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1950~60년대 중국 소수민족영화에 표현된 장르영화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다민족국가로서 중국은 건국초기부터 민족단결과 통합을 위한 정책을 펼쳐왔는데, 영화는 민족정책을 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50~60년대 중국 소수민족영화에 표현된 장르영화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다민족국가로서 중국은 건국초기부터 민족단결과 통합을 위한 정책을 펼쳐왔는데, 영화는 민족정책을 선...
이 글은 1950~60년대 중국 소수민족영화에 표현된 장르영화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다민족국가로서 중국은 건국초기부터 민족단결과 통합을 위한 정책을 펼쳐왔는데, 영화는 민족정책을 선전하고 소수민족을 단결시키는 중요한 선전 도구가 되었다. 이 시기에 창작된 49편의 소수민족영화는 한족 중심적 관점에 입각한 민족통합 의식과 사회주의 통일 민족국가의 상상이 주로 드러나 있는데, 목적은 상상 속의 동질적인 국가 정체성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국적 색채로 가득한 소수민족지역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민족의 특이한 생활방식 등은 영화 예술가들에게 충분한 상상의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1950~60년대 소수민족영화에는 일반 대중들의 흥미를 끌만한 흥미진진한 작품들이 많이 출현했다. 본 논문은 이 시기 소수민족영화의 서사 체계와 규범 양식, 영화 형식적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할리우드 장르영화와의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로써 소수민족영화는 계급투쟁, 민족해방, 혁명과 같은 낯선 이야기들을 장르영화의 ‘익숙한’ 서사 형식을 통해 자연스럽게 전파시키는 이데올로기적 기능뿐만 아니라 당시 관중들이 일상생활 속의 불안과 공포, 기대와 욕구를 영화를 통해 상상적으로 해결하도록 하는 문화적 기능도 발휘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토머스 샤츠, "할리우드 장르-내러티브 구조와 스튜디오 시스템" 컬처룩 2014
2 "하산과 자미라(哈森與加米拉)"
3 이강원, "중국의 민족식별과 민족자치구역 설정: 공간적 전략과 그 효과" 대한지리학회 37 (37): 75-92, 2002
4 이종철, "중국영화의 인식과 담론 : 우리 시각으로 보는 중국영화" 한국문화사 2016
5 임대근, "중국영화의 이해" 동녘 2008
6 루홍스 슈사오밍, "중국영화사" 전남대학교출판부 2011
7 박병광, "중국 소수민족정책의 형성과 전개: 민족동화와 융화의 변주곡에 관하여" 42 (42): 2002
8 임대근, "중국 ‘비(非)-한족(漢族)’ 영화 연구를 위한 논의들" 한국중문학회 (42) : 197-224, 2011
9 장동천, "영화와 현대중국" 고려대학교출판부 2008
10 토마스 소벅, "영화란 무엇인가" 거름 1998
1 토머스 샤츠, "할리우드 장르-내러티브 구조와 스튜디오 시스템" 컬처룩 2014
2 "하산과 자미라(哈森與加米拉)"
3 이강원, "중국의 민족식별과 민족자치구역 설정: 공간적 전략과 그 효과" 대한지리학회 37 (37): 75-92, 2002
4 이종철, "중국영화의 인식과 담론 : 우리 시각으로 보는 중국영화" 한국문화사 2016
5 임대근, "중국영화의 이해" 동녘 2008
6 루홍스 슈사오밍, "중국영화사" 전남대학교출판부 2011
7 박병광, "중국 소수민족정책의 형성과 전개: 민족동화와 융화의 변주곡에 관하여" 42 (42): 2002
8 임대근, "중국 ‘비(非)-한족(漢族)’ 영화 연구를 위한 논의들" 한국중문학회 (42) : 197-224, 2011
9 장동천, "영화와 현대중국" 고려대학교출판부 2008
10 토마스 소벅, "영화란 무엇인가" 거름 1998
11 이응철, "스펙터클의 문화정치: 현대중국의 실경공연 《인상·리장》을 중심으로1" 한국문화인류학회 49 (49): 165-195, 2016
12 "수상한 동행자(神祕的旅伴)"
13 "빙산의 손님(氷山上的來客)"
14 "변방의 봉화(邊塞烽火)"
15 임춘성, "문화중국의 타자, 중국 소수민족의 정체성"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54) : 211-236, 2010
16 戴錦華, "무중풍경" 산지니 2007
17 "다섯 송이 금화(五朵金花)"
18 "노생연가(蘆笙戀歌)"
19 "내몽고 인민의 승리(內蒙人民的勝利)"
20 戴錦華, "諜影重重—間諜片的文化初析" (1) : 2010
21 孟梨野, "新中國電影藝術史稿 1949-1959" 中國電影出版社 2002
22 尹鴻, "新中國電影史 1949-2000" 湖南美術出版社 2002
23 酈蘇元, "新中國電影50年" 北京廣播學院出版社 2000
24 韓煜, "少數民族電影中的嶺土表達(1949-1966)" (3) : 2012
25 李道新, "好萊塢電影在中國的獨特處境及歷史命運" (6) : 2001
26 蕭知緯, "好萊塢在中國: 1987-1950年" (6) : 2005
27 程郁儒, "中國少數民族電影硏究相關槪念辯析" (6) : 2010
28 饒曙光, "中國少數民族電影史" 中國電影出版社 2011
29 封植, "一部富有邊疆色彩的影片—平<邊塞烽火>" (9) : 1958
30 劉帆, "“十七年”少數民族題材電影的娛樂效果與意識形態策略" 40 (40): 2014
31 이호현, "1930年代 上海와 할리우드 映畵 -<<申報 -電影專刊>> 할리우드 映畵評과 ‘不怕死’案을 중심으로-" 중국사학회 (76) : 151-178, 2012
32 陈旭光, ""电影的焦虑" : 接受'、变异与融合-中国电影外来影响源流踪迹的初步考察" 12 (12): 2005
影响韩中跨文化交际的文化因素的调查分析 ―以中国初中教科书『思想品德』为例
중국 소비자들의 해외직구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64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