean and in prison with Park Se­Woung he distributed the leaflet, which denounced the Japanese attack to China.
      Moreover, in 1947 Lee Kyu­Ho punished the Japanese polices belonged to Jongno Police Station who suppressed the independent group. To conclude, Lee Kyu­Chang was the strongest anarchist fighter for independence throughout the periods of Japanese Imperialism.
      번역하기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activities of Lee Kyu­Chang, who was third son of Lee Hoi­Young and head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an anarchist in China. Nowadays, the investigation into Lee Kyu­Chang was restricted, though there remain his au...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activities of Lee Kyu­Chang, who was third son of Lee Hoi­Young and head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an anarchist in China. Nowadays, the investigation into Lee Kyu­Chang was restricted, though there remain his autobiography, trial records and reports. So this paper had a significant for arranging research on his independence movement for the first time.
      Lee Kyu­Chang was born in March, 1913, when his father, Lee Hoi­Young departed from the country and began to independent movement, and so Lee Kyu­Chang had a consecutive suffering.
      However, as Lee Hoi­Young’s son, he was faithful to his duties such as contact with Uiyoldan and Damuldan. And he participated in Namhwa Korean Youth Alliance in the Won Sim­Chang’ house in February 1933 in Shanghai. And in questioning progress of prosecutor, he empathized that the social institution that suppressed the proletariat should be overthrow, and it is need to establish the liberal social of equality for all.
      Lee Kyu­Chang’s patriotic struggle included largely 6 cases. First of all, he punished those who informed his farther, and when participated in struggle at restaurant Yooksamjeong, he played the role to keep watch on situation outside the site at that day. After than, Lee Kyu­Chang attacked the house of Cho Sang­Seop, pro­Japanese, and raised the independent funds. With Um Sun­Bong, he punished Lee Young­Ro, who was the president of residents in Shanghai. Lee Kyu­Chang was sent to Korean and in prison with Park Se­Woung he distributed the leaflet, which denounced the Japanese attack to China.
      Moreover, in 1947 Lee Kyu­Ho punished the Japanese polices belonged to Jongno Police Station who suppressed the independent group. To conclude, Lee Kyu­Chang was the strongest anarchist fighter for independence throughout the periods of Japanese Imperial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본고에서는 저명한 독립운동가 이회영의 3남으로 출생하여 중국관내에서 아나키스트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해왔던 이규창의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이규창에 관한 연구는 그의 자서전과 재판기록 및 각종 언론자료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정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본 연구는 그의 독립운동을 최초로 정리한 연구업적이라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규창은 1913년 3월 만주에서 출생하였으며, 부친인 이회영이 1910년 12월 국내를 떠나 본격적인 독립운동을 시작하고 있던 시기에 출생했기 때문에 그의 개인적인 삶은 고난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이규창은 이회영의 아들로서 의열단이나 다물단 및 제 단체의 연락 등 허다한 심부름을 성실하게 수행하였다. 또한 이규창은 1933년 2월 上海의 프랑스조계 안에 있던 元心昌의 집에서 남화한인연맹에 가입하였다. 그리고 그는 검사의 신문과정에서 ‘무산계급을 압박하는 현대자본주의의 사회제도를 타도하여 만민평등의 자유연맹의 사회를 창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기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규창의 의열투쟁은 크게 6건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우선 그는 부친을 밀고한 인물들의 처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육삼정의거에도 참여했는데 거사 당일 사건 현장의 외각에서 상황을 파악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이후 이규창은 친일분자인 趙尙燮의 집을 습격하여 독립운동자금을 마련하기도 했으며, 동지 엄순봉과 함께 상해지역 거류민회장 李容魯를 처단하였다. 이후 그는 국내로 압송되어 수감되었으며, 수감 중에는 사회주의자 박세영과 함께 일제의 중국침략을 규탄하는 선전문을 배포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규호는 해방 후인 1947년에는 일제하에 독립운동가를 탄압했던 종로경찰서 소속의 일제 경찰을 처단하기도 했데 대체로 이규창은 일제시기 전기간에 걸쳐 가장 강력한 아나키즘적 항일투쟁을 전개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지금까지 본고에서는 저명한 독립운동가 이회영의 3남으로 출생하여 중국관내에서 아나키스트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해왔던 이규창의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을 정리하...

      지금까지 본고에서는 저명한 독립운동가 이회영의 3남으로 출생하여 중국관내에서 아나키스트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해왔던 이규창의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이규창에 관한 연구는 그의 자서전과 재판기록 및 각종 언론자료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정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본 연구는 그의 독립운동을 최초로 정리한 연구업적이라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규창은 1913년 3월 만주에서 출생하였으며, 부친인 이회영이 1910년 12월 국내를 떠나 본격적인 독립운동을 시작하고 있던 시기에 출생했기 때문에 그의 개인적인 삶은 고난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이규창은 이회영의 아들로서 의열단이나 다물단 및 제 단체의 연락 등 허다한 심부름을 성실하게 수행하였다. 또한 이규창은 1933년 2월 上海의 프랑스조계 안에 있던 元心昌의 집에서 남화한인연맹에 가입하였다. 그리고 그는 검사의 신문과정에서 ‘무산계급을 압박하는 현대자본주의의 사회제도를 타도하여 만민평등의 자유연맹의 사회를 창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기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규창의 의열투쟁은 크게 6건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우선 그는 부친을 밀고한 인물들의 처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육삼정의거에도 참여했는데 거사 당일 사건 현장의 외각에서 상황을 파악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이후 이규창은 친일분자인 趙尙燮의 집을 습격하여 독립운동자금을 마련하기도 했으며, 동지 엄순봉과 함께 상해지역 거류민회장 李容魯를 처단하였다. 이후 그는 국내로 압송되어 수감되었으며, 수감 중에는 사회주의자 박세영과 함께 일제의 중국침략을 규탄하는 선전문을 배포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규호는 해방 후인 1947년에는 일제하에 독립운동가를 탄압했던 종로경찰서 소속의 일제 경찰을 처단하기도 했데 대체로 이규창은 일제시기 전기간에 걸쳐 가장 강력한 아나키즘적 항일투쟁을 전개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회상" 민음사 1988

      2 박철홍, "중국 아나키즘의 수용과 전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7 : 109-137, 2003

      3 "조선일보"

      4 박종연, "일제시기 李康勳의 민족운동과 六三亭의거" 숭실사학회 (32) : 115-136, 2014

      5 김상웅, "이회영평전" 책으로보는세상 2011

      6 이정규, "우당 이회영약전" 을유문화사 1985

      7 "엄순봉 등 판결문"

      8 성주현, "아나키스트 원심창과 육삼정 의열투쟁" 숭실사학회 (24) : 77-109, 2010

      9 박 환, "식민지시대 한인아니키즘운동사" 선인 2005

      10 정화암, "몸으로 쓴 근세사" 자유문고 1992

      1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회상" 민음사 1988

      2 박철홍, "중국 아나키즘의 수용과 전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7 : 109-137, 2003

      3 "조선일보"

      4 박종연, "일제시기 李康勳의 민족운동과 六三亭의거" 숭실사학회 (32) : 115-136, 2014

      5 김상웅, "이회영평전" 책으로보는세상 2011

      6 이정규, "우당 이회영약전" 을유문화사 1985

      7 "엄순봉 등 판결문"

      8 성주현, "아나키스트 원심창과 육삼정 의열투쟁" 숭실사학회 (24) : 77-109, 2010

      9 박 환, "식민지시대 한인아니키즘운동사" 선인 2005

      10 정화암, "몸으로 쓴 근세사" 자유문고 1992

      11 "매일신보"

      12 "동아일보"

      13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증언자료집 1권" 2002

      14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제7권 : 의열투쟁사"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6

      15 "독립신문"

      16 유자명, "나의회억" 료녕인민출판사 1984

      17 이규창, "運命의 餘燼" 寶蓮閣 1992

      18 "朝鮮民族運動年鑑"

      19 "嚴舜奉 ․ 李圭虎判決文"

      20 박환, "1920년대 전반 북경지역 한인아나키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7 : 5-38,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