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관절경하 견갑하건 봉합술 - 8 례에 대한 예비보고 - = Arthroscopic Subscapularis Tendon Repair - Preliminary Report of 8 cases stud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543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관절경으로 견갑하건을 봉합하여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었으므로 그 수기를 소개하고 그 적용범 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4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관절경하 견갑하...

      목적: 관절경으로 견갑하건을 봉합하여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었으므로 그 수기를 소개하고 그 적용범 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4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관절경하 견갑하건 봉합술을 시행했던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ll개월이였다. 견갑하건의 단독 손상이 2예, 후상방회전근개의 소범위 단순파열과 동반된 손상이 4예, 후상방 회전근개의 광범위 파열과의 동반이 2예이었다. 견갑하근의 파열형태로서 상방부의 전층파열이 6예, 관절면에 국한된 부분파열이 1예 그리고 완전파열이 1예이었다. 결과판정은 최종 추시시점에서의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 상방 전위된 상완골두의 하방이동 여부 그리고 임상적 평가로서 Constant - Murley 기능평가법 이용하였다(Table 1) 결과: 술 후 평균 11개월에서의 견관절 기능평가는 술 전 55점에서 술후 75점으로 증가되었고 광범위 후상방파열이 동반되었던 2예를 제외한다면 술 후 평균 71점으로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상완골두의 상방이동은 술 전평균 0.7 cm에서 술 후 0.5 cm로 감소하였으나 상방이동이 오히려 가속된 1 예를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경우에서 뚜렷한 하방 이동을 보였다. 최종 추시 시점에서의 술 후 만족도에서는 만족이 5예, 보통이 1예 그리고 불만족이 2예 이었고 불만족인 1예에서는 술 후 6개월에 관혈적 방법으로 견갑하건을 봉합하였다.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견갑하건의 봉합은 광범위파열과 동반된 견갑하건의 파열이 있을경우 퇴축이 심하지 않다면 피부절개와 삼각근의 절개범위를 줄일 수 있어 술 후 통증이나 삼각근의 약화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줄일수 있으며, PASTA 병변을 포함해서 후상방 파열과 동반되지 않은 견갑하건의 부분 파열은 매우 적합한 관절경하복원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validate and introduce the technique of the arthroscopic repair for the treatment of the Subscapulris tendon tear.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3 to April 2004, Arthroscopic repairs were performed in 8 patient with subscapularis te...

      Purpose: To validate and introduce the technique of the arthroscopic repair for the treatment of the Subscapulris tendon tear.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3 to April 2004, Arthroscopic repairs were performed in 8 patient with subscapularis tendon tear.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1months. two cases involved only subscaplaris tendon tear. Four cases were associated small sized posterosuperir. rotator cuff tear and two cases were in large size. The type of subscapularis tendon showed upper portion full-thickness tear in 6 cases, partial-thickness tear localized at articular surface in 1 case, complete tear in 1 case.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ubjective satisfaction, inferior movenent of superior displaced humeral head, Constant-Murley functional scoring Results: Constant-Murley scoring was improved from 55 point preoperatively to 75 point postoperatively following 11 months. Mean score was 71 point except 2 cases of large superoposterior rotator cuff tear, Most humeral heads were distaracted postoperatively. The subjective result for the 8 shoulders were very satisfying in 5 cases, satisfying in 1 case and dissatisfying in 2 cases. Therefore satisfactory results were noted in 6 cases (75%) of this overall treatment group. Conclusion: The arthroscopic repair for the subscapularis tendon tear is thought to be available method, which could reduce severe complications following the weakness of deltoid muscle and postoperative pain. Especially Partial Subscapularis tear not associated with superoposterior rotator cuff tear including PASTA lesion was the sutable indication of the Arthroscopic repair.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