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수요목기 검정 중등공민 교과서의 편찬과 성격 =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Textbook of the Authorized Secondary School during Syllabus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84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yllabus of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syllabus of Colorado State, and therefore positively affirmed both democracy and capitalism, while also to a certain extent reflecting an acceptance of an individualism which recognized the life and rights of the individual. These aspects were maintained even into the first years of the South Korean state. Moreover, negative representations of communism and the Soviet Union are also not reflected in public school textbooks. The authors who wrote these public school textbooks were people who either graduated from international schools under Japanese colonialism, or who had studied abroad in Japan. They were employed at Korea University or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y were commissioned for this work mainly through personal connections. Many of the owners of the publishing houses were affiliated with Posung College or Chung-ang High School. The reason for this is that many of the authors were professors at or graduates of Korea University. They had a nationalistic outlook on civic affairs, and often saw the nation as having priority over the individual.
      In August of 1948, Ho-sang An was appointed as the head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Ho-sang An had studied both at Jena University and Kyoto University, and was an advocate of the One-People Principle. The One-People Principle was an ideology which rejected any type of outside mode of thought, including communism, and argued for the supremacy of the South Korean nation. In September of 1949, the government decided to remove content in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went against the national ideology. The authors who wrote public school textbooks hardly changed from before and after 1949. Moreover, anti-communist content, which had not appeared in textbooks before, began appearing in textbooks after September 1949. In this way, as the One-People Principle and anti-communism were emphasized, public school textbooks began featuring content to strengthen nationalism, as well as criticisms of the Soviet Union, North Korea, and communism.
      This tendency became more pronounced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 short paragraph combining anti-communism and nationalism began to appear. This short paragraph, which appeared in public school textbooks, was written by authors who had graduated from international schools. Afterwards, the influence of the curriculum left by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decreased and the opinions of intellectuals regarding civic life began to be more strongly reflected.
      번역하기

      The Syllabus of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syllabus of Colorado State, and therefore positively affirmed both democracy and capitalism, while also to a certain extent reflecting an acceptance of a...

      The Syllabus of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syllabus of Colorado State, and therefore positively affirmed both democracy and capitalism, while also to a certain extent reflecting an acceptance of an individualism which recognized the life and rights of the individual. These aspects were maintained even into the first years of the South Korean state. Moreover, negative representations of communism and the Soviet Union are also not reflected in public school textbooks. The authors who wrote these public school textbooks were people who either graduated from international schools under Japanese colonialism, or who had studied abroad in Japan. They were employed at Korea University or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y were commissioned for this work mainly through personal connections. Many of the owners of the publishing houses were affiliated with Posung College or Chung-ang High School. The reason for this is that many of the authors were professors at or graduates of Korea University. They had a nationalistic outlook on civic affairs, and often saw the nation as having priority over the individual.
      In August of 1948, Ho-sang An was appointed as the head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Ho-sang An had studied both at Jena University and Kyoto University, and was an advocate of the One-People Principle. The One-People Principle was an ideology which rejected any type of outside mode of thought, including communism, and argued for the supremacy of the South Korean nation. In September of 1949, the government decided to remove content in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went against the national ideology. The authors who wrote public school textbooks hardly changed from before and after 1949. Moreover, anti-communist content, which had not appeared in textbooks before, began appearing in textbooks after September 1949. In this way, as the One-People Principle and anti-communism were emphasized, public school textbooks began featuring content to strengthen nationalism, as well as criticisms of the Soviet Union, North Korea, and communism.
      This tendency became more pronounced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 short paragraph combining anti-communism and nationalism began to appear. This short paragraph, which appeared in public school textbooks, was written by authors who had graduated from international schools. Afterwards, the influence of the curriculum left by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decreased and the opinions of intellectuals regarding civic life began to be more strongly reflec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군정의 교수요목은 미국 콜로라도주 교수요목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긍정하고, 제한적이나마 개인의 삶과 권리를 인정하는 개인주의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정부수립 초기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또한 공산주의나 소련에 대한 부정적인 의식도 공민교과서에 반영되지 않았다. 한편, 이들 검정공민교과서를 집필한 저자들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제국대학을 졸업하거나, 일본유학을 경험한 인물들이었다. 이들은 고려대학교나 서울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다. 이들은 주로 개인적인 친소 관계로 저자로 섭외되었다. 출판사 사장들 중에는 보성전문이나 중앙학교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집필자 중 고려대 교수와 졸업자가 많았던 것은 이런 까닭이었을 것이다. 이들은 국가주의적인 공민관을 지녔으며, 개인보다는 국가가 먼저라는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1948년 8월 安浩相이 문교부장관 취임하였다. 안호상은 독일 예나 대학과 교토제국대학에서 공부한 인물로 일민주의를 주창한 인물이다. 일민주의는 공산주의를 비롯한 모든 외래사상을 배격하고, 국가제일주의를 내세우는 이념이었다. 1949년 9월 정부는 중등교과서에서 국가이념에 배치되는 내용을 삭제하기로 하였다. 1949년 이전과 이후에 공민교과서 저자들은 거의 바뀌지 않았다. 이들이 교체되지 않은 것은 이들의 공민관이 정부의 그것과 배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민교과서에 이전에 나타나지 않았던 반공주의적 내용이 1949년 9월 이후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일민주의와 반공이 강조되면서 공민교과서의 내용은 국가주의가 강화되고, 공산주의와 북한, 소련을 비판하는 내용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런 경향은 6.25를 거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반공주의와 국가주의가가 결합된 소단락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소단락을 가진 공민교과서는 주로 제국대학을 졸업한 저자들에 의해 집필된 것이었다. 이후, 미군정이 남긴 교수요목의 영향력이 줄고, 당시 한국 지식인의 공민관이 더욱 강하게 반영되기 시작했다.
      번역하기

      미군정의 교수요목은 미국 콜로라도주 교수요목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긍정하고, 제한적이나마 개인의 삶과 권리를 인정하는 개인주의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러...

      미군정의 교수요목은 미국 콜로라도주 교수요목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긍정하고, 제한적이나마 개인의 삶과 권리를 인정하는 개인주의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정부수립 초기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또한 공산주의나 소련에 대한 부정적인 의식도 공민교과서에 반영되지 않았다. 한편, 이들 검정공민교과서를 집필한 저자들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제국대학을 졸업하거나, 일본유학을 경험한 인물들이었다. 이들은 고려대학교나 서울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다. 이들은 주로 개인적인 친소 관계로 저자로 섭외되었다. 출판사 사장들 중에는 보성전문이나 중앙학교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집필자 중 고려대 교수와 졸업자가 많았던 것은 이런 까닭이었을 것이다. 이들은 국가주의적인 공민관을 지녔으며, 개인보다는 국가가 먼저라는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1948년 8월 安浩相이 문교부장관 취임하였다. 안호상은 독일 예나 대학과 교토제국대학에서 공부한 인물로 일민주의를 주창한 인물이다. 일민주의는 공산주의를 비롯한 모든 외래사상을 배격하고, 국가제일주의를 내세우는 이념이었다. 1949년 9월 정부는 중등교과서에서 국가이념에 배치되는 내용을 삭제하기로 하였다. 1949년 이전과 이후에 공민교과서 저자들은 거의 바뀌지 않았다. 이들이 교체되지 않은 것은 이들의 공민관이 정부의 그것과 배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민교과서에 이전에 나타나지 않았던 반공주의적 내용이 1949년 9월 이후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일민주의와 반공이 강조되면서 공민교과서의 내용은 국가주의가 강화되고, 공산주의와 북한, 소련을 비판하는 내용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런 경향은 6.25를 거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반공주의와 국가주의가가 결합된 소단락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소단락을 가진 공민교과서는 주로 제국대학을 졸업한 저자들에 의해 집필된 것이었다. 이후, 미군정이 남긴 교수요목의 영향력이 줄고, 당시 한국 지식인의 공민관이 더욱 강하게 반영되기 시작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성일보"

      2 안호상, "한뫼 안호상 20세기 회고록" 민족문화출판사 1996

      3 교육부 편수국, "편수시보" 조선인쇄서적주식회사 1950

      4 한만년, "증보판 一業一生" 일조각 1994

      5 김두헌, "중등시회생활과 공민 인생과 사회(중등공민6)" 백영사 1954

      6 권상철, "중등사회생활과 중등 공민 Ⅱ" 동지사 1948

      7 이상선, "중등사회생활과 우리나라 경제생활 공민 부분 3학년용" 探求堂書店 1949

      8 홍우, "중등사회 생활과 경제문제 공민부분 5학년용" 탐구당서점 1950

      9 金斗憲, "중등 사회 생활과 공민(Ⅱ)" 동지사 1949

      10 최재희, "중등 사회 생활과 공동 생활(공민부분 1학년용)" 탐구당 1949

      1 "한성일보"

      2 안호상, "한뫼 안호상 20세기 회고록" 민족문화출판사 1996

      3 교육부 편수국, "편수시보" 조선인쇄서적주식회사 1950

      4 한만년, "증보판 一業一生" 일조각 1994

      5 김두헌, "중등시회생활과 공민 인생과 사회(중등공민6)" 백영사 1954

      6 권상철, "중등사회생활과 중등 공민 Ⅱ" 동지사 1948

      7 이상선, "중등사회생활과 우리나라 경제생활 공민 부분 3학년용" 探求堂書店 1949

      8 홍우, "중등사회 생활과 경제문제 공민부분 5학년용" 탐구당서점 1950

      9 金斗憲, "중등 사회 생활과 공민(Ⅱ)" 동지사 1949

      10 최재희, "중등 사회 생활과 공동 생활(공민부분 1학년용)" 탐구당 1949

      11 유진오, "중등 사회 생활과 政治問題- 공민부분 4학년용" 탐구당 1951

      12 후지이 다케시, "족청·족청계의 이념과 활동"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3 "조선일보"

      14 정종현, "제국대학의 조센징" 휴머니스트 2019

      15 아마노 이쿠오, "제국대학" 산처럼 2002

      16 안호상, "일민주의의 본바탕(일민주의의 본질)" 일민주의연구원 1950

      17 이상선, "우리나라 경제생활 공민부분 3학년용" 탐구당서점 1949

      18 최정호, "스승의 길: 박종홍 박사를 회상하다" 일지사 1977

      19 "서울신문"

      20 한춘섭, "사회생할과 중등교민 경제생활" 민중서관 1950

      21 나연준, "방법으로서 제국 아카데미즘과 ‘전통적 근대성’ -식민지 시기 박종홍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60) : 70-96, 2018

      22 정태수, "미군정기 한구교육사자료집 상" 홍지원 1992

      23 김동선, "미군정기 국정 공민교과서의 성격과 집필진의 구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4) : 103-154, 2018

      24 "미군정관보"

      25 "매일신보"

      26 "동아일보"

      27 문교부, "대한민국교육개황"

      28 이대의, "나와 검인정 교과서" 중앙출판공사 2002

      29 김동선, "교수요목기 중등학교 공민교과 교수요목의 내용과 성격"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8) : 227-275, 2019

      30 김형찬, "교과서 난에 대한 일고찰" 4 (4): 1948

      31 "관보"

      32 박종홍, "공민3" 동지사 1951

      33 박종홍, "공민2" 동지사 1949

      34 박종홍, "공민 1" 동지사 1950

      35 권상철, "고등공민(법제)" 동심사 1949

      36 권상철, "고등공민(경제)" 동심사 1949

      37 "경향신문"

      38 김두헌, "道義 韓國 再建論" 학술계사 1 : 1958

      39 이상선, "社會生活科에 있어서의 歷史敎育(一)" 1 : 1956

      40 安相政, "民族靑年團의 組織過程과 活動"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2

      41 안호상, "民族敎育을 외치노라" 1 (1): 1948

      42 김태웅, "新國家建設期 敎科書 政策과 運用의 實際" 역사교육연구회 (88) : 2003

      43 윤상현, "1950년대 엘리트 지식인들의 국가주의적 민족주의 담론" 한국근현대사학회 (66) : 223-257, 2013

      44 이유리, "1950년대 '도의교육'의 형성과정과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45 조풍연, "(출판시감)중등교과서문제-‘교과서협회’신설에 기대함" 4 (4): 194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