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손진태의 한국 근대사 서술 = Son Jin-tae's Description of Korean Modern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84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seems to be little interest in the stud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at Son Jin-tae had profound interest in. For this reason, the description of the impact of the March 1st Movement on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culture, or his interests in attempting to systematize the flow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rough the Korean historical introductions are not being organized properly.
      It seems that Son Jin-Tae became interested in narrating Korean modern history seems due to the March 1st Movement. The March 1st Movement has brought a huge change of direction both in his life and study. His participation in the March 1st Movement in Busan which resulted in his imprisonment, later led him to choose the path of historian while studying in Japan. Rather than following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he Korean history in a sentimental way, he tried to narrate the Korean history in a new way. Therefore, he did not treat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as the center, and tried to have a new perspective on Korean social and cultural history.
      At first, Son Jin-tae's description of the Korean modern history covered the late 1920s after the Sino-Japanese War. And after the liberation, expanded the scope to include the period from the time when Joseon negotiated with the West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At this time, he tried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flow of Korean modern history with an independent periodization, covering various parts such as politics, social culture, thought, and diplomacy.
      In this way, he focused heavily on the growth and activity of the people, a newly emerged human group, rather than the yangban, the dominant status of the Joseon Dynasty while describing the flow of Korean modern histor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historical position of Son Jin-tae’s description of Korean modern history has a profound meaning in the research history. It is noticeable due to the fact that this is directly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on Jin-tae’s history, so called the neo-nationalist historicism.
      번역하기

      There seems to be little interest in the stud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at Son Jin-tae had profound interest in. For this reason, the description of the impact of the March 1st Movement on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culture, or h...

      There seems to be little interest in the stud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at Son Jin-tae had profound interest in. For this reason, the description of the impact of the March 1st Movement on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culture, or his interests in attempting to systematize the flow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rough the Korean historical introductions are not being organized properly.
      It seems that Son Jin-Tae became interested in narrating Korean modern history seems due to the March 1st Movement. The March 1st Movement has brought a huge change of direction both in his life and study. His participation in the March 1st Movement in Busan which resulted in his imprisonment, later led him to choose the path of historian while studying in Japan. Rather than following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he Korean history in a sentimental way, he tried to narrate the Korean history in a new way. Therefore, he did not treat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as the center, and tried to have a new perspective on Korean social and cultural history.
      At first, Son Jin-tae's description of the Korean modern history covered the late 1920s after the Sino-Japanese War. And after the liberation, expanded the scope to include the period from the time when Joseon negotiated with the West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At this time, he tried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flow of Korean modern history with an independent periodization, covering various parts such as politics, social culture, thought, and diplomacy.
      In this way, he focused heavily on the growth and activity of the people, a newly emerged human group, rather than the yangban, the dominant status of the Joseon Dynasty while describing the flow of Korean modern histor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historical position of Son Jin-tae’s description of Korean modern history has a profound meaning in the research history. It is noticeable due to the fact that this is directly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on Jin-tae’s history, so called the neo-nationalist historic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손진태가 매우 깊은 관심을 가졌던 한국 근‧현대사 연구에 대해서는 별다른 관심이 없는 것 같다. 때문에 3‧1운동이 한국의 사회나 문화의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서술이라든지, 한국사 개설서를 통해서 한국 근대사와 현대사의 흐름을 새롭게 체계화하려고 했던 그의 관심은 제대로 정리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손진태가 한국 근대사 서술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3‧1운동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3‧1운동을 기점으로 그의 삶과 학문에 커다란 방향전환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부산에서 3‧1운동에 참여하여 투옥되기까지 하였던 그는 이후 일본에서 공부하면서 역사가의 길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그는 기존의 감상주의적 한국사 이해가 아니라, 새로운 방법으로 한국사를 서술하겠다는 것이었다. 이에 독립운동사가 중심이 되는 역사가 아니라, 한국의 사회사 및 문화사에 새로운 이해를 가지려고 노력하였던 것이다.
      손진태의 한국 근대사 서술은 처음에는 청일전쟁 이후 1920대 후반의 시기까지를, 해방 이후에는 그 범위를 확대시켜서 조선이 서양과 교섭한 시기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까지의 내용까지를 서술하였다. 이때 그는 정치, 사회 문화, 사상, 외교 등의 여러 부분을 망라하면서, 독자적인 시대구분과 함께 한국 근대사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와 같이 그가 한국근대사의 흐름을 서술할 때 크게 중점을 둔 인간집단은 조선시대까지를 주도했던 지배신분이었던 양반 보다는 새롭게 등장한 인간집단인 민중의 성장과 활동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근대사연구의 연구사에서 손진태의 한국근대사 서술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위치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그의 사학이라고 일컬어지는 신민족주의사학이 보여준 특징과도 그대로 연결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게 해주고 있어서 주목된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현재 손진태가 매우 깊은 관심을 가졌던 한국 근‧현대사 연구에 대해서는 별다른 관심이 없는 것 같다. 때문에 3‧1운동이 한국의 사회나 문화의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서술이라든지, 한...

      현재 손진태가 매우 깊은 관심을 가졌던 한국 근‧현대사 연구에 대해서는 별다른 관심이 없는 것 같다. 때문에 3‧1운동이 한국의 사회나 문화의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서술이라든지, 한국사 개설서를 통해서 한국 근대사와 현대사의 흐름을 새롭게 체계화하려고 했던 그의 관심은 제대로 정리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손진태가 한국 근대사 서술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3‧1운동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3‧1운동을 기점으로 그의 삶과 학문에 커다란 방향전환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부산에서 3‧1운동에 참여하여 투옥되기까지 하였던 그는 이후 일본에서 공부하면서 역사가의 길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그는 기존의 감상주의적 한국사 이해가 아니라, 새로운 방법으로 한국사를 서술하겠다는 것이었다. 이에 독립운동사가 중심이 되는 역사가 아니라, 한국의 사회사 및 문화사에 새로운 이해를 가지려고 노력하였던 것이다.
      손진태의 한국 근대사 서술은 처음에는 청일전쟁 이후 1920대 후반의 시기까지를, 해방 이후에는 그 범위를 확대시켜서 조선이 서양과 교섭한 시기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까지의 내용까지를 서술하였다. 이때 그는 정치, 사회 문화, 사상, 외교 등의 여러 부분을 망라하면서, 독자적인 시대구분과 함께 한국 근대사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와 같이 그가 한국근대사의 흐름을 서술할 때 크게 중점을 둔 인간집단은 조선시대까지를 주도했던 지배신분이었던 양반 보다는 새롭게 등장한 인간집단인 민중의 성장과 활동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근대사연구의 연구사에서 손진태의 한국근대사 서술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위치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그의 사학이라고 일컬어지는 신민족주의사학이 보여준 특징과도 그대로 연결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게 해주고 있어서 주목된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기현, "해방 이후∼1970년대 초반 한국사 개설서의 ‘근대’ 규정 및 시대구분의 변화" 인문학연구원 75 (75): 13-46, 2018

      2 이기백, "한국사학의 방향" 1978

      3 이성시, "한국 고대사연구의 시각과 방법" 2014

      4 이기동, "전환기의 한국사학" 1999

      5 최광식, "우리나라의 역사와 민속" 역사민속학 2012

      6 김인식, "안재홍의 3ㆍ1민족운동像과 신민족주의의 역사의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6) : 163-212, 2013

      7 강정원, "시민을 위한 부산인물사-근현대편" 2004

      8 김수태, "손진태의 한국사교육론" 한국사학사학회 (32) : 31-74, 2015

      9 박대재, "손진태의 사회문화사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78) : 195-241, 2018

      10 손진태, "손진태 전집 6" 1981

      1 류기현, "해방 이후∼1970년대 초반 한국사 개설서의 ‘근대’ 규정 및 시대구분의 변화" 인문학연구원 75 (75): 13-46, 2018

      2 이기백, "한국사학의 방향" 1978

      3 이성시, "한국 고대사연구의 시각과 방법" 2014

      4 이기동, "전환기의 한국사학" 1999

      5 최광식, "우리나라의 역사와 민속" 역사민속학 2012

      6 김인식, "안재홍의 3ㆍ1민족운동像과 신민족주의의 역사의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6) : 163-212, 2013

      7 강정원, "시민을 위한 부산인물사-근현대편" 2004

      8 김수태, "손진태의 한국사교육론" 한국사학사학회 (32) : 31-74, 2015

      9 박대재, "손진태의 사회문화사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78) : 195-241, 2018

      10 손진태, "손진태 전집 6" 1981

      11 홍선이, "손진태 신민족주의론의 ‘좌우합작적’・‘민주주의적’ 성격에 대한 재검토" 한국역사교육학회 (32) : 291-328, 2018

      12 김수태, "손진태" 21 : 1997

      13 이기백, "민족과 역사" 1994

      14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3)" 1971

      15 김수태, "길현익 정년기념사학논총" 1996

      16 김진호, "국내 3‧1운동 ∥- 남부"

      17 김상환, "경상남도의 3‧1 독립만세운동" 2012

      18 박걸순, "金秉祚의 민족운동과 『韓國獨立運動史略 上篇』의 저술" 한국사학사학회 (39) : 79-116, 2019

      19 허태용, "申采浩의 시대구분과 고려·조선시대사 인식" 호서사학회 (59) : 39-67, 2011

      20 이진한, "孫晉泰의 삶과 新民族主義 史學의 展開"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6) : 301-336, 2011

      21 최우석, "3・1운동, 그 기억의 탄생-『한일관계사료집』, 『한국독립운동지혈사』,『한국독립운동사략 상편』을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99) : 87-126, 2018

      22 신용하, "3‧1운동 연구의 현 단계와 과제" 12 :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