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나주 불회사 비자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보전관리방안 = Conservation Management Strategies of Protected Areas for Genetic Resources, Torreya nucifera Forest of Bulhoesa(Temple) in Naju1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5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비자림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건강진단을 통해 나주 불회사 비자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A유형은 현 수준을 유지하면서 경쟁목이나 피해목...

      본 연구에서는 비자림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건강진단을 통해 나주 불회사 비자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A유형은 현 수준을 유지하면서 경쟁목이나 피해목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제거하거나 치료하는 소극적인 관리, B유형은 토양의 산성화를 개선하고 조릿대, 왕대와 굴참나무, 개서어나무 등의 낙엽활엽수들을 제거하여 비자림을 확대 육성하는 적극적인 관리, C유형은 편백림 안에서 토양의 산성화 개선과 기존 비자림 중심의 소극적 관리, D유형은 토양산성화 개선과 비자 치수를 보호 육성하기 위하여 경쟁관계에 있는 식생을 제거하는 적극적 관리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해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IUCN 보호지역관리 카테고리에 따라 카테고리 Ⅲ(자연기념물) 또는 Ⅳ(종서식지 보호구역)로 등록 관리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some of the specific ecological characteristics Torreya nucifera forest and its health conditions so that was drawn from four different management strategies, such as Types A, B, C, and D, for protected areas of forest genetic ...

      This study investigated some of the specific ecological characteristics Torreya nucifera forest and its health conditions so that was drawn from four different management strategies, such as Types A, B, C, and D, for protected areas of forest genetic resources. Type A refers to passive management which routinely keeps the current status of forests by removing competitive trees or curing damaged ones. Type B, as active one which improves Torreya nucifera forest, includes increase of soil pH and removal of Sasa borealis, Phyllostachys bambusoides , and deciduous broad-leaved trees such as Quercus variabilis, Carpinus tschonoskii et al.. Type C is another passive one which reduces soil acidity within Chamae cyparisobtusa forest and maintains the existing forests. Type D is another active one which decreases soil acidity and simultaneously reduces problems associated with competitive and invasive plants to nurture the young trees. At las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protected areas for forest genetic resources need to be entitled to categories Ⅲ(natural monument) or Ⅳ (habitat/species management area) in accordance with protected area management guidelines of IUC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현,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 91 (91): 694-700, 2002

      2 조용현, "우리나라 보호지역 관리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조경학회 38 (38): 64-73, 2010

      3 Ryu, Kwangsu,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리효과성 평가 적용" 산림과학연구소 27 (27): 205-210, 2011

      4 전호성, "비자(Torreya nucifera)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8, 2009

      5 김성일, "백두대간보호지역의 IUCN 관리 카테고리 적용 연구" 한국임학회 100 (100): 494-503, 2011

      6 홍석환, "거창 갈계숲 산림유전자원보호림 현황과 보전대책"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2 (12): 25-36, 2009

      7 Park, M. S., "Vegetation Structure and Growth Environment of Torreya nucifera Forest in Mt. Gaecheon. J.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1 (11): 15-25, 2007

      8 Youn W. J., "Torreya nucifera Essential Oil Inhibits skin pathogen Growth and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Effects" 5 (5): 37-43, 2009

      9 Lee, S. K., "Studies on the Biota, Growth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al Changes in Relation to Tending Care Intensity and Conservation Measures of the Torreya nucifera Forest in Gujwa-eup, Jeju, Korea" Univ. of Sangji 2009

      10 Kim, Y.S., "Phytogeographic Distribution of Genus Torreya of the World" 4 : 143-150, 1985

      1 정진현,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 91 (91): 694-700, 2002

      2 조용현, "우리나라 보호지역 관리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조경학회 38 (38): 64-73, 2010

      3 Ryu, Kwangsu,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리효과성 평가 적용" 산림과학연구소 27 (27): 205-210, 2011

      4 전호성, "비자(Torreya nucifera)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8, 2009

      5 김성일, "백두대간보호지역의 IUCN 관리 카테고리 적용 연구" 한국임학회 100 (100): 494-503, 2011

      6 홍석환, "거창 갈계숲 산림유전자원보호림 현황과 보전대책"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2 (12): 25-36, 2009

      7 Park, M. S., "Vegetation Structure and Growth Environment of Torreya nucifera Forest in Mt. Gaecheon. J.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1 (11): 15-25, 2007

      8 Youn W. J., "Torreya nucifera Essential Oil Inhibits skin pathogen Growth and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Effects" 5 (5): 37-43, 2009

      9 Lee, S. K., "Studies on the Biota, Growth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al Changes in Relation to Tending Care Intensity and Conservation Measures of the Torreya nucifera Forest in Gujwa-eup, Jeju, Korea" Univ. of Sangji 2009

      10 Kim, Y.S., "Phytogeographic Distribution of Genus Torreya of the World" 4 : 143-150, 1985

      11 Lee, W. N., "New Flora of Korea Vol Ⅰ" Gyohaksa 191-, 2003

      12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riteria"

      13 IUCN, "Guidelines for Protected Area Management Categories. NPPA with the assistance of WCMC"

      14 KTPRC(Korea Tree Protection Research Center), "Fundamental Research to Establish Preservation Strategies for Healthy Pinus densiflora Forests" Fesearch Report to Gangneung City 595-, 2004

      15 An, J. M., "Forest Management" Hyangmunsa 224-226, 2007

      16 Kim, J.K., "Extractives from the Needles of Torreya" 29 (29): 53-59, 2001

      17 Hockings, M., "Evaluation Effectiveness: A framework for assessing management effectiveness of protected areas, In Best Practice Protected Ara Guidelines Series 14(2nd edition)" IUCN 2006

      18 Cha, J. W., "Ecological Studies on Plant Communities of Quelpart Island - The Communities of the Crinum maritimum and Torreya nucifera -" 13 (13): 13-24, 1970

      19 Hong, Y. P., "Diversity of I-SSR Variants in the Populations of Torreya nucifera" 89 (89): 167-172, 2000

      20 Kim, Y.D., "Cytogenetic and Physiological Studies in Natural Populations of Torreya nucifera" 78 (78): 42-54, 1989

      21 CHA(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22 Lee, T. B., "Coloured Flora of Korea Ⅰ(2nd ed. )" Hyangmunsa, Seoul 128-, 2003

      23 Bulhoesa, "Bulhoesa Introduction"

      24 Lee, W. S., "Antioxidant Activities of Abietane Diterpenoids Isolated from Torreya nucifera Leaves" 54 (54): 5369-5374, 2006

      25 Lee, W. M., "100 Korean Trees(18th ed. )" Hyunamsa 480-485,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