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 철학적 관점에서 본 정치적 혁신의 가능성  :  헤겔의 1830/31년 『세계사철학』 원고를 중심으로 = Politische Reformierbarkeit in Absicht der Geschichtsphilosophie - in Hegels Manuskript über die Philosophie der Weltgeschichte 1830/31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7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출판된 여러 역사철학 강의 판본들과 달리 헤겔 자신은 단 한 편의 정서된 강의 원고를 미완의 형태로 남겼다. 이 1830/31년 세계사철학 원고는 이전 판들과는 상이한 특징들을 보여준다. 이 글은 이 원고를 중심으로 헤겔 역사철학의 기본 구조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 원고에서 헤겔은 역사철학이 단순한 신정론으로 머물러서는 안 되며 개념적 인식에로 나아가야 한다고 명시한다. 역사를 개념적으로 사유하는 고찰을 통해 인간에게 의식되는 세계정신이 결과로서 산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정신은 그 동안 이성이 세계사를 지배해 왔다는 역사 철학적 반성 내용을 의미한다. 이러한 철학적 역사에서 세계사적 개인은 보편적 이성목적을 수단으로 자기목적을 추구한 인물로 고찰된다. 그러나 그가 투입한 유한한 이성은 보편적 이성목적과의 연관 속에서 그의 자기목적을 넘어서는 세계사적 사건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세계정신의 도구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비록 구상 차원이긴 하지만 유일하게 이 원고에서 헤겔은 역사의 자기 의식적 주체에 의한 정치적 혁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에 따르면 인간만이 역사 철학적 반성을 통해 획득한 세계정신의 법에 따라 변화를 법칙적인 것으로 하는 원리를 지닐 수 있다. 이 원리는 내용적으로 자유의 구체적 실현을 지향하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정치적 혁신은 개별적 자기목적의 지양을 통해 보편적 이성목적을 도모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정신의 자기 의식적 자유 개념에 따른 현존제도의 끊임없는 혁신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헤겔 역사철학에서 역사의 초월적 주체 같은 것은 없으며, 오직 자기 이성의 유한성을 지양하는 인간만이 적극적인 역사적 주체로 설정되고 있음을 입증한다.
      번역하기

      지금까지 출판된 여러 역사철학 강의 판본들과 달리 헤겔 자신은 단 한 편의 정서된 강의 원고를 미완의 형태로 남겼다. 이 1830/31년 세계사철학 원고는 이전 판들과는 상이한 특징들을 ...

      지금까지 출판된 여러 역사철학 강의 판본들과 달리 헤겔 자신은 단 한 편의 정서된 강의 원고를 미완의 형태로 남겼다. 이 1830/31년 세계사철학 원고는 이전 판들과는 상이한 특징들을 보여준다. 이 글은 이 원고를 중심으로 헤겔 역사철학의 기본 구조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 원고에서 헤겔은 역사철학이 단순한 신정론으로 머물러서는 안 되며 개념적 인식에로 나아가야 한다고 명시한다. 역사를 개념적으로 사유하는 고찰을 통해 인간에게 의식되는 세계정신이 결과로서 산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정신은 그 동안 이성이 세계사를 지배해 왔다는 역사 철학적 반성 내용을 의미한다. 이러한 철학적 역사에서 세계사적 개인은 보편적 이성목적을 수단으로 자기목적을 추구한 인물로 고찰된다. 그러나 그가 투입한 유한한 이성은 보편적 이성목적과의 연관 속에서 그의 자기목적을 넘어서는 세계사적 사건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세계정신의 도구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비록 구상 차원이긴 하지만 유일하게 이 원고에서 헤겔은 역사의 자기 의식적 주체에 의한 정치적 혁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에 따르면 인간만이 역사 철학적 반성을 통해 획득한 세계정신의 법에 따라 변화를 법칙적인 것으로 하는 원리를 지닐 수 있다. 이 원리는 내용적으로 자유의 구체적 실현을 지향하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정치적 혁신은 개별적 자기목적의 지양을 통해 보편적 이성목적을 도모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정신의 자기 의식적 자유 개념에 따른 현존제도의 끊임없는 혁신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헤겔 역사철학에서 역사의 초월적 주체 같은 것은 없으며, 오직 자기 이성의 유한성을 지양하는 인간만이 적극적인 역사적 주체로 설정되고 있음을 입증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1. 서론: 헤겔과 역사
      • 2. 신정론과 세계정신
      • 3. 철학적 역사와 세계사적 개인
      • 4. 정치적 혁신의 역사 철학적 가능성
      • [논문개요]
      • 1. 서론: 헤겔과 역사
      • 2. 신정론과 세계정신
      • 3. 철학적 역사와 세계사적 개인
      • 4. 정치적 혁신의 역사 철학적 가능성
      • 5. 맺음말: 실재론적 혁신을 위하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준수, "헤겔의 자유 개념의 구조와 의미"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9) : 155-184, 2010

      2 이정은, "헤겔의 문화-역사 발전과 악의 관계" 한국헤겔학회 (26) : 65-94, 2009

      3 권대중, "헤겔의 ‘자유’ 개념이 지니는 불편함들: 내향적 운동성과 외향적 운동성 사이의 경쟁 관계" 한국헤겔학회 (34) : 155-174, 2013

      4 나종석, "헤겔과 아시아 -동아시아 근대와 서구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국헤겔학회 (32) : 115-139, 2012

      5 프레더릭 바이저, "헤겔. 그의 철학적 주제들" 2012

      6 김성호, "헤겔, 아이티, 보편사" 문학동네 2012

      7 나종석, "헤겔 역사철학의 근본 주장 및 그 의미에 대하여" 한국헤겔학회 (21) : 11-44, 2007

      8 남기호, "헤겔 법철학에서의 범죄와 형벌의 근거" 한국헤겔학회 (25) : 79-112, 2009

      9 남기호, "프로이센 왕정복고와 헤겔의 정치 신학적 입장- 슈바르트와의 논쟁 및 슈탈의 비판을 중심으로 -" 한국헤겔학회 (34) : 35-94, 2013

      10 남기호, "프로이센 왕정복고와 헤겔의 정치 법학적 입장Ⅱ: 할러와의 대결을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100) : 131-160, 2013

      1 김준수, "헤겔의 자유 개념의 구조와 의미"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9) : 155-184, 2010

      2 이정은, "헤겔의 문화-역사 발전과 악의 관계" 한국헤겔학회 (26) : 65-94, 2009

      3 권대중, "헤겔의 ‘자유’ 개념이 지니는 불편함들: 내향적 운동성과 외향적 운동성 사이의 경쟁 관계" 한국헤겔학회 (34) : 155-174, 2013

      4 나종석, "헤겔과 아시아 -동아시아 근대와 서구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국헤겔학회 (32) : 115-139, 2012

      5 프레더릭 바이저, "헤겔. 그의 철학적 주제들" 2012

      6 김성호, "헤겔, 아이티, 보편사" 문학동네 2012

      7 나종석, "헤겔 역사철학의 근본 주장 및 그 의미에 대하여" 한국헤겔학회 (21) : 11-44, 2007

      8 남기호, "헤겔 법철학에서의 범죄와 형벌의 근거" 한국헤겔학회 (25) : 79-112, 2009

      9 남기호, "프로이센 왕정복고와 헤겔의 정치 신학적 입장- 슈바르트와의 논쟁 및 슈탈의 비판을 중심으로 -" 한국헤겔학회 (34) : 35-94, 2013

      10 남기호, "프로이센 왕정복고와 헤겔의 정치 법학적 입장Ⅱ: 할러와의 대결을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100) : 131-160, 2013

      11 이정은, "역사 발전에서 혁명(가)의 역할 - 칸트와 헤겔에 대한 아렌트 논의에 기초하여" 한국헤겔학회 (28) : 111-137, 2010

      12 남기호, "부르셴샤프트와 헤겔의 정치적 입장-헤겔은 과연 프로이센 국가 철학자인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3 (23): 177-220, 2012

      13 이상명, "라이프니츠: 변신론과 인간의 자유" 한국철학회 (106) : 51-75, 2011

      14 Meist, K. Rainer, "Zur Rolle der Geschichte in Hegels System der Philosophie in Hegel-Studien Beiheft Bd.22" 1983

      15 Hegel, Karl, "Zur Philosophie der Weltgeschichte in Vorlesungsmanuskripte Ⅱ(1816-1831)" 1995

      16 Fulda, H. F, "Zum Artikel Weltgeist in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Bd.12" 2004

      17 Kluge, Friedrich, "Zum Artikel Pragmatik in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r deutschen Sprache" 1999

      18 Hegel, "Wissenschaft der LogikⅡ (1816), Gesammelte Werke Bd.12" 1981

      19 Grossmann, Andreas, "Weltgeschichtliche Betrachtungen in systematischer Absicht in Hegel-Studien Bd.31" 1996

      20 Hegel, "VorlesungsmanuskripteII (1816-1831), Gesammelte Werke Bd.18" Jaeschke 1995

      21 Hegel,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s subjektiven Geistes, Gesammelte Werke Bd.25,2" 2011

      22 Hegel,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Weltgeschichte Berlin 1822/1823" 1996

      23 Hegel,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ReligionⅠ, Theorie Werkausgabe Bd.16, Hg" 1986

      24 Hegel,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Religion. Einleitung. Der Begriff der Religion" 1993

      25 Hegel,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Geschichte, Theorie Werkausgabe Bd.12" 1986

      26 Hegel,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Ⅲ, Theorie Werkausgabe Bd.20" 1986

      27 Hegel,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Ⅱ, Theorie Werkausgabe Bd.19" 1986

      28 Hegel, "Vorlesungen über Naturrecht und Staatswissenschaft Heidelberg 1817/18, Vorlesungen. Ausgewählte Nachschriften und Manuskripte Bd.1, Hg" 1983

      29 Ilting, K.-H, "Vorbemerkung zu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Weltgeschichte Berlin 1822/23" 1996

      30 Fukuyama, Francis, "The End of History and the Last Man" 1992

      31 Marcuse, Herbert, "Reason and Revolution" 1964

      32 Hegel, "Nürnberger Gymnasialkurse und Gymnasialreden (1808-1816), Gesammelte Werke Bd.10.1" 2006

      33 Hegel, "Jenaer SystementwürfeⅢ, Gesammelte Werke Bd.8" 1976

      34 Hege, "Jenaer Kritische Schriften, Gesammelte Werke Bd.4" 1968

      35 Hespe, Franz, "Hegels Vorlesungen zur Philosophie der Weltgeschichte" 26 : 1991

      36 Düsing, Klaus, "Hegels Vorlesungen an der Universität Jena in Hegel-Studien Bd.26" 1991

      37 Seelmann, H. Nam, "Hegels Philosophie der Weltgeschichte von 1823/24 in Hegel-Stuiden Bd.26" 1991

      38 Losurdo, Domenico, "Hegel und die Freiheit der Moderne" 2000

      39 Jaeschke, Walter, "Hegel Handbuch" 2003

      40 Hegel,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Theorie Werkausgabe Bd.7" 1986

      41 Schnädelbach, Herbert,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2007

      42 Hegel, "Frühe Schriften, Gesammelte Werke Bd.1" 1989

      43 Hegel, "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im Grundrisse (1830), Gesammelte Werke Bd.20" 1992

      44 Hegel, "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im Grundrisse (1827), Gesammelte Werke Bd.19" 1989

      45 Hegel, "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im Grundrisse (1817), Gesammelte Werke Bd.13" 2000

      46 Fetscher, Iring, "Eduard Gans über „Oppotion‟ und Karl Rosenkranz über den „Begriff der politischen Partei‟" 32 : 1997

      47 Schiller, "Dramatische DichtungenⅢ. Gedichte, Gesammelte Werke Bd.3" 1955

      48 Weisser-Lohmann, Elisabeth, "Die Vorlesungen der Hegel-Schüler an der Universität Berlin zu Hegels Lebzeiten in Hegel-Studien Bd.26" 1991

      49 Hegel, "Die Vernunft in der Geschichte,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Weltgeschichte" 1970

      50 Leibniz, "Die Theodizee von der Güte Gottes, der Freiheit des Menschen und dem Ursprung des Übels, Leibniz Werke Bd.Ⅱ/1" 1985

      51 Jaeschke, Walter, "Die List der Vernunft in Hegel-Studien Bd. 43" 2008

      52 Hespe, Franz, "Die Geschichte ist der Fortschritt im Bewußtsein der Freiheit" 26 : 1991

      53 Kirn, Michael, "Der Begriff der Revolution in Hegel-Studien Beiheft Bd.11" 1983

      54 Jaeschke, Walter, "Das Geschriebene und das Gesprochene in Hegel-Studien Bd.44" 2009

      55 Moldenhauer, E., "Anmerkung der Redaktion zu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Geschichte, Theorie Werkausgabe Bd.12" 1986

      56 Jaeschke, Walter, "Anhang zu VorlesungsmanuskripteⅡ (1816-1831)"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ocial Philosoph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6 학술지등록 한글명 : 사회와 철학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83 1.65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