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디지털 변혁 시대에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삶의 질 변화 연구 : PD, 방송 작가, 카메라맨 대상 심층 인터뷰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into Changes in Quality of Life for Freelance Video Content Creator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with producers, broadcasting writers, and camera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560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0년대 스마트폰 보급이 활발해지면서 영상 콘텐츠 생산과 소비의 패러다임(paradigm)은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된다. KBS, MBC, SBS 등 지상파 3사가 생산하는 영상 콘텐츠가 대중이 소비하는 영상의 대다수를 차지하던 독과점 시대는 끝났다. 디지털 변혁 시대가 열리며 누구나 뉴미디어를 통해 자본과 기술의 구애를 받지 않고 영상 콘텐츠를 생산해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됐다. 무한대의 영상 콘텐츠가 생산, 소비될 수 있는 뉴미디어 시장에서 방송사 정규직 직원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직업 안정성과 소득 안정성에서 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직업 만족도와 삶의 질은 어떻게 변했을까?
      본 연구는 직업 만족도 구성 요소를 소득, 근무 시간, 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사회적 지위, 직무 자율성 등으로 세분화하여, 디지털 변혁 시대가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직업 만족도와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0년대 초반 뉴미디어 보편화 전, 후를 모두 경험한 10년 차 내외의 프리랜서 PD와 작가, 카메라맨에 대하여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심층 인터뷰에 참여한 모든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가 디지털 변혁 시대 뉴미디어가 보편화되면서 업무 스트레스가 늘거나 변화가 없다고 답했다. 스트레스가 줄었다는 응답자는 없었다. 소득 변화에 대해서는 증가했다는 응답자가 감소했다는 응답자보다 많았다. 특히 PD 집단에서는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한 전원이 소득이 증가했다고 답해서 증가/감소 의견이 엇갈렸던 작가, 카메라맨 집단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소득 변화에 대한 대답은 세대별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중간 연차 집단에서는 대부분 소득이 증가했다고 응답했으나 고연차 집단의 다수는 소득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또한 다수 응답자가 디지털 변혁 시대 이후 근무 시간은 줄고 직업 안정성은 떨어졌다고 말했다. 사회적 지위도 하락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렇듯 직업 만족도 상승 요인과 하락 요인이 혼재된 상황에서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직업 만족도 변화에 대해서는 상승했다는 응답자가 다수였다. 직업 만족도에 변화가 있다는 응답자 중, 중간 연차 집단 전원은 만족도가 상승했다고 응답했지만, 고연차 집단은 전원이 하락했다고 응답해 세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는 과거 프리랜서 방송 산업 종사자에 관한 연구가 절대 권력 방송사로부터 받는 부당한 대우와 낮은 처우에 집중돼 있었던 상황에서, 영상 콘텐츠 제작자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프리랜서들의 상황을 디지털 변혁 시대 흐름에 맞게 재조명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 논문이 오랜 시간 사회 문제로 지적돼 온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근무 환경이 개선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번역하기

      2010년대 스마트폰 보급이 활발해지면서 영상 콘텐츠 생산과 소비의 패러다임(paradigm)은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된다. KBS, MBC, SBS 등 지상파 3사가 생산하는 영상 콘텐츠가 대중이 소비하는 영상...

      2010년대 스마트폰 보급이 활발해지면서 영상 콘텐츠 생산과 소비의 패러다임(paradigm)은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된다. KBS, MBC, SBS 등 지상파 3사가 생산하는 영상 콘텐츠가 대중이 소비하는 영상의 대다수를 차지하던 독과점 시대는 끝났다. 디지털 변혁 시대가 열리며 누구나 뉴미디어를 통해 자본과 기술의 구애를 받지 않고 영상 콘텐츠를 생산해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됐다. 무한대의 영상 콘텐츠가 생산, 소비될 수 있는 뉴미디어 시장에서 방송사 정규직 직원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직업 안정성과 소득 안정성에서 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직업 만족도와 삶의 질은 어떻게 변했을까?
      본 연구는 직업 만족도 구성 요소를 소득, 근무 시간, 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사회적 지위, 직무 자율성 등으로 세분화하여, 디지털 변혁 시대가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직업 만족도와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0년대 초반 뉴미디어 보편화 전, 후를 모두 경험한 10년 차 내외의 프리랜서 PD와 작가, 카메라맨에 대하여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심층 인터뷰에 참여한 모든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가 디지털 변혁 시대 뉴미디어가 보편화되면서 업무 스트레스가 늘거나 변화가 없다고 답했다. 스트레스가 줄었다는 응답자는 없었다. 소득 변화에 대해서는 증가했다는 응답자가 감소했다는 응답자보다 많았다. 특히 PD 집단에서는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한 전원이 소득이 증가했다고 답해서 증가/감소 의견이 엇갈렸던 작가, 카메라맨 집단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소득 변화에 대한 대답은 세대별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중간 연차 집단에서는 대부분 소득이 증가했다고 응답했으나 고연차 집단의 다수는 소득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또한 다수 응답자가 디지털 변혁 시대 이후 근무 시간은 줄고 직업 안정성은 떨어졌다고 말했다. 사회적 지위도 하락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렇듯 직업 만족도 상승 요인과 하락 요인이 혼재된 상황에서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직업 만족도 변화에 대해서는 상승했다는 응답자가 다수였다. 직업 만족도에 변화가 있다는 응답자 중, 중간 연차 집단 전원은 만족도가 상승했다고 응답했지만, 고연차 집단은 전원이 하락했다고 응답해 세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는 과거 프리랜서 방송 산업 종사자에 관한 연구가 절대 권력 방송사로부터 받는 부당한 대우와 낮은 처우에 집중돼 있었던 상황에서, 영상 콘텐츠 제작자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프리랜서들의 상황을 디지털 변혁 시대 흐름에 맞게 재조명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 논문이 오랜 시간 사회 문제로 지적돼 온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근무 환경이 개선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spread of smartphones became more active in the 2010s, the paradigm of video content production and consumption underwent rapid changes. The era of monopoly in which video content produced by the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 including KBS, MBC, and SB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video consumed by the public, is over.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nyone can produce video content and deliver it to the public through new media, regardless of capital and technology. In the new media market where infinite video content can be produced and consumed, how have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video content freelancers, who will be relatively sensitive to market changes in job and income stability, changed compared to the regular employees of broadcasting companies?
      This study subdivides job satisfaction components into income, working hours, stress, job stability, social status, and job autonomy to determine how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has affected th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video content freelancer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reelance producers, writers, and cameramen with approximately 10 years of experience both before and after the popularization of new media in the early 2010s.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video content freelancers who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responded that their work stress increased or remained unchanged as new media became widespread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re were no respondents who said their stress had decreased. Regarding changes in income, there were more respondents who said it increased than those who said it decreased. In particular, in the PD group, all who responded that there had been a change responded that their income had increased, showing a clear difference from the writer and cameraman groups, where opinions on increase/decrease were mixed.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ses to changes in income by generation. Most of the middle-age group responded that their income had increased, but many of the high-age group responded that their income had decreased. Additionally,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ir working hours have been reduced and job stability has also decreased since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ir social status was also perceived to have declined.
      In this situation, where factors for increasing and decreasing job satisfaction were mixed,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aid that the change in job satisfaction had increased whe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se factors. Among respondents who reported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ll of the middle-age group responded that their satisfaction had increased, but all of the high-age group responded that it had decreased, showing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situation of freelancers, who account for the vast majority of video content creators, in line with the trends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in a situation where past research on freelance broadcasting industry workers focused on unfair treatment and low treatment received from absolute power broadcasters.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video content freelancers, which has long been pointed out as a social problem.
      번역하기

      As the spread of smartphones became more active in the 2010s, the paradigm of video content production and consumption underwent rapid changes. The era of monopoly in which video content produced by the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 including KBS, M...

      As the spread of smartphones became more active in the 2010s, the paradigm of video content production and consumption underwent rapid changes. The era of monopoly in which video content produced by the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 including KBS, MBC, and SB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video consumed by the public, is over.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nyone can produce video content and deliver it to the public through new media, regardless of capital and technology. In the new media market where infinite video content can be produced and consumed, how have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video content freelancers, who will be relatively sensitive to market changes in job and income stability, changed compared to the regular employees of broadcasting companies?
      This study subdivides job satisfaction components into income, working hours, stress, job stability, social status, and job autonomy to determine how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has affected th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video content freelancer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reelance producers, writers, and cameramen with approximately 10 years of experience both before and after the popularization of new media in the early 2010s.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video content freelancers who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responded that their work stress increased or remained unchanged as new media became widespread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re were no respondents who said their stress had decreased. Regarding changes in income, there were more respondents who said it increased than those who said it decreased. In particular, in the PD group, all who responded that there had been a change responded that their income had increased, showing a clear difference from the writer and cameraman groups, where opinions on increase/decrease were mixed.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ses to changes in income by generation. Most of the middle-age group responded that their income had increased, but many of the high-age group responded that their income had decreased. Additionally,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ir working hours have been reduced and job stability has also decreased since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ir social status was also perceived to have declined.
      In this situation, where factors for increasing and decreasing job satisfaction were mixed,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aid that the change in job satisfaction had increased whe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se factors. Among respondents who reported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ll of the middle-age group responded that their satisfaction had increased, but all of the high-age group responded that it had decreased, showing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situation of freelancers, who account for the vast majority of video content creators, in line with the trends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in a situation where past research on freelance broadcasting industry workers focused on unfair treatment and low treatment received from absolute power broadcasters.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video content freelancers, which has long been pointed out as a social probl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ⅰ
      • Abstract ⅲ
      • 목차 ⅵ
      • 표 목차 ⅷ
      • 목차
      • 국문초록 ⅰ
      • Abstract ⅲ
      • 목차 ⅵ
      • 표 목차 ⅷ
      • 그림 목차 ⅸ
      • 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2 연구 문제 6
      • 2장. 이론적 배경 10
      • 2.1 디지털 변혁 시대 방송 환경 고찰 10
      • 2.2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에 관한 연구 17
      • 2.3 삶의 질의 개념 및 직업 만족도와의 관계 21
      • 2.3.1 삶의 질의 개념 22
      • 2.3.2 직업 만족도와 삶의 질의 관계 23
      • 3장. 연구 방법 27
      • 3.1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 대상 심층 인터뷰 27
      • 3.1.1 조사 방법 개요 28
      • 3.1.2 인터뷰 대상 선정 기준 30
      • 4장. 연구 분석 및 결과 33
      • 4.1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가 체감하는 디지털 변혁 시대 근무 환경의 변화 33
      • 4.1.1 뉴미디어 콘텐츠 생산에 대한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인식 변화 34
      • 4.1.2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 환경과 기존 방송 제작 환경 차이점에 대한 인식 37
      • 4.2 디지털 변혁 시대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직업 만족도 구성 세부 항목 증감 분석 42
      • 4.2.1 스트레스 42
      • 4.2.2 소득 48
      • 4.2.3 근무 시간 55
      • 4.2.4 직업 안정성 59
      • 4.2.5 사회적 지위 65
      • 4.2.6 직무 자율성 70
      • 4.3 영상 콘텐츠 프리랜서의 디지털 변혁 시대 이후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인식 74
      • 4.3.1 직업 만족도 구성 항목을 종합한 삶의 질 변화 76
      • 4.3.2 직업 만족도 제고를 위해 필요한 것 82
      • 5장. 논의 84
      • 5.1 연구 결과 요약 84
      • 5.2 프리랜서 지위에 대한 인식 변화 87
      • 5.3 세대에 따른 디지털 변혁 시대에 대한 인식 차이 90
      • 5.4 연구의 한계 및 제언 92
      • 6장. 결론 95
      • 참고문헌 97
      • 부록 A. 심층 인터뷰 질문지 106
      • B. 인터뷰 참가자 별 응답 정리 1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