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주 거론되고 있는 용어로 ‘國格’이 있다. ‘인격’이나 ‘品格’처럼 나라에도 ‘격’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국격’은 어떻게 형성되는 것일까? 국격이란 국민 한 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자주 거론되고 있는 용어로 ‘國格’이 있다. ‘인격’이나 ‘品格’처럼 나라에도 ‘격’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국격’은 어떻게 형성되는 것일까? 국격이란 국민 한 사...
최근 자주 거론되고 있는 용어로 ‘國格’이 있다. ‘인격’이나 ‘品格’처럼
나라에도 ‘격’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국격’은 어떻게 형성되는
것일까? 국격이란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인격과 품격을 바탕으로 그
사회와 그 국가의 완성된 문화를 일컫는다. 이때 국민 한 사람 한 사람
의 인격과 품격을 리드하는 것은 爲政者[君子]들이며, 동시에 그들은 그
나라의 국격을 나타내는 바로미터가 될 것이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는
이를 국민소득, 올림픽 유치, 도시의 높은 빌딩, 휘황찬란한 네온사인의
불빛과 높은 연봉, 좋은 집과 자동차 등, 대부분 물질적 부와 연관시키
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곧바로 국격 및 인격과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지나친 물질적 가치 추구로 인간관계가 소원해지고 냉담
해지며 인간과 자연의 관계도 악순환과 착취, 파괴, 고갈 등으로 변질되
어 가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현상은 돌이켜보면, 물질적 풍요보다는 정신적 풍요의 중요성
을 강조한 동양의 사상과 철학의 가치관을 근대이후 버려야 할 낡고 쓸
모없는 사고라고 생각하고 정치적 경제적 논리에 치중한 교육의 결과이
기도 하다. 물론, 東洋的 思考에서도 인간 생존의 가장 기본이 되는 먹
고 사는 문제가 중요하다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義
나 仁과 德을 무시한 경제적 실리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것은 착취의 위
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儒家思想에서 그리는 가장 이상적인 정치와 최고의 사회는 大同社會
이다. 이는 특정한 시공간이 아닌 東西古今을 넘어 누구나 바라는 사회
일 것이다. 이러한 사회가 이룩되기 위해서는 그 전제 조건으로서 반드
시 참된 君子가 필요하다. 小人만이 가득한 사회는 대동사회 구현이나
이상 정치 구현도 어렵기 때문이다.
오늘날 현대 정치가 과거 유가사상이 지배하던 정치와 같을 수는 없
지만 과거를 거울삼을 수는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완전한 인격체로서의
군자를 도덕적으로 고찰한 것이 많지만, 유가 사상에서 목표로 하는 이
상향으로서의 대동사회를 위한 전제로서 군자를 고찰한 것은 적다. 그러
므로 본고에서는 이상 정치를 위한 전제로서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군자
를 유가사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때문에 孟子를 주 텍스트로 하면서
보조적으로 東洋思想에 나타난 다양한 君子像을 살펴보았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加地伸行, "論語を読む" 講談社 1984
2 金谷治, "論語の世界" 日本放送出版協會 1972
3 이황, "퇴계 가훈으로 배우는 인생의 소중한 지혜" 새론북스 2003
4 이희주, "유교의 정치사회에 있어서 통치자의 자질"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6 (6): 111-131, 2007
5 계승범, "우리가 아는 선비는 없다" 역사의 아침 2011
6 권인호, "선비의 기질과 그 특징" 남명학 연구원 17 : 2012
7 뚜웨이밍, "문명들의 대화" 휴머니스트 2006
8 가토 도루, "동양고전에게 길을 묻다" 수희재 2005
9 성해준, "동아사아 명심보감 연구" 도서출판 문 2011
10 박병기, "도덕교육의 목표로서의 군자(君子)와 시민" 한국윤리교육학회 (15) : 1-18, 2008
1 加地伸行, "論語を読む" 講談社 1984
2 金谷治, "論語の世界" 日本放送出版協會 1972
3 이황, "퇴계 가훈으로 배우는 인생의 소중한 지혜" 새론북스 2003
4 이희주, "유교의 정치사회에 있어서 통치자의 자질"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6 (6): 111-131, 2007
5 계승범, "우리가 아는 선비는 없다" 역사의 아침 2011
6 권인호, "선비의 기질과 그 특징" 남명학 연구원 17 : 2012
7 뚜웨이밍, "문명들의 대화" 휴머니스트 2006
8 가토 도루, "동양고전에게 길을 묻다" 수희재 2005
9 성해준, "동아사아 명심보감 연구" 도서출판 문 2011
10 박병기, "도덕교육의 목표로서의 군자(君子)와 시민" 한국윤리교육학회 (15) : 1-18, 2008
11 이덕일, "내인생의 논어, 그 사람 공자" 도서출판 옥당 2012
12 신동준, "공자의 군자학" 도서출판 인간사랑 2006
13 貝塚茂樹, "岩波親書 65" 岩波書店 1977
14 전세영, "孔子의 政治思想" 인간사랑 1992
15 白川靜, "孔子傳" 中公文庫 1991
16 內野熊一朗, "孔子" 淸水書院 1973
17 黃鉦源, "周나라 禮治主義 法思想의 變遷" 한국해양대학교 1997
18 千德廣史, "儒家道德論論" ぺりかん社 1996
19 諸橋轍次, "中國人の智惠" 講談社 1983
20 森三樹三朗, "中国思想史(上)" 第三文明社 1992
21 송갑준, "『논어』의 군자상과 그 현대적 의미" 대동철학회 (32) : 1-25, 2005
22 이경무, "‘군자(君子)’와 공자의 이상적 인간상" 한국동서철학회 (54) : 103-124, 200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4-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OEGYE-HAK-LON-GIB -> TOEGYE-HAK-LON-JIB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2-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OEGYE-HAK-LON-GIB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2 | 0.934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