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도르노와 부르디외의 비판적 미디어론의 친족성과 차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555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아도르노와 부르디외에 관한 비교연구는 소수의 문화에 관한 논의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 논문은 양자의 비판적 미디어론의 친족성과 차이를 검토한다. 아도르노의 비판적 미디어...

      지금까지 아도르노와 부르디외에 관한 비교연구는 소수의 문화에 관한 논의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 논문은 양자의 비판적 미디어론의 친족성과 차이를 검토한다. 아도르노의 비판적 미디어론은 이데올로기적 비판의 한계와 더불어 오늘날 미디어 현실을 비판하는데 여전히 유효한 측면이 있다. 부르디외의 비판적 미디어론은 다른 이론적 가설, 다른 사회개념에서 출발하며 아도르노의 비판적 미디어론의 중요 논제를 암묵적으로 수용·발전시키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미디어에 의한 탈정치화 논제, 도덕적 순응, 상징폭력, 획일화 논제에서 차이와 친족성을 살펴본다. 부르디외의 비판적 미디어론은 자신의 고유한 장이론에 입각해 저널리즘의 장, 텔레비전장에 관한 내재적 분석을 시도하며 현재의 미디어 현실을 타개할 대안을 제시한다. 여기에서도 차이와 친족성을 확인할 것이다. 그러고 아도르노와 부르디외가 공유하는 비판적 미디어론의 한계와 의의를 검토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ourdieu P., "혼돈을 일으키는 과학" 솔 1994

      2 Bourdieu P., "텔레비전에 대하여" 동문선 1998

      3 Bourdieu P., "사회학의 문제들" 동문선 2004

      4 김동일, "부르디외와 라투르의 대질과 수정: 사회과학 지식체계에서 장이론의 가능성과 한계" 사회과학연구소 18 (18): 40-89, 2010

      5 이상길, "미디어와 문화산업 - 장이론의 맹점?" 성곡언론문화재단 14 (14): 70-100, 2006

      6 Keller D., "미디어 문화" 새물결 2003

      7 안드레아 L. 프레스, "문화적 수용의 사회학, In 문화사회학" 사회연구소 1997

      8 김성종, "레이몬드 월리암스의 이데올로기와 아도르노" 1 : 2008

      9 Neuman R. W., "뉴미디어와 사회변동" 나남출판 1995

      10 Bourdieu P.,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새물결 1996

      1 Bourdieu P., "혼돈을 일으키는 과학" 솔 1994

      2 Bourdieu P., "텔레비전에 대하여" 동문선 1998

      3 Bourdieu P., "사회학의 문제들" 동문선 2004

      4 김동일, "부르디외와 라투르의 대질과 수정: 사회과학 지식체계에서 장이론의 가능성과 한계" 사회과학연구소 18 (18): 40-89, 2010

      5 이상길, "미디어와 문화산업 - 장이론의 맹점?" 성곡언론문화재단 14 (14): 70-100, 2006

      6 Keller D., "미디어 문화" 새물결 2003

      7 안드레아 L. 프레스, "문화적 수용의 사회학, In 문화사회학" 사회연구소 1997

      8 김성종, "레이몬드 월리암스의 이데올로기와 아도르노" 1 : 2008

      9 Neuman R. W., "뉴미디어와 사회변동" 나남출판 1995

      10 Bourdieu P.,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새물결 1996

      11 이종하, "고통과 도덕 없는 사회를 위한 부정적 도덕철학 - 아도르노의 도덕에 관한 사회철학적 비판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 : 213-238, 2010

      12 이종하, "검은 매체, 하얀 매체 혹은 회색 매체- 아도르노 매체비판의 재평가 -" 대한철학회 95 : 287-306, 2005

      13 Habermas J.,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BdI" 1988

      14 Bourdieu P., "The Rules of Art" Polity Press 1996

      15 Bonacker T., "Ohne Angst verschieden sein könen. Individualität in der integralen Gesellschaft, In Die Gesellschaftstheorie Adornos" 1998

      16 Heinlein, B., "Massenkultur in der Kritischen Theorie" 1985

      17 Keller, D., "Kulturindustrie und Massenkommunikation, In Sozialforschung als Kritik" 1982

      18 Erd R., "Kulturgesellschaft oder Kulturindustrie?, In Kritische Theorie und Kultur" 1989

      19 Adorno, Th. W., "Gesammelte Schriften, Bd. 8, Soziologische Schriften I" 1998

      20 Adorno, Th. W., "Gesammelte Schriften, Bd. 7, Ästhetische Theorie" 1998

      21 Adorno, Th. W., "Gesammelte Schriften, Bd. 6, Negative Dialektik" 1998

      22 Adorno, Th. W., "Gesammelte Schriften, Bd. 4, Minima Moralia" 1998

      23 Adorno, Th. W., "Gesammelte Schriften, Bd. 3, Dialektik der Aufklärung" 1998

      24 Adorno, Th. W., "Gesammelte Schriften, Bd. 10.2 Kulturkritik und Gesellschaft II" 1998

      25 Adorno Th. W., "Erziehung zur Mündigkeit" 1970

      26 Bourdieu P., "Entwurf einer Theorie der Praxis" 1979

      27 Enzensberger, H. G., "Bewußtsein-Industrie, In Ders, Einzelheiten I, Bewußtsein-Industrie" 1964

      28 Winter R., "Adorno als Medienkritiker, In Kritische Theorie Heute"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98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