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연경서원 제향 인물과 그 배경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07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경서원은 1565년 대구지역에서 맨 처음 세워진 서원으로, 설립될
      당시에는 사당이 없이 순수하게 교육적 기능만을 하였으나, 임진왜란으
      로 불타고 중건되면서 사당이 세워져 제향의 기능도 갖추게 되었다.
      1613년 사당 건립과 더불어 퇴계 이황이 제향되었고, 뒤이어 1622년에
      한강 정구가, 1676년에 우복 정경세가 추가로 배향되었다. 그리고 따로
      향현사를 세워 1635년에 계동 전경창이, 1707년에 매암 이숙량이 추가
      로 배향되었다. 이황은 제자인 이숙량을 앞세워 연경서원 설립을 주도하도록 했으며, 그의 ?서원십영? 속에 연경서원을 포함시켜 축하의 시를
      지었다. 정구는 연경서원 복설을 돕고, 만년에 성주에서 연경서원 인근
      으로 강학처를 옮김으로써 대구지역의 많은 유림들이 그의 제자가 되었
      다. 정경세는 연경서원 복설 무렵 대구부사로 있으면서 서원을 찾았다.
      그리고 이숙량은 일찍이 대구 출신의 전경창과 함께 서원 설립을 주도하
      였다. 우리는 연경서원의 배향 인물들을 통해 서원 설립과 복설 및 운영
      양상을 볼 수 있으며, 또한 당시 대구지역의 유학계와 퇴계학파가 정구
      를 통해 대구지역으로 전파되는 양상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연경서원은 1565년 대구지역에서 맨 처음 세워진 서원으로, 설립될 당시에는 사당이 없이 순수하게 교육적 기능만을 하였으나, 임진왜란으 로 불타고 중건되면서 사당이 세워져 제향의 기...

      연경서원은 1565년 대구지역에서 맨 처음 세워진 서원으로, 설립될
      당시에는 사당이 없이 순수하게 교육적 기능만을 하였으나, 임진왜란으
      로 불타고 중건되면서 사당이 세워져 제향의 기능도 갖추게 되었다.
      1613년 사당 건립과 더불어 퇴계 이황이 제향되었고, 뒤이어 1622년에
      한강 정구가, 1676년에 우복 정경세가 추가로 배향되었다. 그리고 따로
      향현사를 세워 1635년에 계동 전경창이, 1707년에 매암 이숙량이 추가
      로 배향되었다. 이황은 제자인 이숙량을 앞세워 연경서원 설립을 주도하도록 했으며, 그의 ?서원십영? 속에 연경서원을 포함시켜 축하의 시를
      지었다. 정구는 연경서원 복설을 돕고, 만년에 성주에서 연경서원 인근
      으로 강학처를 옮김으로써 대구지역의 많은 유림들이 그의 제자가 되었
      다. 정경세는 연경서원 복설 무렵 대구부사로 있으면서 서원을 찾았다.
      그리고 이숙량은 일찍이 대구 출신의 전경창과 함께 서원 설립을 주도하
      였다. 우리는 연경서원의 배향 인물들을 통해 서원 설립과 복설 및 운영
      양상을 볼 수 있으며, 또한 당시 대구지역의 유학계와 퇴계학파가 정구
      를 통해 대구지역으로 전파되는 양상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여는 글 - 연경서원 설립과 중건
      • 2. 퇴계 이황의 서원설립운동과 연경서원 주향
      • 3. 한강 정구, 우복 정경세와 연경서원 배향
      • 1) 한강 정구와 연경서원 배향
      • 2) 우복 정경세와 연경서원 배향
      • 1. 여는 글 - 연경서원 설립과 중건
      • 2. 퇴계 이황의 서원설립운동과 연경서원 주향
      • 3. 한강 정구, 우복 정경세와 연경서원 배향
      • 1) 한강 정구와 연경서원 배향
      • 2) 우복 정경세와 연경서원 배향
      • 4. 계동 전경창, 매암 이숙량과 향현사 배향
      • 1) 계동 전경창과 연경서원 향현사 배향
      • 2) 매암 이숙량과 연경서원 향현사 배향
      • 5. 맺는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張顯光, "旅軒集"

      2 徐思遠, "樂齋集"

      3 홍원식, "화보 서원기행" 예문동양사상연구원 (12) : 2005

      4 장윤수, "한강 정구와 조선 중기 대구권 성리학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동양사회사상학회 8 : 187-238, 2003

      5 김용헌, "지식권력의 탄생" 프로네시스 2010

      6 이병휴, "조선전기 사림파의 현실인식과 대응" 일조각 1999

      7 설석규, "조선시대 유생의 문묘종사 운동과 그 성격" 조선사연구회 1994

      8 정만조, "조선시대 서원연구" 집문당 1997

      9 홍원식, "영남유학과 ‘낙중학’"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2

      10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출판부 1979

      1 張顯光, "旅軒集"

      2 徐思遠, "樂齋集"

      3 홍원식, "화보 서원기행" 예문동양사상연구원 (12) : 2005

      4 장윤수, "한강 정구와 조선 중기 대구권 성리학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동양사회사상학회 8 : 187-238, 2003

      5 김용헌, "지식권력의 탄생" 프로네시스 2010

      6 이병휴, "조선전기 사림파의 현실인식과 대응" 일조각 1999

      7 설석규, "조선시대 유생의 문묘종사 운동과 그 성격" 조선사연구회 1994

      8 정만조, "조선시대 서원연구" 집문당 1997

      9 홍원식, "영남유학과 ‘낙중학’"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2

      10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출판부 1979

      11 구본욱, "연경서원의 경영과 조선 중기 대구지역의 유학" 영남퇴계학연구원 (11) : 177-215, 2012

      12 홍원식, "여말선초 낙중 사림의 도통과 학통" 계명대출판부 2013

      13 구본욱, "대구지역의 성리학을 연 계동 전경창" 조선사연구회 20 : 2011

      14 김학수, "낙중학, 조선시대 낙동강 중류지역의 유학"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ㆍ계명대학교 출판부 2012

      15 李滉, "陶山及門諸賢錄"

      16 李滉, "退溪全書"

      17 李滉, "退溪先生文集"

      18 李輈, "苔巖集"

      19 全慶昌, "溪東集"

      20 李元禎, "歸巖集"

      21 李叔樑, "梅巖集"

      22 孫處訥, "慕堂集"

      23 "增補文獻備考와 俎上錄"

      24 이수환, "16세기전반 영남사림파의 동향과 동방오현 문묘종사" 한국학연구원 (45) : 55-78,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OEGYE-HAK-LON-GIB -> TOEGYE-HAK-LON-JIB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OEGYE-HAK-LON-GIB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0.93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