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표현의 중복성과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62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목적은 정보이론에서 정의하는 중복성과 불 확실성의 개념을 표현에 적용해 봄으로서 표현의 수량화가 가능함을 확인하고 정보이론이 기억에 의한 표현을 과학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음을 제안함에 있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설문을 통해 예측 가능한 대상의 표현을 분석한다. 표현에서 중복된 표현과 중복되지 않은 표현을 분석한다. 표현이 중복되는 확률이 중복성이다. 중복성은 대상이 표현될 가능성이다. 중복되는 확률을 정보이론에 대입해 표현의 불확실성을 탐구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방법을 통해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현의 본질은 의미의 소통이다. 표현은 중복성과 불확실성을 동시에 지닌다. 중복성은 의미와 관계하며 불확실성은 소통과 관계한다. 표현을 소통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으로 구분할 때 표현의 중복성이 높다는 것은 의미적 측면에서는 통속적이지만 표현의 불확실성은 낮게 되어 소통적 측면에서는 효율적인 것이 된다. 표현의 불 확실성이 높다는 것은 소통적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이지만 표현의 중복성은 낮게 되어 의미적 측면에서는 독창적인 것이 된다. 표현의 중복성과 불확실성을 파악하면 소비자의 필요에 의한 전략적 디자인이 가능하게 된다. 디자인의 소통적 측면을 필요로 하는 대상이 있는 반면 의미적 측면을 필요로 하는 대상도 있고 둘 다를 필요로 하는 대상도 있기 때문이다. 표현은 대상에 대해 통속적 의미인지 독창적 의미인지 그리고 얼마의 판단으로 표현된 것인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그런 상태를 수량화하면 표현에 대한 과학적 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대상에서 예측 가능한 표현이 중복된 것인지 중복되지 않은 것인지 즉 대상에 대해 통속적 의미인지 독창적 의미인지를 판단하는 중복성 그리고 표현이 판단되는데 필요한 횟수 즉 정보량을 파악하면 표현을 과학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따라서 표현의 중복성과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는 소비자의 기억에 의한 표현을 과학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이 될수 있다.
      번역하기

      연구의 목적은 정보이론에서 정의하는 중복성과 불 확실성의 개념을 표현에 적용해 봄으로서 표현의 수량화가 가능함을 확인하고 정보이론이 기억에 의한 표현을 과학적으로 해석하는 방...

      연구의 목적은 정보이론에서 정의하는 중복성과 불 확실성의 개념을 표현에 적용해 봄으로서 표현의 수량화가 가능함을 확인하고 정보이론이 기억에 의한 표현을 과학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음을 제안함에 있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설문을 통해 예측 가능한 대상의 표현을 분석한다. 표현에서 중복된 표현과 중복되지 않은 표현을 분석한다. 표현이 중복되는 확률이 중복성이다. 중복성은 대상이 표현될 가능성이다. 중복되는 확률을 정보이론에 대입해 표현의 불확실성을 탐구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방법을 통해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현의 본질은 의미의 소통이다. 표현은 중복성과 불확실성을 동시에 지닌다. 중복성은 의미와 관계하며 불확실성은 소통과 관계한다. 표현을 소통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으로 구분할 때 표현의 중복성이 높다는 것은 의미적 측면에서는 통속적이지만 표현의 불확실성은 낮게 되어 소통적 측면에서는 효율적인 것이 된다. 표현의 불 확실성이 높다는 것은 소통적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이지만 표현의 중복성은 낮게 되어 의미적 측면에서는 독창적인 것이 된다. 표현의 중복성과 불확실성을 파악하면 소비자의 필요에 의한 전략적 디자인이 가능하게 된다. 디자인의 소통적 측면을 필요로 하는 대상이 있는 반면 의미적 측면을 필요로 하는 대상도 있고 둘 다를 필요로 하는 대상도 있기 때문이다. 표현은 대상에 대해 통속적 의미인지 독창적 의미인지 그리고 얼마의 판단으로 표현된 것인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그런 상태를 수량화하면 표현에 대한 과학적 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대상에서 예측 가능한 표현이 중복된 것인지 중복되지 않은 것인지 즉 대상에 대해 통속적 의미인지 독창적 의미인지를 판단하는 중복성 그리고 표현이 판단되는데 필요한 횟수 즉 정보량을 파악하면 표현을 과학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따라서 표현의 중복성과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는 소비자의 기억에 의한 표현을 과학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이 될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it is possible to quantify expression and to propose that information theory can be a method to scientifically interpret expression by memory by applying the concepts of redundancy and uncertainty as defined by information theory. The research method is constructed as follows. Predictable expressions of subjects are analyzed through a survey. Repeated expressions and unrepeated expressions are analyzed. The probability that an expression will be repeated is redundancy. Redundancy is the probability that a subject will be expressed. The uncertainty of expression is then explored by applying redundancy to information theory. Conclusions drawn through this method are as follows. The nature of expression is the communication of meaning. Expression possesses redundancy and uncertainty simultaneously. Redundancy is related to meaning and uncertainty is related to communication. When expression is divided into communicative aspects and semantic aspects, high redundancy of expression is common from a semantic aspect but because there is low uncertainty of expression, it is effective from a communicative aspect. If uncertainty of expression is high, then this is ineffective from a communicative aspect but because redundancy of expression is low, it becomes unique from a semantic aspect. If the redundancy and uncertainty of expression is understood, it is possible to create a strategic design that lies upon the needs of consumers. While there are subjects that need the communicative aspect of design, there are subjects that need the semantic aspect and those that need both. It is not known whether expression has a common meaning or a unique meaning of a subject or by how much judgment it has been made. If such a state is quantified, scientific interpretation of expression is possible. If whether a predictable expression of a subject is a repeated one or an unrepeated one, or in other words, if the redundancy which judges whether an expression has a common meaning or a unique meaning of a subject is understood along with the number of times needed to judge an expression, or in other words, its amount of information, then expression can be interpreted scientifically. Therefore, a study regarding the redundancy and uncertainty of expression can become a method to scientifically interpret expression by consumer memor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it is possible to quantify expression and to propose that information theory can be a method to scientifically interpret expression by memory by applying the concepts of redundancy and uncertainty as def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it is possible to quantify expression and to propose that information theory can be a method to scientifically interpret expression by memory by applying the concepts of redundancy and uncertainty as defined by information theory. The research method is constructed as follows. Predictable expressions of subjects are analyzed through a survey. Repeated expressions and unrepeated expressions are analyzed. The probability that an expression will be repeated is redundancy. Redundancy is the probability that a subject will be expressed. The uncertainty of expression is then explored by applying redundancy to information theory. Conclusions drawn through this method are as follows. The nature of expression is the communication of meaning. Expression possesses redundancy and uncertainty simultaneously. Redundancy is related to meaning and uncertainty is related to communication. When expression is divided into communicative aspects and semantic aspects, high redundancy of expression is common from a semantic aspect but because there is low uncertainty of expression, it is effective from a communicative aspect. If uncertainty of expression is high, then this is ineffective from a communicative aspect but because redundancy of expression is low, it becomes unique from a semantic aspect. If the redundancy and uncertainty of expression is understood, it is possible to create a strategic design that lies upon the needs of consumers. While there are subjects that need the communicative aspect of design, there are subjects that need the semantic aspect and those that need both. It is not known whether expression has a common meaning or a unique meaning of a subject or by how much judgment it has been made. If such a state is quantified, scientific interpretation of expression is possible. If whether a predictable expression of a subject is a repeated one or an unrepeated one, or in other words, if the redundancy which judges whether an expression has a common meaning or a unique meaning of a subject is understood along with the number of times needed to judge an expression, or in other words, its amount of information, then expression can be interpreted scientifically. Therefore, a study regarding the redundancy and uncertainty of expression can become a method to scientifically interpret expression by consumer memo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재성, "표현의 정보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13-19, 2015

      2 고재성, "표현의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27-34, 2014

      3 윤석민,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4 박이문, "존재와 표현" 생각의 나무 2010

      5 존 로버트 앤더슨, "인지심리학과 그 응용"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2

      6 조강래, "엔트로피가 우리에게 알리는 진실" 자유아카데미 2014

      7 황수영,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기억의 미학" 그린비 2007

      8 고재성, "게임이론에 의한 디자인 표현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42-47, 2013

      9 미와 요시코, "가장 쉬운 알고리즘" 비제이퍼블릭 2014

      10 "www.hani.co.kr"

      1 고재성, "표현의 정보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13-19, 2015

      2 고재성, "표현의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27-34, 2014

      3 윤석민,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4 박이문, "존재와 표현" 생각의 나무 2010

      5 존 로버트 앤더슨, "인지심리학과 그 응용"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2

      6 조강래, "엔트로피가 우리에게 알리는 진실" 자유아카데미 2014

      7 황수영,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기억의 미학" 그린비 2007

      8 고재성, "게임이론에 의한 디자인 표현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42-47, 2013

      9 미와 요시코, "가장 쉬운 알고리즘" 비제이퍼블릭 2014

      10 "www.hani.co.k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