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본주의 미디어가 사회주의 국가의 주민들에게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독과 북한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591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89년-1990년 사이에 독일통일의 창이 열렸던 골든타임에 동독 주민이 서독과의 평화로운 통일을 선택하는데, 서독의 방송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60년 시작된 동독과 서독의 시청률 경쟁은 1970년대에 본격화 되었다. 그러나 동독 정권의 기대와는 달리 동·서독 주민 모두가 동독의 방송을 외면하였으며, 서독보다는 동독이 상대국의 미디어 방송에 영향을 받게 되었다. 이렇듯 수세적 입장이 된 동독정권은 동독주민들의 서독방송 접촉을 통제하는 정책으로 전환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서독방송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동독주민들은 통일 전까지 동독의 미디어보다는 서독의 미디어의 선호하고 신뢰하였다. 결국 동독의 미디어 정책은 실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북한에서는 동독에 비해 시기적으로 늦은 1990년대 이후부터 남한의 미디어 영상물이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동독의 사례를 통해 서방언론의 효과를 학습한 북한정권은 남한의 미디어 유입을 철저하게 통제하고 있다. 그러나 고난의 행군 이후 성장한 장마당을 통해 북한내의 남한미디어의 유입은 접경지역의 북한 주민들에서 내륙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독과 북한의 서방 미디어 유입의 과정과 정권의 대응, 효과를 분석하여 방송컨텐츠가 주민들의 정치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남북교류와 통일준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1989년-1990년 사이에 독일통일의 창이 열렸던 골든타임에 동독 주민이 서독과의 평화로운 통일을 선택하는데, 서독의 방송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60년 시작된 동독과 서독의 시청률 경...

      1989년-1990년 사이에 독일통일의 창이 열렸던 골든타임에 동독 주민이 서독과의 평화로운 통일을 선택하는데, 서독의 방송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60년 시작된 동독과 서독의 시청률 경쟁은 1970년대에 본격화 되었다. 그러나 동독 정권의 기대와는 달리 동·서독 주민 모두가 동독의 방송을 외면하였으며, 서독보다는 동독이 상대국의 미디어 방송에 영향을 받게 되었다. 이렇듯 수세적 입장이 된 동독정권은 동독주민들의 서독방송 접촉을 통제하는 정책으로 전환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서독방송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동독주민들은 통일 전까지 동독의 미디어보다는 서독의 미디어의 선호하고 신뢰하였다. 결국 동독의 미디어 정책은 실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북한에서는 동독에 비해 시기적으로 늦은 1990년대 이후부터 남한의 미디어 영상물이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동독의 사례를 통해 서방언론의 효과를 학습한 북한정권은 남한의 미디어 유입을 철저하게 통제하고 있다. 그러나 고난의 행군 이후 성장한 장마당을 통해 북한내의 남한미디어의 유입은 접경지역의 북한 주민들에서 내륙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독과 북한의 서방 미디어 유입의 과정과 정권의 대응, 효과를 분석하여 방송컨텐츠가 주민들의 정치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남북교류와 통일준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tween 1989-1990 Golden Age of Germany(which was open minded for Reunification of Germany), West German Broadcasting has played a decisive role in helping East German Residents choosing Peaceful Reunification of Germany. The war of the audience ratings of East German Broadcasting and West German Broadcasting (Selection of different country's Broadcasting with themselves' Broadcasting by East and West German residents) began in the 1960s and became more regularized in the 1970s. However, Against all expectations of East German Regime, Both East and West German Residents didn't give a attention to East German Broadcasting, and East German Broadcasting was influenced by West German Broadcasting more than West German Broadcasting was influenced by East German Broadcasting therefore East German Regime tried to solve the problem that East German Residents didn't care of East German Broadcasting. However, until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East German Residents preferred and trusted West German Media rather that East German Media. The Media Policy of East Germany has failed. Since the 1990s South Korean Media Images also came in North Korea. Although it is still limited to some North Koreans, it is constantly increasing. In this study, researcher analyzed the each processes of Media inflow to each countries(East Germany and South Korea) and its impact to East German and South Korean Residents.
      번역하기

      Between 1989-1990 Golden Age of Germany(which was open minded for Reunification of Germany), West German Broadcasting has played a decisive role in helping East German Residents choosing Peaceful Reunification of Germany. The war of the audience ratin...

      Between 1989-1990 Golden Age of Germany(which was open minded for Reunification of Germany), West German Broadcasting has played a decisive role in helping East German Residents choosing Peaceful Reunification of Germany. The war of the audience ratings of East German Broadcasting and West German Broadcasting (Selection of different country's Broadcasting with themselves' Broadcasting by East and West German residents) began in the 1960s and became more regularized in the 1970s. However, Against all expectations of East German Regime, Both East and West German Residents didn't give a attention to East German Broadcasting, and East German Broadcasting was influenced by West German Broadcasting more than West German Broadcasting was influenced by East German Broadcasting therefore East German Regime tried to solve the problem that East German Residents didn't care of East German Broadcasting. However, until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East German Residents preferred and trusted West German Media rather that East German Media. The Media Policy of East Germany has failed. Since the 1990s South Korean Media Images also came in North Korea. Although it is still limited to some North Koreans, it is constantly increasing. In this study, researcher analyzed the each processes of Media inflow to each countries(East Germany and South Korea) and its impact to East German and South Korean Resi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사회주의 국가에서 미디어의 역할과 정치의식
      • Ⅲ. 자본주의 미디어 영향
      • Ⅳ. 자본주의 미디어에 대한 대응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사회주의 국가에서 미디어의 역할과 정치의식
      • Ⅲ. 자본주의 미디어 영향
      • Ⅳ. 자본주의 미디어에 대한 대응
      • Ⅴ. 자본주의 미디어의 영향
      • Ⅵ. 방송컨텐츠의 효과적 활용과 통일정책의 함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일부"

      2 김영욱, "통일과 연론 : 독일의 경험"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3 Mead, George Hebert, "정신‧자아‧사회: 사회적 행동주의자가 분석하는 개인과 사회" 한길사 2010

      4 박이문, "예술철학" 문학과 지성사 2006

      5 안지호, "서독의 대동독 인권정책" 통일연구원 2013

      6 조정아, "새로운시대의 탄생: 북한청소년의 세대경험과 특성" 통일연구원 2013

      7 김화순, "북한주민의 외부방송 접촉 및 의식변화에 관한 실태보고서" 북한전략센터 2011

      8 박정란, "북한주민의 남한 미디어 수용과‘왜곡된 남한 상(像)’" 통일연구원 21 (21): 239-270, 2012

      9 유영구, "북한의 신문‧방송연구" 국사관논총 1996

      10 전희락, "북한에서의 한류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4 (14): 265-290, 2013

      1 "통일부"

      2 김영욱, "통일과 연론 : 독일의 경험"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3 Mead, George Hebert, "정신‧자아‧사회: 사회적 행동주의자가 분석하는 개인과 사회" 한길사 2010

      4 박이문, "예술철학" 문학과 지성사 2006

      5 안지호, "서독의 대동독 인권정책" 통일연구원 2013

      6 조정아, "새로운시대의 탄생: 북한청소년의 세대경험과 특성" 통일연구원 2013

      7 김화순, "북한주민의 외부방송 접촉 및 의식변화에 관한 실태보고서" 북한전략센터 2011

      8 박정란, "북한주민의 남한 미디어 수용과‘왜곡된 남한 상(像)’" 통일연구원 21 (21): 239-270, 2012

      9 유영구, "북한의 신문‧방송연구" 국사관논총 1996

      10 전희락, "북한에서의 한류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4 (14): 265-290, 2013

      11 윤선희, "북한 청소년의 한류 읽기: 미디어 수용에 나타난 문화 정체성과 사회 변화" 한국언론학회 55 (55): 435-460, 2011

      12 통일부, "동서독 교류 협력 사례집" 통일부 1993

      13 심형섭, "독일통일과정에서 위성방송의 역할에 대한 연구" 2015

      14 통일부, "독일의 통일‧통합의 정책연구-언론통합" 통일부 2010

      15 Maaz, Hans-Joachim, "독일 통일 과정에 나타난 사회심리적 난제들– 감정 정체로부터 마케팅 지향까지"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02

      16 현주, "남한 드라마 시청이 북한 주민들의 정치의식 등에 미치는 영향" 통일부 2016

      17 이기현, "남북한방송문화교류의 현황과 과제"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3

      18 강현두, "남북한 방송교류의 현황과 미래 모색" 한국방송공사 1997

      19 이우승, "남북방송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2002

      20 김영욱, "남북문제 보도의 새로운 모색-독일사례가 주는 시사점과 함께" 한국언론재단 2000

      21 "www.scheida.at/scheida/Televisionen_DDR.htm"

      22 Beutelschmidt, Thomas, "Sozialistische Audiovision: Zur Geschichte der Medienkultur in der DDR" 1995

      23 Hyll, Walter, "Leibniz-Institut für Wirtschaftsforschung Halle(IWH)" Blick über die Mauer: Medien in der DDR 2013

      24 Kliment, Tibor, "Kernkraftprotest und Medienreaktionen" Deutscher Universitätsverlag 1994

      25 Diana C. Mutz, "Impersonal Influence : How Perception of Mass Collectives After Political Attitud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1988

      26 Maaz, Hans-Joachim, "Die Entrüstung. Deutschland, Stasi, Schuld und Sündenbock" 1992

      27 Bispinck, Henrik, "Die DDR im Blick der Stasi 1977" Verdenhoeck Ruprecht GmbH 2012

      28 Schroeder, Klaus, "Der SED-Staat: Geschichte und Strukturen der DDR" Bayerische Landeszetrale für politische Bildungsarbeit 1999

      29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DDR-Rundfunk- und Fernsehkomitee"

      30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Blick ueber die Mauer: Medien in der DDR"

      31 Geserick, Rolf, "40 Jahre Presse, Rundfunk und Kommunikationspolitik in der DDR" 1989

      32 통일교육원, "2014 북한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7 0.8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