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여성운동 단체의 연대와 균열  :  Coalition and Divides = Networks of Korean Women's Organiz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552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성이 계급이나 민족 또는 다른 정치적 이해관계를 가로질러 단일한 운동세력이 될 수 있을까? 이는 여성운동가뿐 아니라 페미니스트 학자들 그리고 사회운동이론가들의 관심사가 되어왔다....

      성이 계급이나 민족 또는 다른 정치적 이해관계를 가로질러 단일한 운동세력이 될 수 있을까? 이는 여성운동가뿐 아니라 페미니스트 학자들 그리고 사회운동이론가들의 관심사가 되어왔다. 이 논문은 한국여성운동단체의 연결망 연구를 통해 이러한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자료는 한국사회의 영향력있는 20개 여성단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얻었으며 그 외에 단체의 약사와 팜플렛 등으로 보완했다. 연구의 초점은 여성운동단체간의 내부 연결망과 여성운동단체와사회운동단체간의연결망에맞추었다.여성운동단체간의연결망은 진보적 여성단체와 보수적 여성운동단체들로 크게 나누어져 나타났으며 여성운동단체와 외부 사회운동단체와의 연결망은 노동운동단체 및 민주화운동단체들과 연결망을 가진 여성운동단체와 아닌 단체로 나누어진다. 여타 신사회운동단체들과의 연결망에서는 여성운동단체들간에 큰 차이가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신사회운동단체들 자체가 매우 다양한 범주의 단체들로 구성되어 있고 여성운동단체들이 신사회운동단체의 성격이나 노선에 따라 다르게 연대를 하고 있다고 보이기 때문에 여성운동단체들이 신사회운동단체들과는 계급이나 다른 정치적 노선을 뛰어넘어 연대하고 있다고 결론 짓기는 힘들다. 성은 기본적으로 여성운동단체를 결속시키는 토대지만 계급이나 다른 정치적 입장과 이해관계를 떠나서 언제나 결속을 유지시키는 것 같지는 않다. 이는 성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라기보다는 사회운동의 세력화의 특성으로서 사회적 이슈에 따라 연대의 기반이 바뀌기 때문이다. 성이 계급이나 다른 정치적 노선을 뛰어넘어 단일한 운동세력이 될 수 있느냐는 물음보다는 어떤 상황에서 성이 그러한 세력화를 가능하게 하는가를 묻는 것이 타당하다. 결론적으로 여성운동단체들이 어떤 계급이나 어떤 정치적 세력과 연대를 맺느냐에 따라 성 정치의 판도나 사회운동의 판도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networks and divides of women's movement (WM) organizations in Korea, using data collected by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working in those organizations. It purport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gende...

      This paper analyzes the networks and divides of women's movement (WM) organizations in Korea, using data collected by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working in those organizations. It purport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gender can effect political unity among women across class and other political cleavages. A distinction appears between the so-called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WM organizations not only in the internal networks among WM groups but also in external ties between WM and other social movement (SM) groups. The former have almost no relationship with labor movement groups while the latter have relationship with labor movement groups and a lot morewith democratization group. Therefore, each of three categories of groups―labor movement,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New Social Movement(NSM)―shows a different pattern of ties with WM organizations: in general WM organizations have fewer ties with labor groups, while a lot more with democratic movement groups. It is NSM which have the most wide-ranging networks. This would not necessarily mean that WM and NSM groups work together in closer solidarity across divides of class and democratization. NSM organizations outnumber labor and democracy groups and vary widely in their agendas, goals and ideological orientation. Some WM organizations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certain. NSM organizations while others have none,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and class orientations. The paper concludes that gender is not sufficient to ensure political unity among women of different classes or of different positions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labor movements; however, a ‘politics of solidarity’ based on an appreciation of the intersections of class, gender and democratic forces is possible and important for working towards gender equ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서론
      • 2. 여성운동단체의 의제와 조직의 특성
      • 1)조사대상 단체의 일반적 특성: 여성단체와 여성운동단체
      • 2)조직의 특성
      • 3) 의제와 활동범위: '쓰레기'에서 '통일'까지
      • 1.서론
      • 2. 여성운동단체의 의제와 조직의 특성
      • 1)조사대상 단체의 일반적 특성: 여성단체와 여성운동단체
      • 2)조직의 특성
      • 3) 의제와 활동범위: '쓰레기'에서 '통일'까지
      • 3.여성운동단체의 연대와 균열
      • 1)연결망
      • 2) 여성운동 내부의 동학
      • 4.여성운동의 지형: 성·계급·민주화의 경합
      • 1)사회운동단체와의 연결망
      • 2)성·계급·민주화 그리고 신사회운동
      • 5.맺음말: 여성운동단체와 성 정치의 전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