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및 정착과정에 관한 실증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074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년층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과정(school to work) 전체를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우리나라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및 이동 과정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일자리...

      본 연구는 청년층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과정(school to work) 전체를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우리나라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및 이동 과정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일자리에 정착하는 과정까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학력이 높아질수록, 희망직업이 있는 경우, 스펙쌓기 경험이 있는 경우, 취업노력 행동 경험이 있는 경우 입직 소요기간이 짧게 나타났다. 둘째, 첫 일자리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이탈할 가능성이 높고, 학력이 높을수록, 근로시간이 길어질수록 일자리 이탈 가능성이 높고, 마지막 일자리에서는 이직경험 횟수가 증가할 수 있도록 이탈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평균 이동횟수는 1.8회이며 최대 이동횟수는 12회까지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고졸이하 저학력 청년층의 평균적인 이동횟수가 2.15회로 대졸이상(1.47회) 및 전문대졸(1.88회) 고학력층에 비해 더 많은 이동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직경험자는 비이직자에 비해 평균적으로 6.4% 임금손실이 발생하였고, 사업간 이직자는 산업내 이직자에 비해 3.6% 직종간 이직자는 직종내 이직자에 비해 3.7% 낮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akes a long-term approach to the entire school to work transition of young people,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process of entering and moving into the labor market and finally setting up job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main analysis, fi...

      This study takes a long-term approach to the entire school to work transition of young people,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process of entering and moving into the labor market and finally setting up job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main analysis, first,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shorter the period required to enter the job was when there was a desired job, experience in specification building, or enter the job was when there was a desired job, experience in specification building, or experience in employment effort behavior.. Second, in the first job, men were likely to leave than women,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longer the working hours,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leaving the job. Third, the average number of movements was 1.8 times, and the maximum number of movements was up to 12. By education level, the average number of movements of young people with lower education than high school graduates is 2.15 times, which is more experienced than those with higher college graduates (1.47 times) and college graduates (1.88 times).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those who experienced job turnover suffered an average wage loss 6.4% compared to non-turnover workers, and those who changed jobs between industries received 3.6% lower wages than those within industries, and those who changed jobs between occupations received 3.7% lower wages than those who changed jobs within the same typ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 Ⅲ. 자료 및 분석모형
      • Ⅳ. 청년층의 노동시장 입직 소요기간 및 일자리 지속기간 결정요인 분석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 Ⅲ. 자료 및 분석모형
      • Ⅳ. 청년층의 노동시장 입직 소요기간 및 일자리 지속기간 결정요인 분석
      • Ⅴ.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동 및 임금의 변화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