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흰쥐에서 안면신경의 절단 후 즉시 및 지연 봉합간의 효과에 대한 연구 = The Effect of Immediate or Delayed Suture After Transected Facial Nerve on Ra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984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mmediate suture with delayed suture after nerve transected.
      Materials and Methods: A group of 39 rats of Sprague-Dawley rats (250-300 g) were used in this study. 24 rats ha d a operation for facial nerve transected and delayed suture (1week later, 4 weeks later) was done. For controls, 12 rats transected facial nerve and sutured immediately. Then evaluated the recovery of immediate suture type, delayed suture type.
      Results: In the feature of H&E, Luxol fast blue, histologic finding was similar in delayed suture group and immediate suture group.
      Conclusion: Delayed suture group and immediate suture group had little difference. Delayed suture is acceptable for nerve injury due to implant installation in human cases.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mmediate suture with delayed suture after nerve transected. Materials and Methods: A group of 39 rats of Sprague-Dawley rats (250-300 g) were used in this study. 24 rats ha d a operation for facial...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mmediate suture with delayed suture after nerve transected.
      Materials and Methods: A group of 39 rats of Sprague-Dawley rats (250-300 g) were used in this study. 24 rats ha d a operation for facial nerve transected and delayed suture (1week later, 4 weeks later) was done. For controls, 12 rats transected facial nerve and sutured immediately. Then evaluated the recovery of immediate suture type, delayed suture type.
      Results: In the feature of H&E, Luxol fast blue, histologic finding was similar in delayed suture group and immediate suture group.
      Conclusion: Delayed suture group and immediate suture group had little difference. Delayed suture is acceptable for nerve injury due to implant installation in human ca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치과영역에서의 수술 - 사랑니 발치, 임플란트 식립, 근관치료, 악교정수술 등 - 에서 하치조신경의 손상 가능성은 늘 존재하고 있다. 신경손상에는 1943년 H.J Seddon이 기계적손상을 병리조직학적 관점에서 분류한 일과성 국소성 전도장애(neuraparaxia), 축삭단열(axonotmesis), 신경섬유단열(neurotmesis)의 3형 분류가 이용된다. 손상 후의 환자들의반응은 임상적으로 감별해내기가 상당히 어렵다. 임상적으로 축삭단열, 부분적 신경단열, 신경속 완전단열은 공통적으로 지각, 통각의 광범위, 소범위의 상실(anesthesia) 또는 둔감IMPLANTOLOGY The Korean Academy of Oral & Maxillofacial Implantology Vol. 22, No. 1, 2018 13 (anesthesua)이 나타나기 때문에 초기에 감별 진단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임플란트 식립 후 감각이상이있는 경우 임상적으로 완전한 신경절단을 감별할 수 없는 경우나, 신경절단이 명확한 경우 추가적 수술보다는 보존적 방법을 선택하고자 할 경우 즉시봉합과 지연봉합 간의 차이와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계획하였다.
      일과성 국소성 전도장애(neuraparaxia)란 neuron의 apraxia, 즉 신경계의 non-action을 의미한다. 병리학적으로는 장애부위에 국한된 탈수변화로 생각할 수 있으며, 촉각, 통각 등과 같은 완전한 지각상실은없으며 이질감 및 착감각 등과 같은 지각이상을 보이는데, 조기에 지각의 완전 회복이 가능하다 .
      축삭단열(axonotmesis)의 tmesis는 cutting을 의미한다. 축삭은 단열되어 있으나 신경상막, 신경내막, 슈반초의 연속성은 유지된 상태이다. 절단부에서 말초 축삭은 완전하게 윌러변성이 일어나지만, 그 외신경섬유의 구조는 잔존되었으므로 재생이 양호하고 기능 역시 거의 완전하게 회복된다 .
      신경섬유단열(neurotmesis)을 신경간을 구성하는 모든 구조의 단열을 의미한다. 장애부위부터 말초에는 윌러변성이 일어나는데, 머지않아 신경섬유 단열부에서 말초방향으로 재생축삭이 신장되고, 말초측에 잔존하는 신경내막관 내부로 진입한 후, 슈반초가 축삭을 따라 재생된다. 그렇지만 신경봉합 등과같은 최선의 치료를 실시해도 지각회복은 80-90%에 그치며, 완전회복은 기대할 수 없다.


      결론 : 임상적으로 신경 손상 직후 neurotmesis와 axonotmesis는 감별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일정 기간이지나야 그 둘의 감별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친다면 neurotmesis의 경우 지연 봉합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데, 과연 지연 봉합이 즉시봉합과의 효과적인 면에서의 차이가 있는 것인가에 대해 본실험은 하치조신경과 같은 지각신경인 흰쥐의 안면신경을 이용하여 신경 절단 후 즉시봉합, 1주 지연봉합, 4주 지연봉합을 시행하였으며 각각의 봉합군들을 4주와 8주 후에 희생시켜 신경조직의 회복 정도를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① 흰쥐의 안면신경 절단 후 4주 희생의 경우 봉합 시기가 빠른 군의 회복이 양호하였다.
      ② 흰쥐의 안면신경 절단 후 8주 희생의 경우 신경 절단 후 봉합시기와 회복 정도와는 차이가 없었다.
      ③ 흰쥐의 안면신경에 있어서 손상 후 봉합 시기와의 관계는 8주 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할수 있다.
      ④ 앞으로 다양한 봉합 시기와 희생 시기가 계획된 실험과 이에 바탕을 둔 human study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치과영역에서의 수술 - 사랑니 발치, 임플란트 식립, 근관치료, 악교정수술 등 - 에서 하치조신경의 손상 가능성은 늘 존재하고 있다. 신경손상에는 1943년 H.J Seddon이 기계적손상을 병리조직...

      치과영역에서의 수술 - 사랑니 발치, 임플란트 식립, 근관치료, 악교정수술 등 - 에서 하치조신경의 손상 가능성은 늘 존재하고 있다. 신경손상에는 1943년 H.J Seddon이 기계적손상을 병리조직학적 관점에서 분류한 일과성 국소성 전도장애(neuraparaxia), 축삭단열(axonotmesis), 신경섬유단열(neurotmesis)의 3형 분류가 이용된다. 손상 후의 환자들의반응은 임상적으로 감별해내기가 상당히 어렵다. 임상적으로 축삭단열, 부분적 신경단열, 신경속 완전단열은 공통적으로 지각, 통각의 광범위, 소범위의 상실(anesthesia) 또는 둔감IMPLANTOLOGY The Korean Academy of Oral & Maxillofacial Implantology Vol. 22, No. 1, 2018 13 (anesthesua)이 나타나기 때문에 초기에 감별 진단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임플란트 식립 후 감각이상이있는 경우 임상적으로 완전한 신경절단을 감별할 수 없는 경우나, 신경절단이 명확한 경우 추가적 수술보다는 보존적 방법을 선택하고자 할 경우 즉시봉합과 지연봉합 간의 차이와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계획하였다.
      일과성 국소성 전도장애(neuraparaxia)란 neuron의 apraxia, 즉 신경계의 non-action을 의미한다. 병리학적으로는 장애부위에 국한된 탈수변화로 생각할 수 있으며, 촉각, 통각 등과 같은 완전한 지각상실은없으며 이질감 및 착감각 등과 같은 지각이상을 보이는데, 조기에 지각의 완전 회복이 가능하다 .
      축삭단열(axonotmesis)의 tmesis는 cutting을 의미한다. 축삭은 단열되어 있으나 신경상막, 신경내막, 슈반초의 연속성은 유지된 상태이다. 절단부에서 말초 축삭은 완전하게 윌러변성이 일어나지만, 그 외신경섬유의 구조는 잔존되었으므로 재생이 양호하고 기능 역시 거의 완전하게 회복된다 .
      신경섬유단열(neurotmesis)을 신경간을 구성하는 모든 구조의 단열을 의미한다. 장애부위부터 말초에는 윌러변성이 일어나는데, 머지않아 신경섬유 단열부에서 말초방향으로 재생축삭이 신장되고, 말초측에 잔존하는 신경내막관 내부로 진입한 후, 슈반초가 축삭을 따라 재생된다. 그렇지만 신경봉합 등과같은 최선의 치료를 실시해도 지각회복은 80-90%에 그치며, 완전회복은 기대할 수 없다.


      결론 : 임상적으로 신경 손상 직후 neurotmesis와 axonotmesis는 감별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일정 기간이지나야 그 둘의 감별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친다면 neurotmesis의 경우 지연 봉합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데, 과연 지연 봉합이 즉시봉합과의 효과적인 면에서의 차이가 있는 것인가에 대해 본실험은 하치조신경과 같은 지각신경인 흰쥐의 안면신경을 이용하여 신경 절단 후 즉시봉합, 1주 지연봉합, 4주 지연봉합을 시행하였으며 각각의 봉합군들을 4주와 8주 후에 희생시켜 신경조직의 회복 정도를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① 흰쥐의 안면신경 절단 후 4주 희생의 경우 봉합 시기가 빠른 군의 회복이 양호하였다.
      ② 흰쥐의 안면신경 절단 후 8주 희생의 경우 신경 절단 후 봉합시기와 회복 정도와는 차이가 없었다.
      ③ 흰쥐의 안면신경에 있어서 손상 후 봉합 시기와의 관계는 8주 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할수 있다.
      ④ 앞으로 다양한 봉합 시기와 희생 시기가 계획된 실험과 이에 바탕을 둔 human study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itta MC, "Use of Gore-Tex tubing as a conduit for inferior alveolar and lingual nerve repair: experience with 6 cases" 59 : 493-496, 2001

      2 Pogrel MA, "The results of microneurosurgery of the inferior alveolar and lingual nerve" 60 : 485-489, 2002

      3 Hillerup S, "Repair of the lingual nerve after iatrogenic injury: a follow-up study of return of sensation and taste" 52 : 1028-1031, 1994

      4 Maragh H, "Morphofunctional evaluation of fibrin glue versus microsuture nerve repairs" 6 : 331-337, 1990

      5 Fielding AF, "Lingual nerve paresthesia following third molar surgery: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84 : 345-348, 1997

      6 Blanas N, "Injury to the inferior alveolar nerve due to thermoplastic gutta percha" 60 : 574-576, 2002

      7 Mozsary PG, "Inferior alveolar and lingual nerve injuries : regeneration or operation?" 45 : 204-, 1987

      8 Hausamen JE, "Current principles in microsurgical nerve repair" 34 : 143-157, 1996

      9 Robinson PP, "Current management of damage to the inferior alveolar and lingual nerves as a result of removal of third molars" 42 : 285-292, 2004

      10 Smith KG,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covery of the lingual nerve after injury with or without repair" 24 : 372-379, 1995

      1 Pitta MC, "Use of Gore-Tex tubing as a conduit for inferior alveolar and lingual nerve repair: experience with 6 cases" 59 : 493-496, 2001

      2 Pogrel MA, "The results of microneurosurgery of the inferior alveolar and lingual nerve" 60 : 485-489, 2002

      3 Hillerup S, "Repair of the lingual nerve after iatrogenic injury: a follow-up study of return of sensation and taste" 52 : 1028-1031, 1994

      4 Maragh H, "Morphofunctional evaluation of fibrin glue versus microsuture nerve repairs" 6 : 331-337, 1990

      5 Fielding AF, "Lingual nerve paresthesia following third molar surgery: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84 : 345-348, 1997

      6 Blanas N, "Injury to the inferior alveolar nerve due to thermoplastic gutta percha" 60 : 574-576, 2002

      7 Mozsary PG, "Inferior alveolar and lingual nerve injuries : regeneration or operation?" 45 : 204-, 1987

      8 Hausamen JE, "Current principles in microsurgical nerve repair" 34 : 143-157, 1996

      9 Robinson PP, "Current management of damage to the inferior alveolar and lingual nerves as a result of removal of third molars" 42 : 285-292, 2004

      10 Smith KG,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covery of the lingual nerve after injury with or without repair" 24 : 372-379, 1995

      11 Wang J, "A method of invaginating the facial vein for inferior alveolar nerve repair" 61 : 848-849,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mplantology -> Journal of implantology and applied scienc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0-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 ->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KCI등재후보
      2018-07-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