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 이후 25년간 구동독지역에서 진행된 정치지형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에 조성된 정치지형은 주로 통일 독일에 대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 이후 25년간 구동독지역에서 진행된 정치지형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에 조성된 정치지형은 주로 통일 독일에 대한 ...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 이후 25년간 구동독지역에서 진행된 정치지형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에 조성된 정치지형은 주로 통일 독일에 대한 구동독주민들의 평가가 반영되어 나타난다. 동유럽 사회주의국가와 달리 동독의 체제 전환 과정은 분단 독일의 통일과정과 함께 진행되었고, 경제 부국이었던 ‘맏형’ 서독에 전적으로 의존한 독특한 과정이었다. 통일 이후 지난 25년 동안 진행된 구동독지역 정치지형의 변화 과정과 그 특징을 구서독지역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파악해야만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통일 이후 새롭게 조성된 구동독지역의 정치지형은 주로 연방 및 주의회 선거 결과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구동독지역의 정치지형 변화 추이는 정치통합 이후 전개된 사회통합 수준 및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통일 당시 약속된 사회통합의 속도와 방향은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동·서독 간에 심화된 이질감은 구동독지역만의 정치적 정체성이 형성되는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이는 구동독지역의 이해를 대변하는 강력한 정치세력의 필요성으로 연결되어 나타났고, 그 결과 통일 이후 지난 25년 간 구동독지역에서 좌파당이 급성장하게 되었다. 앞으로의 관심은 구동독지역 주민만의 독특한 정치적 선호와 그에 따라 형성된 정치지형이 지속될 것인가에 있다. 통일 독일사회에 대한 구동독주민들의 만족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고, 구서독지역 주민과의 이질감 또한 점차로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구동독지역만의 정체성으로 응집되어 나타나는 정치지형의 모습은 점점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grasping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ing political landscape in the former East Germany in the past 25 years since the reunification. Political landscape structured in the former East Germany primarily reflects East Germ...
This paper aims at grasping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ing political landscape in the former East Germany in the past 25 years since the reunification. Political landscape structured in the former East Germany primarily reflects East German's evaluation of the reunified Germany. Unlike other East European socialist countries, transformation of the East Germany took place in parallel with the reunification of divided two Germany. This means complete dependance on its 'rich Western brother', which constitutes outstanding features of its transformation. This is, in turn, a primary reason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ing political landscape in the former East Germany in relation with the former West Germany in the past 25 years since the reunification. New political landscape in the former East Germany was mainly reflected in the outcomes of the Budestag as well as Landtag elections. Its progres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level and process of social integration which followed the political integration of the first place.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social integration promised at the time of reunification was not fulfilled. Thus, the deepening awareness of differences in the former East Germany was the making of its own political identity. This furthered the necessity of a strong political forces representing its own interests, and eventually led to the rapid rise of the leftist party, Die Linke, in the former East Germany in the past 25 years. The issue is whether this distinctive political landscape supported by the East Germans' political preference will be sustained in future. At present, their level of satisfaction improves with their lessening sense of differences as well as isolations. Thus, we can expect that the current political landscape representing its own political identity will eventually decline in the former East German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면회, "통일 독일의 정치지형 변화 연구: 정당체제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20 (20): 35-58, 2010
2 양창석, "브란덴부르크 비망록" 늘품 플러스 2015
3 손기웅, "독일통일 20년: 현황과 교훈"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0
4 김면회, "독일의 정당 분화 연구: 신자유주의와 정치지형의 변화" 경남대학교 극동 문제연구소 14 (14): 2009
5 마루쿠스 폴만, "독일 통일과 동독 권력 엘리트" 한울 2011
6 "https://www.bundeswahlleiter.de/dam/jcr/a333e523-0717-42ad-a772-d5ad7e7e97cc/ltw_erge- bnisse_gesamt.pdf"
7 "https://www.bundeswahlleiter.de/dam/jcr/397735e3-0585-46f6-a0b5-2c60c5b83de 6/btw_ab49 _gesamt.pdf"
8 "http://www.statistik.sachsen-anhalt.de/wahlen /lt16/index.html"
9 "http://www.bundeswahlleiter.de/de/landtagswahlen/ergebnisse/downloads/lwsachse n2009.pdf"
10 "http://www.bundeswahlleiter.de/de/landtagswahlen/ergebnisse/downloads/lw- thuer ingen2009.pdf"
1 김면회, "통일 독일의 정치지형 변화 연구: 정당체제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20 (20): 35-58, 2010
2 양창석, "브란덴부르크 비망록" 늘품 플러스 2015
3 손기웅, "독일통일 20년: 현황과 교훈"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0
4 김면회, "독일의 정당 분화 연구: 신자유주의와 정치지형의 변화" 경남대학교 극동 문제연구소 14 (14): 2009
5 마루쿠스 폴만, "독일 통일과 동독 권력 엘리트" 한울 2011
6 "https://www.bundeswahlleiter.de/dam/jcr/a333e523-0717-42ad-a772-d5ad7e7e97cc/ltw_erge- bnisse_gesamt.pdf"
7 "https://www.bundeswahlleiter.de/dam/jcr/397735e3-0585-46f6-a0b5-2c60c5b83de 6/btw_ab49 _gesamt.pdf"
8 "http://www.statistik.sachsen-anhalt.de/wahlen /lt16/index.html"
9 "http://www.bundeswahlleiter.de/de/landtagswahlen/ergebnisse/downloads/lwsachse n2009.pdf"
10 "http://www.bundeswahlleiter.de/de/landtagswahlen/ergebnisse/downloads/lw- thuer ingen2009.pdf"
11 "http://www.bundeswahlleiter.de/de/bundestagswahlen/downloads/bundestagswahler gebnisse/ btw_ab49_ergebnisse.pdf"
12 "http://www.bundeswahlleiter.de/de/bundestagswahlen/BTW_BUND_13/ergebnise bu ndesergebnisse/index.html"
13 "http://www.bundeswahlleiter.de/de/bundestagswahlen/BTW_BUND_09/veroeffentlic hungen/ BTW09_Heft1_Gesamt_Internet.pdf"
14 "http://www.bundeswahlleiter.de/de/bundestagswahlen/BTW_BUND_09/veroeffentlic hungen /BTW09_Heft1_Gesamt_Internet.pdf"
15 "http://www.bundeswahlleiter.de/de/ landtagswahlen/ergebnisse/downloads/wbrande nburg2009.pdf"
16 "http://www.bundeswahlleiter.de"
17 Winkler, Gunnar, "Noch immer gespalten: ökonomisch-sozial-politisch?!" 2017
18 Berg, Stefan, "Das Vergiftete Erbe"
19 Niedermayer, Oscar, "Arbeitshefte aus dem Otto-Stammer-Zentrum" FU Berlin 26-, 2016
아동 양육수당에 대한 정책옹호연합(Policy Advocacy Coalition)의 동학 : 정책담론을 통한 한국과 독일의 비교
자본주의 미디어가 사회주의 국가의 주민들에게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독과 북한비교를 중심으로
가다머(Hans-Georg Gadamer)의 해석학적 인문주의의 맥락에 비추어본 실천지향적 정치학의 가능성 탐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1 | 0.51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7 | 0.855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