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재교육기관인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현장의 교사들이 유아교수법 수업을 통해 배움과 실천의 연결과정을 어떻게 경험하게 되는지와, 교육이 끝난 후 ‘배움-실천’이 현장에서 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368444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14.2
2014
한국어
372.21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and praxis in "Instructional Methodology" course at graduate school education of S Women's University
ⅴ, 76 L. ; 26 cm
지도교수: 정선아
참고문헌: p. 71-7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재교육기관인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현장의 교사들이 유아교수법 수업을 통해 배움과 실천의 연결과정을 어떻게 경험하게 되는지와, 교육이 끝난 후 ‘배움-실천’이 현장에서 어...
본 연구는 재교육기관인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현장의 교사들이 유아교수법 수업을 통해 배움과 실천의 연결과정을 어떻게 경험하게 되는지와, 교육이 끝난 후 ‘배움-실천’이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에 대해 연구하여 재교육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이 지향해야 할 교육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 교사들의 유아교수법 수업에서 ‘배움-실천’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현장 교사들의 ‘배움-실천’의 실천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12년 9월 5일부터 12월 19일까지 S여대 교육대학원 유아교수법 수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유아교수법 수강자 중 연구자를 포함한 6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매 수업이 끝난 후 현장 교사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수집하였고 강의의 진행 단계에 따라 배움 실천에 대한 면담을 수행하여 전사본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제와 의미생성을 위한 코딩(Coding)을 수행하였고 주제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통해 유목화 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 교사들의 ‘배움-실천’ 경험을 살펴보면, 배움의 첫 실천으로 자신을 돌아보기 시작한 교사들은 약간의 혼란스러움을 경험하면서 성찰일지 쓰기를 시작하였다. 교사들은 성찰일지 쓰기를 스트레스로 인식하였지만 한편으로 자신의 경험을 돌아보며 진정한 성찰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되었으며, 습관화된 관찰에서 벗어나 관찰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면서 교실에서의 삶을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성찰과정을 통하여 반성적 사고를 실천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수업이 끝난 후 교사들은 현장에서 ‘배움-실천’의 실천을 시작하였는데 실천의 과정 중 근무 기관의 상황과 기존에 운영되는 교육프로그램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계속해서 ‘배움-실천’의 실천을 해나가며 점점 변화되는 스스로의 모습을 인식하게 되었고 아이들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가지게 되었다.
현장의 교사들이 배움의 과정을 실천할 때 혼란스러움과 어려움도 있었지만 교사 스스로의 교수 행동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고 실천에 대한 이야기들을 함께 나누고 들어보며 함께 성장하는 시간이 되었다. 배움 실천의 경험을 통해 변화된 스스로의 모습을 느끼게 된 교사들은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모습으로 현장에서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전문적인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교육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이 현장실천과 배움의 공동체를 바탕으로 현장 교사들이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ear after year, a number of teachers are entering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be better teachers. However, what those teachers learn in the program, how they implement what they've learned, and how they connect what they've learned and what they...
Year after year, a number of teachers are entering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be better teachers. However, what those teachers learn in the program, how they implement what they've learned, and how they connect what they've learned and what they should do in their classroom remain isolated. In this study, how their learning and praxis are implemented in their classrooms will be qualitatively studied to seek for ways to develop the graduate program. Two research questions are proposed to study them.
First, w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retrained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earn from their Instructional Methodology course, and what did they experienced.
Second, how those teachers apply praxis with they've learned.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a semester by studying students in Instructional Methodology course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S Women's University. All of the six participants, including the researcher, are working as teachers as well as studying in the graduate school. Participants write reflection journals right after each class and individual interview is conducted and transcribed. Those materials are classified by thematic coding.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participants got confused and thought it stressful when they began writing reflection journals. However, as time goes by, they had enough time to reflect their own classroom teaching experience away from their habitual inspection. Throughout this process, they learned how to think reflectively and critically.
Second, as teachers, participants tried to implement what they've learned in class, which contains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crashing into the existing educational program. However, they recognized how they are transformed and developed and how their view on students changed.
When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retrained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rst began writing reflection journals and tried to implement learning and praxis as they've learned, they confronted difficulties and confusion. However, it gave them chances to deliberate on their class and practice. Teachers who experienced reflective period tried to perform their job more actively and passionatel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graduate program through the reflective thinking on their own attainment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