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학희, "현대미술에서 지리적 상상력의 중요성" 대한지리학회 2008
2 고윤정, "한국의 행동주의적 공공미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9
3 이진희, "커뮤니티아트로서의 공공미술" 151 : 1997
4 전진삼, "지식인사회가 공공미술을 망치고 있다" 150 : 1997
5 양현미, "지방자치 시대의 공공미술" 미술세계 151 : 1997
6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청 2010년 연차보고서" 중소기업청 2010
7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전통시장의 현재와 미래" 2008
8 조르지오 아감벤, "장치란 무엇인가?" 난장 2010
9 다원예술위원회, "예술의 공공성 논의, 어디까지 왔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7
10 이명훈, "예술과 시장의 상생을 찾아서-광주대인시장 복덕방 프로젝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7 : 2008
1 김학희, "현대미술에서 지리적 상상력의 중요성" 대한지리학회 2008
2 고윤정, "한국의 행동주의적 공공미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9
3 이진희, "커뮤니티아트로서의 공공미술" 151 : 1997
4 전진삼, "지식인사회가 공공미술을 망치고 있다" 150 : 1997
5 양현미, "지방자치 시대의 공공미술" 미술세계 151 : 1997
6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청 2010년 연차보고서" 중소기업청 2010
7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전통시장의 현재와 미래" 2008
8 조르지오 아감벤, "장치란 무엇인가?" 난장 2010
9 다원예술위원회, "예술의 공공성 논의, 어디까지 왔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7
10 이명훈, "예술과 시장의 상생을 찾아서-광주대인시장 복덕방 프로젝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7 : 2008
11 공공미술추진위원회, "아트인시티 2007년 보고서" 2008
12 공공미술추진위원회, "아트인시티 2006년 보고서" 2007
13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종합계획" 2007
14 조주연, "실재의 귀환" 경성대학교출판부 2010
15 석수아트프로젝트실행위원회, "시장에서 예술하기" 아침미디어 2009
16 다원예술위원회, "새장르공공예술의 공공성"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7
17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새로운 지형을 모색하는 공공미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사)한국미술협회 2010
18 문화체육관광부, "빛의 문화 프로젝트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개념과 전망 그리고 전략 2.5" 2005
19 모리스 블랑쇼, "밝힐 수 없는 공동체, 마주한 공동체" 문학과지성사 2005
20 맬컴 마일스, "미술, 공간, 도시" 학고재 2000
21 문화체육관광부,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 2010년도 추진계획(안)" 2010
22 우주희,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2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24 매개공간미나리, "매개공간미나리 2009년 활동자료집" 2010
25 전용석, "도시담론의 변화와 공공미술의 가능성- 플라잉 씨티<청계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현대미술사학회 (16) : 203-226, 2004
26 신명호, "도시공동체론" 한울 2003
27 매개공간미나리, "대인예술시장 프로젝트 사업계획서" 2009
28 호남학연구원, "대인시장 예술인공방거리 조성사업 평가용역 결과보고서" 광주문화예술진흥위원회 2010
29 광주민속박물관, "광주의 재래시장" 광주민속박물관 2001
30 광주시사편찬위원회, "광주시사-1965" 광주시사편찬위원회 1966
31 광주비엔날레 복덕방 프로젝트, "광주비엔날레 제안전 복덕방 프로젝트 보도자료" 2008
32 광주광역시, "광주도시계획연혁" 1992
33 광주광역시, "광주도시계획사연구" 1992
34 "광주광역시 동구 재래시장 및 상점과 활성화방안 연구" 광주광역시 동구 2007
35 위르겐 하버마스, "공론장의 구조변동" 나남출판 2001
36 강수미, "공동체를 위한 예술과 공공미술" 현대미술학회 1 (1): 7-52, 2008
37 최협, "공동체론의 전개와 지향" 선인 2001
38 이기호, "공공성" 미메시스 2008
39 문화관광부, "공공미술이 도시를 바꾼다" 문화관광부 2006
40 김준기, "공공미술의 구속 또는 구원, 장소 특정성" 퍼블릭아트 2008
41 박찬경, "공공미술과 미술의 공공성" 문화과학사 53 : 2008
42 김윤경, "공공미술, 또 하나의 접근법 - <행동하는 문화>사례를 중심으로" 현대미술사학회 (16) : 227-262, 2004
43 미술인회의, "공공미술 관련 상황 일람표" 2004
44 아르준 아파두라이, "고삐풀린 현대성" 현실문화연구 2004
45 조한혜정,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또하나의문화 2006
46 신정훈, "‘포스트-민중’시대의 미술 : 도시성, 공공미술, 공간의 정치"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 : 249-268, 2009
47 Howard Morphy, "The Anthropology of Art: A Reader" Blackwell Publishers 2006
48 S. Kemmis,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i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2nd edition)" Sage Publications 2000
49 광주문화예술진흥위원회, "P.A.A.D: Project, Art Activities in Daein Traditional Market" 2010
50 Suzan Lacy, "Mapping the Terrain: The New Genre Public Art" Bay Press 1995
51 Akhil Gupta, "Culture, Power, Place" Duke University Press 1997
52 Arnd Schneider, "Contemporary art and anthropology" Berg 2006
53 Nina Felshin, "But is it art: the spirit of art as activism" Bay Press 1995
54 Arnd Schneider, "Between Art and Anthropology: Contemporary Ethnographic Practice" Berg 2010
55 John van Willigen, "Applied Anthropology" Bergin & Garvey 2007
56 재)광주비엔날레, "2008광주비엔날레 전시도록" 2008
57 (재)광주비엔날레, "2008광주비엔날레 결과보고서"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