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는 스포츠 스타 선수에 대한 평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스포츠 스타 선수의 평판 관리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차별 연구목표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3904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스포츠 스타 선수에 대한 평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스포츠 스타 선수의 평판 관리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차별 연구목표에 ...
∎ 본 연구는 스포츠 스타 선수에 대한 평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스포츠 스타 선수의 평판 관리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차별 연구목표에 따른 진행은 다음과 같다.
∎ 1년차 기간에는 스포츠 스타 선수평판과 관련한 다양한 문헌조사 및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평판 구성요인을 추출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와 이해관계집단을 대상으로 수정된 델파이조사 기법을 3차례에 걸쳐 사용하여 평판 구성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할 것이다.
∎ 2년차 기간에는 1년차 기간에 개발된 평판 척도 구성요인 도출을 통해 스포츠 스타 선수의 이해관계자 집단을 중심으로 계층화 분석방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적용하여 평판 구성요인의 대, 중, 소항목들 간의 쌍대비교를 실시하여 각 항목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할 것이다.
∎ 3년차 기간에는 2년차 기간에 개발된 평판 세부항목들 간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실제 스포츠 스타 선수에게 적용,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스포츠 스타 선수의 평판 척도별 포지셔닝 맵을 통한 기업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전략을 위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포츠 팬은 어떻게 평가하고 인지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스포츠경영학 교수와 스포츠 브랜드 및 스폰서십 실무자로 구성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스포츠 스타 10명의 선수를 선정한 후, 스포츠 팬을 대상으로 약 1,0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할 것이다. 즉, 스포츠 스타 선수에게 실제적으로 적용시켜 봄으로써 체계적 평판 관리를 위한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선수 차원에서는 스포츠 시장에서의 경쟁적 우위 확보와 기업 차원에서의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