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물맛평가지표를 이용한 우리나라 물의 수질특성 연구 = Study of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sty & Healthy Water Index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849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ater using the tasty and healthy water index.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position of minerals and anions, 0.152~4.491 mg/L(1.558 mg/L in average) of sodium, 0.925~19.650 mg/L(5.522 mg/L on average) of calcium, 0.219~3.394 mg/L (1.055 mg/L on average) of magnesium, undetected ~1.600 mg/L (0.665 mg/L on average) of potassium, 1.988~14.120 (7.791 mg/L on average) mg/L of silica and undetected (11 places)~12 mg/L (2.000 mg/L on average) sulfate ion were detected, showing the water to be potable. In addition, the hardness was measured to be 7~49 mg/L, and soft water also emerged during the overall process of analyz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on the tasty and healthy water index, the O- and K-indices were 0.81~51.29 (11.13 on average) and –0.23~17.33 (4.17 on average), respectively. The O- and K-indices of domestic water products were 2.81~8.71(5.30 in average) and 6.85~13.68 (9.96 on average), respectively. A comparison of tea water revealed O- and K-indices of 2.85~46.14 (16.86 on average) and 1.79~17.33 (5.78 on average), respectively, showing waters the O- and K-indices to be approximately 3 times higher and approximately 1.78 lower than that of the domestic water product, indicating the water to have a much better taste.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ater using the tasty and healthy water index.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position of minerals and anions, 0.152~4.491 mg/L(1.558 mg/L in av...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ater using the tasty and healthy water index.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position of minerals and anions, 0.152~4.491 mg/L(1.558 mg/L in average) of sodium, 0.925~19.650 mg/L(5.522 mg/L on average) of calcium, 0.219~3.394 mg/L (1.055 mg/L on average) of magnesium, undetected ~1.600 mg/L (0.665 mg/L on average) of potassium, 1.988~14.120 (7.791 mg/L on average) mg/L of silica and undetected (11 places)~12 mg/L (2.000 mg/L on average) sulfate ion were detected, showing the water to be potable. In addition, the hardness was measured to be 7~49 mg/L, and soft water also emerged during the overall process of analyz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on the tasty and healthy water index, the O- and K-indices were 0.81~51.29 (11.13 on average) and –0.23~17.33 (4.17 on average), respectively. The O- and K-indices of domestic water products were 2.81~8.71(5.30 in average) and 6.85~13.68 (9.96 on average), respectively. A comparison of tea water revealed O- and K-indices of 2.85~46.14 (16.86 on average) and 1.79~17.33 (5.78 on average), respectively, showing waters the O- and K-indices to be approximately 3 times higher and approximately 1.78 lower than that of the domestic water product, indicating the water to have a much better tas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옛 문헌에서 우리나라에서 차를 마실 때 이용한 주요 지역의 물들을 대상으로 물맛평가지표를 이용하여 물의 수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물의 맛에 영향을 주는 심미적 영향물질 분석결과, 경도가 7~49 mg/L(평균 18.08 mg/L),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이 불검출(5곳)~5.6 mg/L(평균 0.94 mg/L), 수소이온농도가 5.8(2곳)~7.9(평균 6.58), 용존산소가 4.34~16.84 mg/L(평균 8.93 mg/L), 온도가 9.25~21.75℃(평균 16.2 1℃), 전기전도도가 8.00~138.00 μs/cm(평균 51.21 μs/cm), 총고형물이 18~94 mg/L(평균 44.12 mg/L)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연수이며,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미네랄 및 음이온 성분은 나트륨이 0.152~4.491 mg/L(평균 1.558 mg/L), 칼슘이 0.925~19.650 mg/L(평균5.522 mg/L), 마그네슘이 0.219~3.394 mg/L(평균 1.055 mg/L), 칼륨이 불검출~1.600 mg/L(평균 0.665 mg/L), 이산화규소가 1.988~14.120 mg/L(평균 7.791 mg/L), 황산이온이 불검출(11곳)~12 mg/L(평균 2.000 mg/L), 아연이 불검출(18곳)~0.008 mg/L(평균 0.001 mg/L), 철이 불검출(22곳)~0.20 mg/L(평균 0.017), 염소이온이 0.7~6.5 mg/L(평균 2.938 mg/L)의 범위가 나타났으며,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연 및 철은 전반적으로 불검출 되거나 극미량이 함유되어 있고, 물맛을 좋게 하는 인자 중 Ca > SiO2 > K의 순서로 함유량의 차이를보이며, 물맛을 나쁘게 하는 인자 중 SO4 2- > Mg의 순서로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맛있고 건강한 물지표에 따른 물의 특성 분석결과, O-index는 0.81~51.20(평균 11.13), K-index는 -0.23~ 17.33(평균 4.17)로 나타났으며, 맛있고 건강한 물은 자재암 원효샘, 옥천사 옥샘, 쌍계사 양수, 표충사 영정약수, 속리산 복천암 약수, 쌍산재 당몰샘으로 총 6곳으로 나타났고, 맛있는 물은 봉선사 우물 등 총 18곳이며, 정암사 적조암 약수와 백련사 윗선원 약수는 일반적인 물로 나타났다.
      넷째, 물맛평가는 국내 시판샘물의 O-index 및 K-index 의 자료와 비교분석한 결과, 시판샘물의 O-index는 2.81~ 8.71(평균 5.30)과 K-index는 6.85~13.68(평균 9.96)로 나타났으며, 물의 O-index는 2.85~46.14(평균 16.86), K-index는 1.79~17.33(평균 5.78)의 범위를 보였고, 시판샘물은 전체적으로 맛있고 건강한 물(6지역)로 나타났으며, 조사 대상지의 물은 맛있는 물(5지역)과 맛있고 건강한물(1지역)으로 분류되어졌다. 그 결과 조사 대상지의 물은시판샘물보다 O-index가 약 3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K-index는 시판샘물이 물보다 약 1.7배 높으며, 국내의찻물로 사용된 물은 전반적으로 맛있는 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옛 문헌에서 우리나라에서 차를 마실 때 이용한 주요 지역의 물들을 대상으로 물맛평가지표를 이용하여 물의 수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물의 맛에 영향을 ...

      옛 문헌에서 우리나라에서 차를 마실 때 이용한 주요 지역의 물들을 대상으로 물맛평가지표를 이용하여 물의 수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물의 맛에 영향을 주는 심미적 영향물질 분석결과, 경도가 7~49 mg/L(평균 18.08 mg/L),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이 불검출(5곳)~5.6 mg/L(평균 0.94 mg/L), 수소이온농도가 5.8(2곳)~7.9(평균 6.58), 용존산소가 4.34~16.84 mg/L(평균 8.93 mg/L), 온도가 9.25~21.75℃(평균 16.2 1℃), 전기전도도가 8.00~138.00 μs/cm(평균 51.21 μs/cm), 총고형물이 18~94 mg/L(평균 44.12 mg/L)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연수이며,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미네랄 및 음이온 성분은 나트륨이 0.152~4.491 mg/L(평균 1.558 mg/L), 칼슘이 0.925~19.650 mg/L(평균5.522 mg/L), 마그네슘이 0.219~3.394 mg/L(평균 1.055 mg/L), 칼륨이 불검출~1.600 mg/L(평균 0.665 mg/L), 이산화규소가 1.988~14.120 mg/L(평균 7.791 mg/L), 황산이온이 불검출(11곳)~12 mg/L(평균 2.000 mg/L), 아연이 불검출(18곳)~0.008 mg/L(평균 0.001 mg/L), 철이 불검출(22곳)~0.20 mg/L(평균 0.017), 염소이온이 0.7~6.5 mg/L(평균 2.938 mg/L)의 범위가 나타났으며,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연 및 철은 전반적으로 불검출 되거나 극미량이 함유되어 있고, 물맛을 좋게 하는 인자 중 Ca > SiO2 > K의 순서로 함유량의 차이를보이며, 물맛을 나쁘게 하는 인자 중 SO4 2- > Mg의 순서로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맛있고 건강한 물지표에 따른 물의 특성 분석결과, O-index는 0.81~51.20(평균 11.13), K-index는 -0.23~ 17.33(평균 4.17)로 나타났으며, 맛있고 건강한 물은 자재암 원효샘, 옥천사 옥샘, 쌍계사 양수, 표충사 영정약수, 속리산 복천암 약수, 쌍산재 당몰샘으로 총 6곳으로 나타났고, 맛있는 물은 봉선사 우물 등 총 18곳이며, 정암사 적조암 약수와 백련사 윗선원 약수는 일반적인 물로 나타났다.
      넷째, 물맛평가는 국내 시판샘물의 O-index 및 K-index 의 자료와 비교분석한 결과, 시판샘물의 O-index는 2.81~ 8.71(평균 5.30)과 K-index는 6.85~13.68(평균 9.96)로 나타났으며, 물의 O-index는 2.85~46.14(평균 16.86), K-index는 1.79~17.33(평균 5.78)의 범위를 보였고, 시판샘물은 전체적으로 맛있고 건강한 물(6지역)로 나타났으며, 조사 대상지의 물은 맛있는 물(5지역)과 맛있고 건강한물(1지역)으로 분류되어졌다. 그 결과 조사 대상지의 물은시판샘물보다 O-index가 약 3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K-index는 시판샘물이 물보다 약 1.7배 높으며, 국내의찻물로 사용된 물은 전반적으로 맛있는 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대성, "초의선사의東茶頌: 다송 자필사본" 동아일보사 62-, 2004

      2 이병인, "찻물의 이화학적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차학회 21 (21): 45-53, 2015

      3 혜우, "찻물기행(혜우스님의)" 초롱 1-286, 2007

      4 손연숙, "차문화 기행(손연숙의)" 이른 아침 50-323, 2008

      5 김진숙, "중국차문화 茶經 :陸羽 原著" 국학자료원 151-153, 2009

      6 환경부, "수질오염 공정시험기준"

      7 김현실,김익성, "부산지역 일부 약수터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24 (24): 18-953, 2002

      8 전동복, "문헌을 통한 찻물 고찰"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9 신호상, "먹는 샘물의 분석과 수질에 관하여" 9 (9): 122-143, 1996

      10 환경부, "먹는 물 수질공정시험방법"

      1 김대성, "초의선사의東茶頌: 다송 자필사본" 동아일보사 62-, 2004

      2 이병인, "찻물의 이화학적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차학회 21 (21): 45-53, 2015

      3 혜우, "찻물기행(혜우스님의)" 초롱 1-286, 2007

      4 손연숙, "차문화 기행(손연숙의)" 이른 아침 50-323, 2008

      5 김진숙, "중국차문화 茶經 :陸羽 原著" 국학자료원 151-153, 2009

      6 환경부, "수질오염 공정시험기준"

      7 김현실,김익성, "부산지역 일부 약수터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24 (24): 18-953, 2002

      8 전동복, "문헌을 통한 찻물 고찰"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9 신호상, "먹는 샘물의 분석과 수질에 관하여" 9 (9): 122-143, 1996

      10 환경부, "먹는 물 수질공정시험방법"

      11 방석배, "맛있는 물․건강한 물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2005 : 148-153, 2005

      12 이승재, "맛있는 물 지표 개발을 통한 국내 약수 평가" 대한상하수도학회 25 (25): 7-14, 2011

      13 이성호, "국내 시판샘물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24 (24): 7-2128, 2002

      14 김형석, "건강한 물 맛있는 물" 음악의 향기 201-202, 2011

      15 Hashimoto, "Indices of drinking water concerned with taste and health" 65 (65): 185-192,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3 0.56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