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서비스의 관리와 혁신에 관한 통합연구를 표방한 본 연구는 규제에서 서비스라는 행정학 연구의 패러다임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특히 공공서비스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65239
-
2009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공서비스의 관리와 혁신에 관한 통합연구를 표방한 본 연구는 규제에서 서비스라는 행정학 연구의 패러다임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특히 공공서비스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
공공서비스의 관리와 혁신에 관한 통합연구를 표방한 본 연구는 규제에서 서비스라는 행정학 연구의 패러다임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특히 공공서비스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높은 수준의 당위성과 시의성에도 불구하고 단편적인 사례연구에 집중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큰 흐름을 형성하는 일에 실패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 국내외 연구경향에 관한 추세분석을 비롯해 공공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국민인식도 조사, 공공서비스의 법제와 조직 변화에 관한 추세분석, 공공서비스 공급조직 간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지방공기업을 중심으로 분석, 공공서비스 개혁의 비전과 전략을 서비스행정을 중심으로 제시 등에 관한 연구실적을 산출하였다.
참고로 가장 기초가 되는 국내외 공공서비스 경향분석결과를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공공서비스 관련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꾸준히 발전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연구논문의 수가 증가하고 연구분야가 꾸준히 확장되어 온 점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의 질적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정학보와 정책학보, PAR 및 JPART와 같은 유수의 학술지에 게재된 공공서비스 관련 논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운영실태 등에 관한 실증연구에 편중되어 이론개발에 관한 연구가 적은 것은 공공서비스 관련 연구의 균형있는 발전을 저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연구의 질을 도외시한 채 논문의 수만을 중시하는 학계의 분위기를 근본적으로 쇄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보다 직접적으로 적어도 공공서비스 관련 연구에 관한 한, 계량적 방법에 경도되어 운영적 연구에 치중하여 이론개발에 소홀히 하는 한국행정학보의 편집방향을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행정학회의 이러한 노력은 행정학 및 정책학 분야의 여타 학술지들이 각자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limitations of the public service studies with exploring the articles of two domestic, Kore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Korean Journal of Public Policy, and two foreign journals, PAR, and JPART, during the 1995-2008 peri...
This paper analyzes the limitations of the public service studies with exploring the articles of two domestic, Kore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Korean Journal of Public Policy, and two foreign journals, PAR, and JPART, during the 1995-2008 period.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public service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public service studies are investigated with the criteria of the attributes, methods, topics and research areas for the analysis. Further, this paper searches for the direction that Korean academics of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pursue, with observing the research trends of 1990s and 2000s as well as of Korea and America. This analysis concludes that Korean public service studies have been quantitatively advanced for a certainty, from the views of the heightened number of journal papers and widened research area. Qualitatively, however, the studies have been severely restricted within the empirical examinations, and theoretical development has been totally disregarded. To make up the failings, it is necessary for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to have one eye on the theoretical developments, not only on empirical investigation. Moreover, the effort may make for positive effects for other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s to clarify their own ident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